問題一覧
1
다음에서 설명하는 프린터 방식은? 열가소성 재료를 가는 실 형태로 만든 것을 필라멘트형이라고 하는데, 이것에 열을 가해 녹인 후 노즐을 거쳐 압출되는 재료를 적층하는 방식
FDM 방식
2
다음에서 설명하는 3D 프린터 방식은? 레이저나 강한 자외선을 이용하여 액상 재료를 순간적으로 경화시켜 형상을 제작하는 방식
SLA 방식
3
다음에서 설명하는 3D 프린터 방식은? 빔 프로젝터에서 빛을 비추게 되면 비추는 빛의 모양에 따라 액체(레진)을 굳게 만드는 방식
DLP 방식
4
SLS 방식 3D프린터의 장점으로 틀린 것은?
지지대 서포터가 필요하다.
5
FDM 방식의 3D프린터를 적용하기 힘든 산업 분야는?
산업금형제작
6
SLS 방식의 3D 프린터를 적용하기 힘든 산업분야는?
건설 분야
7
스캐닝 과정에서 3차원 좌표를 추출하여 점군(point cloud)을 만드는 단계는?
생성 단계
8
3D 스캐너의 종류 중 접촉식에 해당하는 것은?
CMM 측정기
9
다음에서 설명하는 3차원 스캐너의 종류는? • 스캐너에서 발사된 레이저가 대상체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계산하는 방식이다. • 먼 거리의 대형 구조물을 측정하는 데 용이하다. • 정밀측정이나 낮고 작은 제품의 측정에는 적합하지 않다.
TOF(Time Of flight) 방식 스캐너
10
다음에서 설명하는 3차원 스캐너의 종류는? 이미 알고 있는 패턴의 광을 이미지 생성 장치(레이저 인터페로미터)를 이용하여 측정 대상물에 조사하고 측정 대상물에 변형된 패턴을 카메라에서 측정하여 모서리 부분들에 대한 삼각 측량법으로 3차원 좌표를 구한다.
패턴 이미지 기반의 삼각 측량 3차원 스캐너
11
저가형 3D 스캐너를 사용할 때 측정이 안되는 경우가 아닌 것은?
부드러운 곡면이 있는 경우
12
이동식 3D 스캐너을 사용하는 것과 거리가 먼 것은?
측정 대상물이 작을 경우
13
스캐닝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고려사항이 아닌 것은?
3D 프린터의 크기
14
스캔 측정 대상물의 표면 상태에 따른 설명으로 틀린 것은?
측정 대상물이 거울과 같이 전반사가 일어날 경우 정확한 레이저 스팟이 생성되어 스캔의 정확도가 높아진다.
15
산업용 고정밀 라인 레이저 스캐닝 측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고정된 볼은 스캔이 되지 않고 측정 대상물만 스캔이 된다.
16
스캐닝 간격 및 속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라인 스캐너를 연속적으로 측정하는 경우에는 측정 정밀도가 올라간다.
17
측정 대상물의 자세에 따른 스캔 방법으로 틀린 것은?
완전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서는 측정 대상물을 한 번만 측정하면 된다.
18
모든 스캔 소프트웨어 혹은 데이터 처리 소프트웨어에서 사용이 가능한 포맷이 아닌 것은?
DWG
19
다음에서 설명하는 데이터 처리 소프트웨어로 옳은 것은? • 최초의 표준 포맷(그래픽정보의 교환을 위해 설정된 미국 표준규격, 1980년)이다. • 형상 데이터를 나타내는 엔티티(entity)로 이루어져 있다. • 점뿐만 아니라 선, 원, 자유곡선, 자유곡면, 트림곡면, 색상, 글자 등이 있다. • CAD/CAM 소프트웨어에서 3차원 모델의 거의 모든 정보를 포함한다.
IGES
20
스캔 데이터는 보통 여러 번의 측정에 따른 점군 데이터를 서로 합친 최종 데이터이다. 이렇게 개별 스캐닝 작업에서 얻어진 점 데이터들이 합쳐지는 과정을 무엇이라 하는가?
