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파동이 전달될 때 매질이 이동하는가?
아니요
2
오개념 지도 - 금속으로 만들어진 모든 물체는 자석에 붙는다.
자석에 잘 붙지 않는 금속을 관찰하게 한다.
3
높은 소리와 큰 소리를 동일하게 인식하거나 구분하지 못하는 학생 지도
피아노의 같은 음을 다른 힘으로 칠 때 소리의 높낮이는 같지만 세기가 다르다는 것을 확인
4
오개념 - 소리 입자가 직접 전달된다
진공 상태에서 소리가 들리지 않는다.
5
오개념 - 부드러운 물체를 만나면 소리의 일부가 사라진다
에너지 보존 법칙에 의해 사라지는 것이 아닌 소리의 일부가 흡수되는 것으로 지도
6
오개념 - 물체의 부피가 클수록 무게도 무거울 것이다.
부피는 작지만 상대적으로 무거운 쇠구슬과 부피는 크지만 상대적으로 가벼운 스티로폼 공의 무게 비교
7
오개념 - 용수철은 힘을 주면 늘어났다가 원래의 길이로 돌아오는 성질만 있다
볼펜, 종이찍개, 누름용수철처럼 줄어들었다가 원래의 길이로 돌아오는 성질도 있다
8
오개념 - 나무 그늘 속 사람의 그림자는 나무 그늘과 같은 색이어서 보이지 않는다
빛을 비출 때만 그림자가 생기는 것임
9
오개념 - 거울에 물체의 모습이 비치는 것은 눈에서 나온 빛이 거울에 반사되어 물체에 닿기 때문이다.
빛이 전혀 없는 어두운 방에 인형이 있을 때 인형을 볼수 있을지 생각해보게 한다
10
오개념 - 금속은 차가운 물질이다
같은 장소에 있는 금속과 나무의 온도는 같다
11
빛의 직진을 눈으로 보기 위한 방법
우유, 향연기
12
오개념 - 볼록렌즈는 빛을 모으기만 하면 된다
볼록 렌즈에서 종이를 점점 더 멀리하며 빛이 다시 퍼지는 것을 관찰하게 한다
13
초등 수준에서 무게와 질량 구분
구분하지 않으며 무게를 비교하는 단위로 kg, g을 사용
14
기준 물체의 조건
무게 일정, 비교하는 물체보다 가볍다, 크기가 알맞은 물체
15
용수철이 과압축되어 잘 늘어나지 않을 때 해결 방안
영점 조절용 추를 미리 걸어 놓고 영점을 조절한 후 실험을 시작한다
16
소리굽쇠를 물에 넣어 소리의 떨림을 느껴보는 실험에서 유의할 점
소리가 나는 소리굽쇠와 소리가 나지 않는 소리굽쇠를 동시에 넣어 비교한다
17
유리병에 입김을 불거나 막대로 두드릴 때 높은 소리가 나는 조건
불때는 물 많이, 칠때는 물 적게
18
기체를 통해 소리 전달하기 실험에서 공기를 뺄 수 있는 장치 사용 시 유의할 점
장치 자체의 떨림 방지를 위해 탈지면을 깐다
19
오개념 - 소리 입자가 직접 전달된다.
소리가 입자라면 진공 상태에서도 소리가 들려야 한다.
20
실 전화기의 소리 전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
실의 길이, 실의 굵기, 실에 물을 묻혔는지의 여부
21
자석과 자석에 붙는 물체 사이에 작용하는 힘의 특징
비접촉력
22
오개념 - 자석이 철을 끌어당긴다. 철은 자석을 끌어당기지 않는다 지도방안
자석보다 무거운 물체에 자석을 가까이 가져가면 자석이 물체에 끌려가서 붙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다
23
막대자석과 철 클립 사이 철판을 넣어도 서로 붙는다
X
24
자석의 극을 알아보는 실험에서 볼트와 너트 관리시 주의할 점
볼트와 너트가 자기화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25
자석 주변 나침반 바늘 움직임 관찰 실험에서 주의할 점
나침반의 투명한 부분을 헝겊으로 문지르지 않는다
26
철로 된 머리핀으로 나침반 만들 때 유의할 점
머리핀의 한쪽 끝이 자석 밖으로 튀어나오지 않게 한다
27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까닭, 구름이 하얗게 보이는 까닭
빛의 산란
28
오개념 - 높은 산에 올라가면 태양과 가까워지므로 온도가 높아질 것이다 지도방안
높이 올라갈수록 지구 복사 에너지가 적게 도달하므로 온도가 떨어진다.
29
바닷물을 사람이 마시기에 적당하지 않은 까닭
체내 염류의 양이 많아져 배출할 때 수분이 많이 빠져나가 탈수 증상을 겪게 된다
30
지구에서 달의 뒷면을 볼 수 있는가?
X
31
항성월과 삭망월이 차이 나는 까닭
지구도 태양 주위를 공전하기 때문이다
32
달이 뜨는 시각이 매일 50분씩 늦어지는 까닭
달이 지구를 공전하여 서에서 동으로 이동하므로
33
달의 위상 변화 원인
달이 지구 주위를 서쪽에서 동쪽으로 공전하기 때문에
34
일식과 월식이 매달 일어나지 않는 까닭
황도와 달의 공전 궤도가 5°정도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35
위치에 따른 행성 분류 시 지구
어느 곳에도 속하지 않는다
36
지구, 달, 태양간의 인력으로 생기는 밀물과 썰물 반복 현상
조석 현상
37
별의 밝기 등급이 높을수록 밝은 별이다.
