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영산회상의 사용- 조선
1. 영산회상은 악학궤범 권5에의하면 학연화대처용무합설이라는 정재 공연 때 영산회상 만기를 연주하면 여기와 악공이 영산회상불보살이라는 가사를 노래하는 불가 계열의 성악곡이었다. 2. 섣달 그믐 하루 전날 궁중에서 열리는 나례의식의 뒷부분에서 영산회상 만, 영산회상령이라는 곡이 영산회상불보살이라는 가사를 붙여 연주됐다
2
기악화된 첫 영산회상 악보
금보신증가령(1680)
3
현.영 - 상령산
1. 긴영산 본영산 이라고도 한다 2. 4장 3. 1장의 처음 10박은 거문고독주, 11박부터 합주가 이어진다 4, 상령산은 전부 17장단인데 글자가 붙는 장단은 14장단, 끝3장단은 상령산에서 중령산으로 넘어가는 다리 구실을 한다고 생각죈다
4
현.영 중령산
1. 상령산에서 파생된 곡(상령산을 4도 높은 조로 변주한 곡으로 보기도 함) 2. 5장 3. 제 5장의 마지막 장단(돌장)에서 속도가 빨라져 세령산과 이어진다 4. 어은보에 영산회상 갑탄!!
5
세령산
1. 중령산 2-5장까지를 빠르게 변주한 것으로 봄, 중령산의 가락을 세분한 곡 2. 각 장의 종지악절이 같은 선율로 이루어져 있다 3. 쌍요고편
6
가락덜이
1. 세령산의 1장부터 3장까지의 가락을 줄여 변주한 곡 2. 각장의 종지악절이 같은 선율로 이루어져 있다
7
하햔도드리
1. 삼현도드리 2장 이하를 변주한 곡 2. 도드리장단, 삼현도드리보다는 다소 느리게 연주된다
8
염불도드리
1. 제 2장의 중간부분(10째장단)부터 빨라진다-급박, 볶는염불
9
권마성가락
영산회상 군악의 3장에 나타나는 클라이맥스, 권마성이란 임금의 거동, 또는 임금의 멍을 받든 고관이나 수령방백이 행차할 때에 높은 목청으로 물렀거라 치웠거라 하고 길게 부르는 소리를 말한다. 이러한 소리를 본따 만든 가락이 권마성가락이다
10
가사의 문학적 특징
1. 고려 말에 발생하여 조선초기 사대부계층에 의해 확고한 문학형식으로 자리잡아 조선시대를 관통하며 지속적으로 전해내려왔다 2. 4.4 조의 4음보를 기준 율격으로 함 3. 행에 제한을 두지 않는 연속체 율문 형식을 가지고 있어 4. 폭넓은 작자층의 창작에 의해 다양한 내용을 담아내는 대중적 문학 양식이었다
11
가사의 음악적 역사
1. 노래로 불리는 현행 12가사의 전통이 언제부터 전승되었는지는 분명치 않으나 대략 유추하건대 조선 중엽 이후 생긴 것으로 본다(18c초기부터)
12
어부사가 전해지는 악보
어부사가 <악장가사>에 전하고 있어서 어부사가 현행 가사의 효시로 알려져 있다. 농암 이현보가 어부사를 지었다는 것이 전해질 뿐
13
가사 악보- 청구영언, 남훈태평가, 고금가곡
청구영언(1728): 17곡 실림, 그 중 7곡이 없어지고 죽지가,수양산가가 새로 생김 고금가곡: 춘.어.죽.양 남훈태평가: 춘.백.처.상.매
14
가사의 악보를 담은 최초의 거문고악보
삼죽금보. 여기에 길.춘.권.황.상.매 6곡이 전한다 즉 19세기 전반의 6곡의 가사는 거문고 등으로 반주하였다
15
가사의 전승
18세기에 형성되기 시작한 가사는 19세기 말엽에 현행과 같이 완성되어 하규일과 임기준에 의해 전승 일제강점기 이왕직아악부에서 아악생들에게 12가사를 가르치면서 전승되었다 임기준이 전승한 4곡: 양처수매
16
가사의 특징
1. 가곡에 비해 비교적 장편의 가사, 시조와 달리 정해진 사설은 정해진 곡조만을노래 2.대체로 4,4조의 격조를 지니며 행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수양산가,길군악등은 4.4조에서 벗어나기도) 3, 다양한 영향(시조,가곡,민요,잡가)의 영향을 받아 음악적 특징이 복잡하다-> 아악과 민속악의 중간 4.남창도 가성이 허용됨, 전성,퇴성,요성등의 시김새가 가곡보다 많이 나타남
17
가사-백구사
-가사 중 백미 -8마루 -자연에 묻혀 속세의 모든 욕심을 버리고자 하는 마음을 노래한 것 -선유락 반주
18
황계사
-8마루,4도하행종지 -매절은 끝을 지화자 좋을시고라는 후렴구로 일정하게 맺는다 -남녀의 이별을 노래한 것 -1,3,5,7절과 2,4,6,8절은 각각 같은 가락의 반복, 1,2절 3,4절 5,6 절 7,8절이 각각 짝을 이룸
19
죽지사
-4마루 - 마루마다 입타렁이 붙는다 -각 절의 끝에 어이요 이요 이요 이야어 일심정념은 극락남무로 시작하는 후렴구가 있다 -12가사 중 비교적 후기에 나타나는 곡 - 건곤이 불로 월장재하니로 시작되어 건곤가라고도 한자
20
시나위와 봉장취의 공통점
1. 일정한 장단틀에 매이지 않는다 2. 즉흥성을 띤 가락이다 3. 기악곡
21
시나위,봉장취와 산조의 차이점
1. 단순하나, 산조는 판소리의 음악 어법을 닮은 선율 짜임 등 정교하게 짜여진 가락에 음악의 형식을 갖춘다 2. 장단이 일정하지않고 즉흥성이 강하나 산조는 선율 짜임이 정교하다
22
판소리와 산조의 공통점
1. 판소리의 진양, 중모리, 자진모리등의 장단이 산조에 그대로 사용됨 2. 판소리의 우조,계면조,악조명도 산조에 그대로 사용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