정합
21
측정 오류로 주변 점들에 비해서 불규칙적으로 형성된 점들을 수정하여 매끄럽게 하는 보정해 주는 것은?
스무딩(smoothing)
22
다음에서 설명하는 스캔 데이터 보정 과정은? 3D프린팅을 하기 위해 불필요한 점을 제거하고 다양한 오류를 바로잡아 최종적으로 삼각형 메시(triangla mesh)를 만들어 주는 과정
페어링(fairing)
23
폴리곤(Polygon) 모델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폴리곤 개수를 최소한 줄여서 부드러운 곡선으로 표현한다.
24
넙스(Nurbs) 모델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면의 꼭짓점을 이용해 형태를 잡고 선들을 Loft 시켜서 면(Surface)을 만든다.
25
3D 디자인 소프트웨어의 주요 기능과 거리가 먼 것은?
제작도면 작성하기
26
뷰포트(Viewport)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Left view : 오른쪽에서 바라본 장면
27
도형 단위 요소를 불러와서 조합(합, 차, 적)으로 물체를 표현하는 모델링 기법은?
CSG 기법
28
폴리곤 모델링에서 면(Polygon)의 기능으로 틀린 것은?
면을 따라 면을 돌출시키는 기능
29
경로를 따라 2D 단면을 돌출시키는 방식의 모델링 기법은?
스윕(Sweep) 모델링
30
작업 지시서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 중 제작 개요에 대한 내용으로 거리가 먼 것은?
제작 비용
31
2D 라인을 이용하여 3D 객체를 제작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폴리곤 모델링
32
2D 라인 없이 3D 객체를 만드는 방법이 아닌 것은?
로프트 모델링
33
형상 데이터 조립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연결할 두 면의 크기가 동일하면 연결된 부분이 합쳐지지 않는다.
34
다음은 폴리곤을 수정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이다. 무엇을 수정하는 기능인가? • 선택한 면에 높이 주기 • 선택한 면의 넓이를 늘리거나 줄이기 • 면과 면을 연결하기
면
35
데이터 수정 방법 선택으로 틀린 것은?
폴리곤 모양을 변경해야 할 경우 모델링 상태에서 수정 가능
36
다음에서 설명하는 3D프린터의 종류는? 종이판이나 플라스틱 등의 시트를 CO₂ 레이저나 칼로 컷팅 후 열을 가하여 접착하면서 모델을 제작하는 방식
LOM
37
3D프린터에서 사용하는 재료와 프린터의 종류가 잘못 연결된 것은?
SLA : 분말 기반형 광경화성 액상수지 사용
38
고체 기반형 3D프린터의 장단점으로 틀린 것은?
분진이나 냄새가 나지 않아 별도의 환기 시설이 필요 없다
39
액체 기반형 3D프린터의 장단점으로 틀린 것은?
소재의 종류는 한 가지 액체만을 사용 한다.
40
분말 기반형 3D프린터의 장단점으로 틀린 것은?
출력 후 서포터 제거 등의 작업을 해야 한다.
41
슬라이서 프로그램에서 출력물의 정밀도 설정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노즐의 구경이 0.4mm라면 벽두께는 그 이하를 설정해야 한다.
42
3D프린터로 출력할 때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각 축의 모터 이동 속도를 높이면 제품과 플랫폼의 표면 결속 상태가 좋아진다.
43
형상 데이터 분할 출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분할 출력을 하기 위해 슬라이서 프로그램에서 모델링을 수정할 수 있다.
44
다음에서 설명하는 3D 형상 데이터에 부가 요소 종류는? 프린터를 켜고 노즐 온도가 올라가기 시작한 후 필라멘트가 녹기 시작하면 중력에 의해서 노즐 밖으로 흘러나온다. 이때 노즐목 근처에 빈 공간이 생기고 이 빈 공간은 정작 출력이 시작되면 토출이 안 되는 끊김 현상이 원인이 된다. 이런 현상을 없애기 위해서 빈 공간이 있는 부분을 출력을 시작하기 전에 미리 빼주는 것이다.
