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소설기능. 막힌것을 소통시키고 부드럽게 통하게하는 생리기능.
주소설
2
혈액을 간에 저장
장혈
3
근육에 영양공급.
주근
4
간은 눈으로 통함.
개규어목
5
인간의 정신 사유활동.
주신지
6
정신적 자극에서 발생하는 땀으로 심장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음.
심주한
7
혈액이 맥관을 따라 흐르게 함. 몸 전체에 영양물질 공급
주혈맥
8
심경의 별락은 혀에 상행하기 때문에 기혈은 혀에 통함. 심에 병변이 있으면 혀에 반영되어 나타남.
개규어설
9
음식물을 소화시키고 소화된 영양물질과 수분을 흡수하여 온 몸에 운반함.
주운화
10
혈액을 통제하는 작용.
통혈
11
운화작용을 통해 기육을 영양하는 작용.
주기육
12
입과 입술에 윤기가 있음. 비에 병변이 있는 경우 입과 입술에 증후가 나타남.
개규어구
13
전신의 수액대사를 관장하고 조절.
주수
14
정을 저장.
장정
15
신장의 정기로부터 뼈와 골수가 생성됨.
주골
16
신기는 귀로 통해서 신의 정기가 충만하면 귀가 총명해짐.
개규어이
17
전음과 후음으로 인체의 대소변의 배설을 조절함.
이음
18
기와 가장 밀접하게 관련됨.
주기
19
인체의 진액을 땀이나 수액으로써 체외로 발산시키는 작용.
주선강
20
진액을 피모에 수송하여 피부를 따뜻하게, 모발을 윤택하게 함.
주피모
21
폐가 수액이 이동하는 통로
통조수도
22
폐의 생리 상태는 코에서 나타남. 코의 모든 기능은 폐기에 의해서 발현됨.
개규어비
23
횡경막 위쪽의 폐와 심장, 심포(호흡작용, 순환담당. 주기)
상초
24
횡경막과 배꼽 사이의 복부. 비와 간장, 위장(소화작용. 주식)
중초
25
배꼽 아래의 하복부. 신과 소장, 대장 및 방광 (흡수, 배설기능. 주변)
하초
26
기항지부
뇌, 수, 골, 맥, 담, 여자포
27
심을 싸고 있는 보호막
심포
28
간과 표리관계
담
29
간 - 해독작용
장군지관
30
간 - 생리기능
소설기능
31
담즙의 분비와 배설, 혈액을 저장하는 기관?
간
32
간의 주요 생리기능
주소설, 장혈, 주근, 개규어목
33
흉중에 위치, 심포로 싸여 보호되는 기관?
심
34
혈을 주관하여 맥의 시원
군주기관
35
심과 표리관계?
소장
36
혀, 맥 등에 생리 병리적 기능이 나타나는 기관?
심
37
심의 주요 생리기능
주신지, 주혈맥, 심주한, 개규어설
38
소화흡수 관장하는 기관
비
39
운화기능 주관하는 기관
비
40
비의 생리기능?
운화기능
41
수곡을 정미로 화하고 정미한 물질을 전신에 분포하는 기관
비
42
상승시키는 기능을 주관하는 기관?
비
43
비의 주요 생리기능
주운화, 통혈, 주기육, 개규어구
44
오장육부의 덮개라 불리는 기관?
폐
45
폐와 표리관계?
대장
46
코, 땀구멍, 피부 등에 생리 병리적 기능이 나타나는 기관?
폐
47
폐 - 가장 우아하고 아름답다고 하는 말?
화개지장
48
폐의 주요 생리기능
주기, 주선강, 주피모, 통조수도, 개규어비
49
정을 저장하는 기관?
신
50
납기(기운을 수납)를 관장하는 기관?
신
51
정기를 저장하고 생장, 발육, 생식과 수액다사를 주관하는 기관?
신
52
신과 표리관계?
방광
53
생리적 기능은 골에 나타나고 변화는 머리카락에 나타나는 기관?
신
54
신의 주요 생리기능?
주수, 장정, 주골, 개규어이&이음
55
심을 싸고있는 보호막?
심포
56
생리기능에서 오장과도 구별되고 육부와도 다른 특이한 기관과 조직?
기항지부
57
뇌, 수, 골, 맥, 담, 여자포를 뭐라고 함?
기항지부
58
상초
호흡, 순환, 폐, 심장, 심포
59
중초
소화, 비, 간장, 위장
60
하초
흡수, 배설, 신, 소장, 대장, 방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