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돌구조 - 열에 약하다 - 강도 : 화강암 > 대리석 > 안산암 > 사암 > 응회암 - 가공순서 : 메다듬, 정다듬, 도드락다듬, 잔다듬, 물갈기, 광내기 - 앵커긴결공법 : 하부에 ?용, 상부에 ?용 사용 - 화강석 선부착 PC 판공법 : 공기 단축
지지, 고정, 메정도잔물광
2
지반의 허용지내력 - 경암반 ? kN/m2 - 연암반 ? kN/m2 (~2000) - 자갈 ? kN/m2 - 자갈 + 모래 ? kN/m2 - 모래 or 점토 ? kN/m2
4000, 1000, 300, 200, 100
3
내화벽돌 줄눈너비는 별도 지정 없을 시, 가로세로 ?mm를 표준으로 한다.
6
4
아치쌓기 1. 조적조 개구부에는 아치를 두는 것이 원칙 2. 개구부 폭 1m 이하면 ?로 할수있고, 이상은 ?로 한다. 3. 개구부 폭 1.8m 이상일 때는 ?를 설치한다.
평아치, 활원아치, 인방보
5
테두리보 - 철근콘크리트 슬라브인 경우 제외하고 ? 설치 - 춤은 내력벽 두께의 ?배 이상 또는 30cm 이상 *단층건물은 ?cm 이상 - 너비는 내력벽 두께 이상 또는 대린벽 중심간 거리의 1/20 이상 - 1층 건물로서, 벽두께가 벽높이 1/16 이상이거나, 건물 벽 길이가 5m이하 시 ? 테두리보 설치 가능 - 보강블록조에서 ?철근을 정착하는 역할
층마다, 1.5, 25, 목조, 세로
6
벽돌쌓기 주의사항 1. 하루 벽돌 쌓는 높이는 ?m를 표준, 최대 ?m 이하 *벽돌, 블록, 타일은 동일 *돌은 1m 이하 *ALC 블록은 1.8~2.4m 2. 가로세로 줄눈 두께는 ?mm가 표준 *내화벽돌은 6mm 3. ?를 제외하고 통줄눈이 되지않게 쌓는다. 4. 벽돌벽이 블록벽과 직각으로 만날 때에는, 연결철물을 만들어 ?단마다 보강 *벽돌 3단에 블록 1단
1.2, 1.5, 10, 보강블록조, 3
7
내력벽 1. 둘러싸인 실의 면적은 ?m2를 초과하지 않는다. 2. 길이는 ?m 이하로 하고, 초과 시 부축벽 보강 3. 2층 건물 2층 내력벽 높이는 ?m 이하 4. 토압 받는 내력벽은 ?식구조 안된다. 다만 높이 ?m 넘지않으면 벽돌구조 가능
80, 10, 4, 조적, 2.5
8
치장줄눈 - 모르타르가 굳기 전에: 쇠손으로 눌러 8~10mm 깊이로 파기. - 모르타르가 굳은 후: 치장줄눈은 ?mm 깊이로 마감 - 가장 많이 사용하는 줄눈은 ?줄눈
6, 평
9
내력벽 두께 - 벽돌은 높이의 20분의 1 이상, 블록은 16분의 1 이상 - 건물높이 5m 미만, 벽길이 8m 미만 시 1층 ?cm - 높이 11m 이상, 길이 8m 이상 시 1층 ?cm - 면적 60m2 이상인 2층 건물의 1층 ?cm - 그외는 모두 ?cm
15, 29, 29, 19
10
내력벽 개구부 - 개구부 폭 합계는 벽 길이의 ?분의 1 이하 - 개구부와 개구부 수직거리는 ?cm 이상 - 개구부 상호간 수평거리는 벽 두께의 ?배 이상
2, 60, 2
11
시멘트블록구조 1. 내력벽과 벽량 - 보강블록구조인 내력벽 두께는 ?mm 내외 - 세로철근은 이음 ?다 - 가로근은 3~4켜마다 배근 - 유효한 내력벽 길이는 ?cm 이상 2. 블록쌓기 주의사항 - 두께가 두꺼운 쪽이 ?로 가게 - 하루 쌓는 높이는 ? ~ ? - ?mm 막힌줄눈, 보강블록조는 ?줄눈으로 - 인방보는 좌우 벽에 최소 ?cm 이상 물리게 쌓는다. *철근은 인방의 하부에 배근 - 사춤은 3~4켜 쌓을때마다 다진다 *보강블록조 : 블록 빈공간에 철근을 넣고 콘크리트를 채워 보강, 블록조에서 가장 튼튼
150, 안한, 55, 위, 1.2, 1.5, 10, 통, 20
12
- 표준형 벽돌 길이 너비 두께 허용값은 +- ?mm - 내화벽돌, 콘크리트블록은 +- ?mm
3, 2
13
경량기포콘크리트블로 (ALC블록) - 하루쌓기 높이는 표준 ?m, 최대 ?m 로 한다.