스커트(Skirt)
45
다음에서 설명하는 3D 형상 데이터에 부가 요소 종류는? 바닥의 레벨이 잘 안 맞거나 고정이 잘 안되는 상황일 때, 별도 형상으로 바닥 보조물을 만들어 주는 기능
래프트(Raft)
46
제도 통칙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설계자가 정한 제도규칙에 맞게 도면을 추상적으로 그려 사용자가 해독할 수 있도록 한다.
47
KS 부분별 기호와 부문이 잘못 연결된 것은?
KS C : 금속
48
국제 및 국가별 표준규격과 기호가 잘못 연결된 것은?
미국 규격 : AMS
49
다음 중 도면의 크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도면을 접어 보관할 때는 A4 크기로 하며 표제란은 왼쪽 아래에 보이도록 한다
50
척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척도 NS는 실물과 같은 비율로 그린 비례척이다.
51
선이 겹치는 경우 선의 우선순위로 맞는 것은?
외형선 > 숨은선 > 절단선 > 중심선 > 치수 보조선
52
대상물이 보이지 않는 부분의 모양을 표시하는 선으로 옳은 것은?
숨은선
53
인접하는 부분 또는 공구, 지그 등을 참고로 표시하는 선의 종류는?
가상선
54
다음에서 설명하는 투상도의 종류는? 한 화면을 중점적으로 정확하게 나타내며 경사시켜 투상하는 방법
사투상도
55
다음의 정투상도 그림 기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정면도의 오른쪽에 좌측면도가 자리한다.
56
제1각법과 제3각법에서 투상도의 위치가 같은 것은?
배면도
57
다음에서 설명하는 특수투상도의 종류는? 경사면부가 있는 대상물에서 그 경사면의 실제 모양을 표시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그린 투상도
보조투상도
58
다음에서 설명하는 특수투상도의 종류는? • 대상물의 구멍, 홈 등의 한 특수 부분만의 모양을 표시한 투상도이다. • 투상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중심선, 기준선, 치수 보조선 등으로 나타낸다.
국부투상도
59
다음 그림에 나타난 단면도법은?
회전 단면도
60
치수 기입의 원칙으로 틀린 것은?
치수는 투상도마다 고르게 기입한다.
61
치수 보조 기호와 명칭이 잘못 연결된 것은?
( ) : 이론적으로 정확한 치수
62
구멍과 축 사이에 항상 죔새가 있는 끼워 맞춤의 종류는?
억지 끼워맞춤
63
3D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가 기능이 아닌 것은?
제품 생산 단가의 결정
64
다음에서 설명하는 3D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 기능별 템플릿은? • 하나의 부품형상을 모델링 하는 곳 • 3D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에서 형상을 표현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
파트 작성
65
다음에서 설명하는 모델링의 종류는? 3D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에서 3차원 형상의 표면뿐만 아니라 내부의 질량, 체적, 부피값 등 여러 가지 정보가 존재할 수 있으며 점, 선, 면의 집합체로 되어있다.
솔리드 모델링
66
3D곡면(서피스) 모델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곡면 모델링은 솔리드 모델링으로 표현하기 힘든 기하곡면을 처리하는 기법으로 솔리드 모델링과는 같이 질량, 체적, 부피 값 등 물리적 성질을 구할 수 있다.
67
드로잉 도구에서 객체의 모서리 부분을 둥글게 라운드 처리하는 기능으로 옳은 것은?
모깍기
68
다음 중 스케치 편집도구가 아닌 것은?
호
69
구속 조건과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동일선상 : 선택된 원과 호가 동일한 반지름을 갖거나 선택된 선이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구속한다.
70
조립품 구성을 위한 기계 디자인의 기능이 아닌 것은?