X
38
북극성 찾는법
북두칠성의 국자 모양 끝부분 길이의 약 5배 떨어진 곳 카시오페이아자리의 W자 형태의 양쪽 변을 이은 연장선이 만나는 점에서 가운데 별까지의 간격에 약 5배 떨어진 곳
39
북극성은 지구 자전축의 연장선과 일치하여 시간이 지나도 바뀌지 않는다
X
40
행성의 겉보기 운동에서 역행이 나타나는 이유
지구와 행성의 공전 속도 차이 때문에
41
지구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자전한다
X
42
지구의 자전을 느끼지 못하는 까닭
우리도 지구와 같은 방향과 속력으로 운동하고 있기 때문이다 (변화 중심적 사고)
43
파원과 관찰자의 상대 운동에 따라 진동수와 파장이 달라지는 것
도플러 효과
44
계절별 별자리란
해당 계절에서 밤 9시경 남쪽을 보았을 때 관찰할 수 있는 별자리
45
다른 계절에도 계절별 별자리를 볼 수 있는 까닭
동쪽에서 남쪽을 거쳐 서쪽까지에 해당하는 약 180°의 시야각에서 보이기 때문이다
46
구름은 수증기로 이루어져 있다 오개념 지도방안
수증기는 눈에 보이지 않는다
47
응결핵이 구름이 잘 생기는 이유
주변 공기와의 접촉 면적이 줄어들어 물방울이 쉽게 증발하지 않는다
48
1기압보다 높으면 고기압이다
X
49
태양 빛이 광선처럼 보이도록 하기 위해 사용하는 도구
슬릿
50
남중고도 계산 식
90°-남중고도+태양 적위
51
계절별 남중 고도 변화 원인
지구 자전축이 기울어진 채 태양 주위를 공전하기 때문
52
지구가 태양을 공전함에 따른 태양과 지구 사이의 거리가 기온에 영향을 준다
X
53
배추흰나비 실험에서 방충망을 사용하는 목적
기생벌을 막는 것
54
오개념 - 한살이는 동물이 점점 자라는 것을 의미한다
동물이 태어나고 죽을 때까지 전 과정을 한살이라고 한다
55
오개념 - 곤충은 날개가 두 쌍이다
모기나 파리처럼 한쌍으로 보이는 것도 있고, 이나 벼룩처럼 날개가 없는 것도 있다
56
불완전 탈바꿈 곤충은 허물을 벗지 않는다
X
57
씨 발아에 빛이 영향주는지 알아보는 실험 유의점
접시 아래에 지우개를 받쳐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한다, 광발아, 암발아 씨를 사용하지 않는다
58
오개념 - 식물의 씨는 깊게 심는 것이 좋다
씨를 너무 깊게 심으면 공기가 통하지 않아 썩는다
59
강낭콩 뿌리가 나오는 부분
배꼽의 윗부분
60
모든 곤충에 더듬이가 있는 것은 아니다
X
61
소나무와 은행나무 같은 겉씨식물의 분류기준으로 잎맥의 모양이 적합한가?
적합하지 않지만 초등 수준에선 허용한다
62
오개념 - 민들레는 줄기 끝에 꽃이 핀다
민들레는 줄기가 없고 잎이 뿌리에서 나오며, 잎 사이에서 꽃대가 올라와 그 끝에 꽃이 핀다
63
오개념 - 바다에 사는 파래, 미역, 다시마, 김도 수생식물이다.
뿌리, 줄기, 잎이 구분되지 않는 원생생물이다
64
오개념 - 부레옥잠은 물에서 살기 위해 공기주머니를 갖게 되었다
다양한 생김새의 부레옥잠 중 통통한 잎자루가 생존에 유리하여 자연선택되었다
65
바닷가의 사는 식물들 생존 방법
세포 내 삼투압을 높이는 물질을 생성
66
효모 실험 시 유의점
40도 이상의 물에서 성장이 억제된다
67
버섯의 포자 관찰 방법
검은색 도화지 위에 잘 핀 버섯의 갓을 놓아두고 하루 기다리면 무늬가 생긴다
68
버섯을 식물로 생각하는 오개념 지도 방안
몸 전체가 균사로 이루어진 균사체, 스스로 양분을 만들지 못함
69
짚신벌레 표본 제작 시 유의점
탈지면을 조금 떼어 만든다, 아라비아고무, 메틸셀룰로스, 녹말 수용액 등을 섞어 점성을 높여준다
70
표본 제작 시 유리끼리 들뜨지 않기 위한 방법
물을 한 방울 떨어뜨린다
71
오개념 - 세균과 바이러스는 같은 종류이다
바이러스는 세포에 접해 있지 않을 때 생명 현상이 나타나지 않으므로 생물이라고 할 수 없다
72
오개념 - 배율을 높이려면 회전판을 돌리기 전에 재물대를 먼저 아래로 내려야 한다
회전판을 돌리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73
오개념 - 서식지와 생태계를 같은 의미로 생각
서식지는 동물이 특정한 곳에 자리를 잡고 사는 곳이고, 생태계는 생물 요소와 비생물 요소를 모두 포함한 것
74
오개념 - 먹이 관계만 있으면 생태계 평형이 유지된다
생물 요소와 비생물 요소가 모두 유지되어야 한다
75
콩나물 햇빛 실험 시 유의점
어둠상자 아래에 나무젓가락을 놓아 공기가 통하도록 한다
76
얼음을 이용한 대류 실험 준비물
쇠솜
77
오개념 - 끓음이 일어날 때 증발이 함께 일어난다
증발은 끓는 점보다 낮은 온도에서 일어난다
78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