1.8, 2.4
14
기초파기 공법 1. 건물 밑부분을 온통 파내는 것 2. 중앙부 먼저 흙파기 후 구조물 축조 3. 연약 지반 히빙현상 예상될때, 주변 먼저 흙파기 4. 흙막이벽으로 설치한 지하연속벽을 본 구조체 벽체로 이용, 지하/지상을 동시에 축조, 공기단축에 유리 5. 기초파기 기준점은 ?개 이상 설치
오픈컷, 아일랜드컷, 트렌치컷, 탑다운, 2
15
흙막이공사 시 지반파괴현상 1. 연약점토지반 굴착시 굴착 저면이 부풀어 오르는 현상 2. 사질지반 굴착시 굴착 저면을 통하여 모래와 물이 부풀어 오르는 현상 3. 사질지반에서 흙막이 배면 미립토가 유실되면서 지반 내에 파이프 모양 수로가 형성되어 지반이 점차 파괴되는 현상
히빙, 보일링, 파이핑
16
예민비 - 이긴 시료 (교란시료) 강도에 대한 자연시료 (불교란시료)의 강도 비 - 사질 예민비 ?에 가깝고 - 점토는 ?~10 정도
1, 4
17
지반 허용지내력 1. 허용지내력 = 허용 ? + 허용 ? 2. 단기응력에 대한 허용지내럭은 장기응력에 대한 허용지내력 값의 ?배로 한다
지지력, 침하량, 1.5
18
표준관입시험 1. ?cm 높이에서 2. ?kg의 떨이공을 자유낙하시켜 3. ?mm 관입시키는데 필요한 타격회수 (N값) 4. ? 지반에 주로 사용
76, 63.5, 300, 사질
19
- 베인테스트는 ?질 지반의 점착력을 판단하는 지반조사방법 - 깊이는 ?m 이내가 적당
점토, 10
20
로드 선단에 설치된 저항체를 지중에 넣고, 관입•회전•인발 등을 통해 토층의 성상을 탐사하는 지반조사 방법은?