견적서 작성
71
파트를 모델링 해놓은 상태에서 조립품을 구성하는 조립 방식은?
상향식 방식
72
다음에서 설명하는 조립 방식으로 옳은 것은? • 조립도에서 부품을 조립하면서 모델링 하는 방식이다 • 기준 부품 배치는 조립품에서 기준이 되는 부품을 제일 먼저 가져와 배치하는 것이다. • 부품 삽입은 조립 순서에 맞게 부품을 하나씩 가져올 수도 있고, 여러 부품을 한 번에 가져올 수도 있다.
하향식 방식
73
파트 조립품을 생성할 때 제약 조건을 적용하는 내용으로 틀린 것은?
부품의 조립과 동작의 조건에 따라 제약 조건은 두 개 이상 적용할 수 없다.
74
선택한 면과 면, 선과 선 사이에 거리를 주는 제약 조건은?
오프셋
75
다음 중 제약 조건을 선택할 때 틀린 것은?
점과 좌표
76
3D 엔지니어링 프로그램에서 부품 수정을 할 경우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설계상 오류가 발생한 부품은 부품 하나를 직접 프로그램으로 열 수 있으나, 파트 하나를 지정하여 조립 상태에서 수정하는 것은 불가능 하다.
77
3D프린터로 출력할 부품 수정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하나 이상의 부품을 조립하기 위해 모델링 된 부품을 그대로 출력하여도 조립에는 아무 문제가 없다.
78
3D프린터로 출력할 부품에 출력 공차를 적용할 경우에 설명으로 틀린 것은?
두 개의 조립 부품이 있으면 두 개의 부품 모두에 공차를 적용하여 모델링을 수정한다.
79
FDM 방식 3D프린터로 출력할 경우 크기 및 두께 변경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출력 방향에 따라 외벽의 두께가 변경될 수 있으나, 부품의 모든 외벽 두께를 변경할 필요는 없다.
80
3D프린터 출력에서 지지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SLA 방식의 3D프린터는 제품을 제작할 때 지지대가 필요하지 않다.
81
다음에서 설명하는 서포트의 종류로 옳은 것은? 외팔보와 같이 돌출되어 새로 생성되는 층이 받쳐지지 않아 아래로 휘게 되는 경우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
Overhang
82
3D프린터로 제작 중 하중으로 인해 아래로 처지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Sagging
83
3D프린터로 제작 중 소재가 경화하면서 수축에 의해서 뒤틀림이 발생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Warping
84
서포터가 필요 없는 3D프린터 방식은?
SLS 방식
85
제품의 형상 설계에 대한 내용으로 잘못된 것은?
SLA 방식은 최대 정밀도가 1~5μm로 FDM에 비하여 높은 정밀도를 갖고 있으며 광경화성 수지의 특징 및 성질은 뒤틀림의 오차가 생기지 않는다.
86
형상을 확대 축소하며 자세히 관찰하여 오류를 찾고 지지대 없이 출력되는 부분이 없는지 분석할 수 있는 기능은?
Scale
87
적층값 설정에 대한 고려 사항으로 틀린 것은?
3D모델의 스케일을 조정해도 프린터의 재료 소모량 및 제작 시간은 변화가 없다.
88
다음 중 슬라이서 프로그램이 아닌 것은?
CATIA
89
슬라이서 프로그램에서 내부를 채우는 메뉴는?
Fill density
90
슬라이서 프로그램에서 적층하는 3D모델의 외형을 구성하는 외벽의 두께 값을 지정하는 메뉴는?
Shell thickness
91
슬라이서 프로그램의 기본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적층값이 낮을수록 가공 시간은 줄어들며 품질도 떨어진다.
92
형상 입체화에 필요한 피처 명령으로 프로파일에 볼록하거나 오목한 피처를 작성하는 것은?
엠보싱
93
형상 입체화에 필요한 피처 명령으로 작성된 3D 형상의 동일 두께를 가진 통을 작성하는 것은?
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