사운딩
21
평판재하시험 (직접지내력시험) 1. 재하판 크기는 ?~?cm의 강판 2. 최소 900cm2 이상, 표준 2000cm2 3. 하중을 가하여 ?mm 침하될 때까지 총하중을 지반의 단기지내력으로 추정 4. 총침하량은 24시간 경과 후 침하 증가가 ?mm 이하일때까지 *시험은 예정기초 저면에서 실시 *설계하중의 300%를 기준으로 6단계 이상으로 나누어 재하를 시행
30, 45, 20, 0.1
22
말뚝박기시험 (간접지내력시험) 1. 시험용 말뚝은 ?개 이상 사용 2. 5~10회 타격한 ? 적용 3. 5회 타격 시 관입량 ?mm 이하인 경우 거부로 판단
3, 평균값, 6
23
점토에 하중 가하면, 압력은 ?에서 최대, 모래에 하중 가하면, 압력은 ?에서 최대
주변, 중앙
24
지반개량공법 1. 웰포인트공법 - ? 지반에 집수관을 박고 지하수를 진공펌프로 흡입탈수하여 지하수위를 저하시키는 지반개량공법 2. 샌드드레인공법 - ? 지반에 형성한 모래기둥을 통하여 점토중 물을 지상으로 배수하는 지반개량공법 3. ? 공법 - 기존 건물의 기초나 지정을 보강해주는 방법을 총칭
사질, 점토질, 언더피닝
25
- 밑창콘크리트 품질은 정한바 없는 경우 ? MPa 이상의 것을 사용, 두께 ?cm 정도
15, 6
26
옹벽 가장 일반적 형태로, 높이 3~7.5m 정도 철근콘크리트 옹벽에 사용되는 방식은 ?식옹벽 *3m 이하는 중력식, 7.5m 이상은 부축벽식
캔틸레버
27
옹벽 시공 주의사항 1. 이어치기는 ?방향으로 한다. 2. 수평저항력은 수평력의 ?배 이상 3. 전도에 대한 저항모멘트는 횡토압 전도모멘트의 ?배 이상 4. 신축이음은 옹벽길이 20~30m 간격으로 설치
수직, 1.5, 2
28
트렌치컷 공법은 연약지반에서 ?현상이 예상될때 적용
히빙
29
밑창콘크리트 품질은 설계도서에서 정한 바 없는 경우 설계기준강도 ?MPa 이상 것을 사용한다. *밑창 콘크리트는 건축 기초를 시공하기 전에 바닥을 평평하게 정리하고 기초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얇게 타설되는 콘크리트. 버림 콘크리트라고도 불리며, 구조적 역할보다는 기초 형틀의 위치를 표시하거나 먹매김을 위해 사용
15
30
이중골조구조 수평력 ?% 이상을 부담하는 ? 모멘트골조가 전단벽이나 가새골조와 조합되어 있는 구조방식
25, 연성
31
공간이 일정한 면적으로 분할•구획되는 고층아파트, 호텔 등에 적용되는 구조시스템으로, 수평하중에 따른 전단력을 벽체가 지지하도록 구성된 구조시스템은 ?구조
전단벽
32
건축구조 1. 조적식•일체식구조는 ?구조이다. 2. 수평/수직 슬래브가 합친 건축구조, ?구조 **지붕과 **벽의 결합은 지붕에 많이 사용 3. 기둥과 보가 강접합되어 이루어진 구조, ?구조 4. 가늘고 긴 부재를 핀접합해서 삼각형 형상으로 만든 구조, ?구조 5. 쉘구조 - 외력을 ?으로 처리하여 대공간 조성 가능 6. 현수구조, 막구조는 ? 작용
습식, 절판, 라멘, 트러스, 면내응력, 인장력
33
등분포활하중 (지붕 제외)은 부재 영향면적 ?m2 이상인 경우 저감할 수 있다. *면적이 커질수록 하중을 조금 낮춰도 괜찮다는 뜻
36
34
하중 1. 공동주택 발코니 활하중 ?kN/m2, 거실은 ?kN/m2 2. 설하중은 단기하중, 다설지역에서는 ?하중 3. 풍하중 설계속도압은 공기밀도에 ?하고, 설계풍속의 ?한다. 4. 반응계수가 클수록 지진하중은 ?한다. *반응계수라는 건, 그 건물이 얼마나 튼튼하고 잘 버틸 수 있는지를 숫자로 나타낸 것 5. 풍하중은 각각의 설계풍압에 유효수압면적을 ?하여 계산한다.
3, 2, 장기, 비례, 제곱에 비례, 감소, 곱
35
하중2 1. 지진하중은 고정하중과 적재하중의 합에 수평진도를 ?하여 구한다. 2. 기본지상적설하중은 재현기간 ?년에 대한 최심적설 깊이를 기준으로 한다. 3. 최소 지상설하중은 ? kN/m² *1m²당 약 50kg의 눈 무게를 견딜 수 있도록 설계하란 의미 4. 활하중은 점유•사용에의 하여 발생할 것으로 예상 되는 최대하중으로 용도별 ?값을 적용한다.
곱, 100, 0.5, 최소
36
외부 하중이 작용할 때 부재나 구조물 내부에서 하중에 저항하여 본래 모양을 지키려는 힘은?
응력
37
내진설계 적용 대상 ?층 (목조건축물은 ?층) 이상 또는 연면적 ?m2 (목조는 ?m2) 이상인 건축물
2, 3, 200, 500
38
강도설계법은 안정성 확보를 위해 하중에는 ?계수를, 강도에는 ?계수를 사용한다.
증가, 감소
39
급수압력이 필요 이상으로 높은 경우 ?이 일어나며, 수전 손상이 발생한다.
수격작용
40
고가탱크 주변기 1. 양수펌프 시동•정지를 자동으로 하기 위해 옥상탱크 물속에 설치하는 수위 조절 스위치, ?스우치 2. 넘침관은 양수관의 ?배 정도 큰관으로 한다 3. 전동기 자동제어용 스위치, ?스위치
플로트, 2, 마그넷
41
수조용량 ?m3 이상이 되면, 단수없이 수조 청소•검사•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수조를 사용
4.5, 복식
42
수도직결 계통의 수압시험은 ?MPa 이상 압력으로 실시한다.
1
43
초고층건물 급수조닝 방식중 급수조닝 압력 1. 아파트•호텔 0.3 ~? MPa 2. 사무소 0.4 ~? MPa
0.4, 0.5
44
건물 종류별 1일 인당 급수량 1. 사무소, 관청 ?~? L/인 2. 주택 ?~? L/인
100, 120, 200, 250
45
급수압력 / 기구의 최저 필요압력 1. 세정밸브 (플러시밸브) 최저 ? 2. 자동밸브 ? MPa
0.1, 0.07
46
1. 저수탱크 주변 보수•점검 용이하도록 ?cm 이상 여유공간 확보 2. 강판제 수조의 방청은 ?로 한다.
60, 에폭시수지
47
배관 부식 1. 철 부식은 물속 ?와 ?에 의해 많이 발생 2. 산화는 수온 ?도 전후에서 최대, ph가 ?을수록 크다 3. ? 경향 차이에 의해 이종금속 부식 발생 *전위차로 인해 전자가 이동하며, *** 경향이 큰 금속(양극)은 산화되어 부식되고, 작은 금속(음극)은 보호
용존산소, 염분, 70, 낮, 이온화
48
배수 역류 방지 1. 플러시밸브와 급수관 사이에 ?를 부착 2. 급수관으로 오수가 역류하는 ?이 발생하지 않도록 급수배관
진공방지기, 크로스커넥션
49
급수배관 구배 1. 최소 ?/? 이상 구배 2. 하향배관의 수평주관은 ?구배로 한다 3. 각 층 수평주관은 ?구배로 한다.
1/250, 선하향, 선상향
50
1. 국부적 단수로 인한 급수계통 수량•수압을 조정하고, 배관계통 수리를 위해 배관 분기점에 설치하는 밸브는 ?밸브 *배관 분기점에 설치 2. 유체 마찰 저항 가장 작고, 수압과 수량을 조절하며, 유로를 개폐하는 곳에 사용. ?밸브 *게이트밸브라고도 함
지수, 슬루스
51
1. 급수배관 수리•교체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50mm 이상 큰 배관에는 ?이음 설치 2. 50mm 이하 배관에는 ?이음 설치
플랜지, 유니온
52
수격작용 방지를 위해 수전류 가까이에 ?을 설치
공기실
53
관로에 관성력과 중력이 작용하여 물흐름이 끊기는 현상
수주분리
54
바닥•벽 관통하는 배관, 콘크리트 칠때 미리 ?를 넣고, 그 속으로 관을 통과시켜 배관을 설치, 수리•교체가 용이
슬리브
55
왕복동펌프 (피스톤 등) 중 - 보일러 증기압을 동력으로 하여 보일러 내에 급수하는 펌프는 ?펌프
워싱턴
56
양수펌프 1. 축류형 펌프 - 임펠러 ?의 양력으로 유체 이동 - ?유량, ?압용으로 농업용수나 상하수도 등 대규모 유량 이송에 사용 - 구조가 단순하고 가격이 저렴 2. 용적형 펌프 - 밀폐된 공간에서 유체를 직접 ?내는 방식 - 높은 압력 생성, 일정한 유량 유지 - ?유량, ?압용으로 유압 시스템 - 점성 액체, 고형물 포함된 유체 다룰 때 적합 - 왕복식(피스톤, 다이어프램), 회전식(기어, 로터) - 정밀한 압력 제어가 필요한 시스템
회전, 다, 저, 밀어, 소, 고
57
- 오물 잔재 고형물, 천조각 등이 섞인 물을 배제하는데 사용하는 펌프, ?펌프 - 급탕•난방설비에 설치하여 온수 순환용으로 사용, ?펌프 - 깊은 우물의 물을 퍼 올리는 데 사용하는 펌프 주로 수직형 회전축에 여러 단의 터빈 날개가 꼬치 모양으로 달려 있는 축류식(軸流式) 펌프 구조
논클로그, 라인, 보어홀
58
펌프 양정 1. 실양정 = ?양정 + ?양정 2. 전양정 = 실양정 + ?
흡입, 토출, 마찰손실수두
59
수온과 펌프 흡상 높이 1. 0도 시 이론상 흡상높이 ?m, 실제 높이 ?m 2. 100도 시 이론상 흡상높이 ?m, 실제 높이 ?m *물의 온도가 상승하면 포화증기압이 증가하여 물이 더 쉽게 증발하고, 이는 펌프 흡입구에서 공동현상을 유발 *공동현상이 발생하면 펌프 내부에 수증기가 차서 유체 흐름이 방해되고, 흡상 높이가 감소 *물의 온도가 100°C에 도달하면 물이 끓어 수증기가 발생하여 펌프가 물을 전혀 흡입할 수 없게 됨 *높은 수온에서는 흡상 높이를 유지하기 위해 물의 온도를 낮추거나 펌프 설치 조건을 조정
10, 7, 0, 0
60
펌프 설치 시 주의사항 1. 흡입구는 수면에서 관경 ?배 이상 물속 잠기게 2. 효율 위하여 ?를 낮추어 설치 (짧게) 3. 펌프와 전동기 축을 ?으로 배치
2, 흡상높이, 일직선상
61
펌프를 병렬로 연결하여 운전대수를 변화시켜 양수량 및 토출압력을 조절하는 것은 ?방식
대수제어
62
공동현상 *속도변화에 따른 압력변화로 유체 내 빈공간이 생기는 현상 1. ?이 너무 높을때 발생 2. ****을 ?게, 펌프 회전수를 ?게, 수온을 ?게 한다 3. 흡입배관의 관경을 ?게 한다 *유속이 낮아지고, 마찰손실이 줄어들어 공동현상 발생 위험이 감소
흡입양정, 짧, 낮, 낮, 크
63
펌프 상사의 법칙 *회전수 변화에 따른 유량, 양정, 축동력의 변화 (?)수량, (?)양정, (?)동력. 회전수에 비례 (?), 제곱 비례 (?), 세제곱 비례 (?) *회전수 2배 올리려면 동력 8배가 필요
양전축 123
64
동일특성을 갖는 펌프를 직렬 연결하면 ?이 2배 증가, 병렬 연결하면 ?이 2배 증가
양정, 유량
65
- 주택용 급수배관 내 유속은 ?~?m/s 이하가 바람직 - 배관 구경 (mm) 15, 20, 25, ?, 40, 50, 65, 80, 100
1, 1.5, 32
66
펌프를 적은 유량 상태로 가동 시 송출유량/압력의 변동 반복으로 소음•진동이 심해지는 현상, ?/?현상
맥동, 서징
67
연료가 연소할 때 발생되는 수증기의 잠열을 포함한 총발열량
고위발열량
68
절수설비•기기 기준 1. 수도꼭지, 최대토수량 1분당 ?L 이하, 공중용은 ?L 이하, 샤워용은 ?L 이하 2. 대변기는 사용수량 ?L 이하, 소변기는 ?L 이하
6, 5, 7.5, 6, 2
69
급수부하단위는 ? 유량 (30L/min)을 1단위로 하여, 각 위생기구 단위를 산출하고 급수량을 정하는 방법
세면기
70
1. 물질이 상태 변화 없이 온도만 변화할 때의 열 에너지 2. 온도는 변하지 않고, 물질이 고체, 액체, 기체로 상태를 변화할 때 필요한 에너지
현열, 잠열
71
온도의 관계 1. 섭씨온도 = 5/9 × (화씨온도 - ?) 2. 화씨온도 = 9/5 × 섭씨온도 + 32 4. 절대온도 = ? + 섭씨온도 *분자운동이 완전히 멈추는 온도 *물질 내 모든 열 운동이 중지된 상태를 의미하며, 이론적으로 더 낮은 온도는 없음
32, 273.15
72
(?) (열량, kW) = 물의 (?)열 (4.2kJ/kg•’C) X 급탕(?) (kg/s) X 온도(?) (‘C) ——————- ?00 (급탕량이 시간당으로 주어질 경우, 분당은 60, 초당은 1 적용) *1kW = 1000w = 1000J/s *1kW = 1kJ/s = 3600 kJ/ *1kW = 102kg•m/s *1kW = 약 102kg의 물체를 1초에 1미터 들어올릴 수 있는 힘
급탕부하는 비량차 36
73
마찰손실수두 (m) = (?)찰계수 X 배관(?)이 X (?)속 제곱(?) ---------------------------------- (?)(?)력가속도 X 배관(?)경 *중력가속도 = 9.8m/s2
마길유투 2중직
74
(?)량 = (?)면적 X (?)속 Q = A (ㅠr2) X v Q : m3/sec A : m2 유속 : m/sec *유속은 단면적에 반비례, 반지름의 제곱에 반비례
유단유 초
75
물의 (?)중 X 펌프 (?)양정 X (?)수량 ———————————————— (펌프 축(?)력 =) ? X 효율 (펌프 축(?)력 =) ? X 효율 *물의 비중 : 1,000kg/m3 *양수량 : m3/min *전양정 : m
비전양 동612 마45 분
76
보일러 가열장치 1. 소규모 건물 급탕설비에 이용, 팽창탱크 X, ?식 *온수를 미리 저장하지 않고, 물이 필요할 때 즉시 가열하여 공급하는 방식 2. 대규모 건물, 팽창탱크 O, ?식 *물을 미리 가열하여 온수탱크에 저장한 뒤 필요할 때 사용하는 방식 *온수를 즉시 대량으로 사용, 사용 중 찬물이 나오는 현상이 없고, 초기 온수 공급 속도가 빠름 *온수탱크를 지속적으로 가열, 에너지 효율이 낮음, 설치 공간이 크고 제품 가격이 상대적으로 높음
순간, 저탕
77
급탕방식 [개별식] 1. 순간온수기 : 소규모 건물 2. 저탕형 탕비기 - 간접가열식일때 저탕조 용량은 1시간 최대급탕량의 ?~?% - 온수 온도 유지위해 서모스탯 설치 3. 기수혼합식 - 증기를 물속에 직접 불어넣어 온수를 얻는 방식 - 열효율 100%, ?압 증기 사용으로 소음이 ?다 - 소음이 발생을 줄이기 위해 스팀 사일런서를 설치 [중앙식] 1. 직접가열식 - 계속된 급수, 스케일 발생, 보일러 수명 ?다 - 건물이 높으면 고압보일러 필요 2. 간접가열식 - 난방용 보일러 사용시 급탕용 보일러 설치 필요 ?다 - 건물 높이에 따른 수압이 저탕조에 작용, 고압용 보일러 필요 ?다
60, 90, 고, 크, 짧, 없, 없
78
급탕배관 1. 배관방식 - 단관식, ?m 이내 배관 짧은 주택, 소규모 건물 - 순환식(복관식), 대규모 건물에 사용 2. 순환방식 - 중력식, 강제식 3. ?방식 - 온수 순환을 균일하게 하기 위하여 온수공급관과 반송관 배관 길이를 동일하게 하는 방식 - ?설비와 온수난방에서 사용
15, 역환수, 급탕
79
급탕/반탕 배관 관경 1. 관경은 최소 ?A 이상 2. 급탕관은 급수관보다 한단계 ? 치수 사용 *팽창관과는 동일한 치수 3. 반탕관은 급수관보다 ? 치수 사용
20, 큰, 작은
80
급수배관 구배 1. 중력순환식은 ? 이상, 강제순환식은 ? 이상 2. 급탕주관은 ?구배, 반탕관은 ?구배
1/150, 1/200, 상향, 하향
81
1. 배관 팽창•수축을 흡수하기 위해 ?이음쇠 사용 *스위블이음, 슬리브형이음, 벨로즈형이음, 신축곡관, 볼조인트 2. 설치간격은 강관 ?m, 동관 ?m, PVC ?m
신축, 30, 20, 10
82
팽창관(도피관), 팽창탱크 *체적 팽창으로 인한 문제를 “도피”시키는 기능을 하므로 … 1. 개방형 팽창탱크는 최고층 급탕전보다 ?m 높게 설치 *수압을 확보하고, 온수와 냉수의 비중 차이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함 2. 밀폐형 팽창탱크는 개방형보다 ?야 3. 팽창관 도중에 절대 ? 설치 불가 4. 팽창탱크 배수는 ?배수로 한다
5, 커, 밸브, 간접
83
?공법 효율적이고 균등한 온수 공급이 중요한 급탕설비에서 사용되는 배관 방식으로, 설치 비용은 높지만 유지 관리가 용이하고 온수 공급 품질이 뛰어난 특징
헤더
84
배수관에 바로 연결않고 도중에 끊어서 (배수공간을 두고) 대기에 개방시키는 배수방식, ?배수 *오염을 방지 *수영장, 급수탱크 넘침관, 소독기 등에 사용
간접
85
배수관 구배/관경 1. 표준구배는 ?~? *급수는 1/250 2. 옥내배수관 구배는 관경의 역수보다 ?게 한다 3. 유속은 0.6 ~ 1.2m/s 정도 4. 관경이 작을수록 구배는 ?게 한다 5. 일반적으로 구배는 관지름의 ?
1/50, 1/100, 크, 크, 역수
86
배수관 관경 결정 1. 세면기 순간최대배수량 ?L/min을 기준으로 기구배수부하단위를 1로 설정 2. 대변기는 ?, 소변기는 ? 3. 수평지관은 배수 흐르는 방향으로 ?하지 않는다 5. 수직지관은 가장 큰 배수부하 담당 최하층 관경을 최상층까지 ?하게 적용
30, 8, 4, 축소, 동일
87
배수 청소구 - 수직관의 ?, 수평관의 ? - 배관이 ?도 이상 구부러진 곳 - 수평관 관경 100mm 이하는 거리 ?m 마다, 이상은 ?m 이내마다
최하단부, 최상단부, 45, 15, 30
88
사이펀식 트랩 1. 대소변기용 ?트랩 2. 세면기용 ?트랩 3. 공공하수관의 하수가스 역류방지용 ?트랩
S, P, U
89
비사이펀식 트랩 - 화장실/샤워실 ?닥 배수용 ?트랩 - ?방 싱크의 배수용 ?트랩 *다량의 물이 고여 봉수가 잘 파괴되지 않는다
바벨주드
90
트랩의 봉수 깊이는 ? ~ ?mm 정도
50, 100
91
트랩 봉수파괴 원인 - 자기사이펀 작용 - 유인사이펀 작용 : 수직관 ?에서 발생 - 분출(토출)작용 : 수직관 ?에서 발생 - 모세관현상 - 사이펀/분출작용 방지 위해 ? 설치
상부, 하부, 통기관
92
통기관 종류 1. 각개통기관 - 가장 이상적 통기방식 - 수직올림위치는 동수구배선 ?에 2. 루프통기관 - 2~8개 트랩 보호…최상류 위생기구…연장 7.5m 이내 3. 도피통기관 - ?통기관 능률 향상위해 - 최하류 기구배수관과 통기수직관 사이에 설치 4. 습식통기관 - 통기와 ?역할을 함께, 대기중에 개구 5. 신정통기관 - 관경 그대로 배수수직주관 끝을 ?으로 연장 - 가장 높은 기구 물넘침선보다 ?mm 이상에서 배수수직관에 연결 6. 결합통기관 - 고층건물 ?수직주관과 통기수직관을 접속 - 5개층 마다 설치, 배수수직주관의 통기를 촉진 7. 공용통기관 - 같은 레벨의 2개 이상 위생기구 배수관 ?에 접속되어 수직으로 세운 통기관
위, 루프, 배수, 옥상, 150, 배수, 교점
93
통기관 관경 1. 각개•도피통기관 - 배수관 1/2보다 크고, ?mm 이상 2. 루프(회로)통기관 - 배수수평지관 또는 통기수직주관의 작은쪽 관의 1/2보다 크고, ?mm 이상 3. 결합통기관 - 배수 또는 통기수직주관의 ?쪽 관경으로 하되, ?mm 이상 4. 신정통기관 - 배수수직관 관경 이상
32, 32, 작은, 50
94
배수관 내에 유입된 배수가 상층부에서 하층부로 낙하하면서 증가하던 속도가 더 이상 증가하지 않을 때의 속도를 ?이라고 한다.
종국유속
95
배수•통기관 배관 시 주의사항 1. 바닥 ?의 통기배관은 금지 2. ? 트랩이 되지 않도록 한다 3. 기구의 오버플로우면 (?mm) 이상 입상시킨 다음 통기수직관에 연결 4. 각개통기관은 동수구배선 ?에서 배수관에 접속 5. 변기는 수직주관 ?에 설치 6. 발포존 발생 줄이기 위해 배수수평지관 길이를 ?게, 저층부와 고층부 배수계통을 ?로. 7. 배수관 자정작용 위해 ?m/s 이상 유속 유지
아래, 2중, 150, 위, 가까이, 짧, 별도, 0.6
96
특수통기방식 - 소벤트방식 : 하나의 관으로 배수와 통기를 겸 *공기혼합•분리이음쇠 설치 - 섹스티아방식 : 하나의 관으로… - ?통기방식을 변형시킨 것이다. *모두 하나의 관으로…
신정
97
대변기 세정방식 1. 분수구멍에서 높은 압력으로 물을 뿜어 내어 오물을 배출하는 대변기 세정방식으로 세정소리가 큰 방식, ?식 2. 사이펀작용에 물의 회전운동을 주어 와류작용을 가한 대변기 세정방식으로 세정소리가 작고, 근래에 도입된 방식. ?식 3. 성능이 가장 우수한 대변기 세정 방식. ?식
블로우아웃, 사이펀볼텍스, 사이펀제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