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심층신경망을 활용한 머신러닝 학습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딥러닝
2
다음 중 머산러닝과 딥러닝의 차이에 대한 기준이 아닌 것은?
인간의 능력과 비교
3
강화학습의 주요 개념 중 주어진 문제 상황에서 행동하는 주체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에이전트
4
여러 문제와 답을 함께 학습함으로써 미지의 문제에 대한 올바른 답을 예측하고자 하는 학습방법은 무엇인가?
지도학습
5
신경망의 오차를 출력층에서부터 입력층으로 거꾸로 전파시켜 나가며 각 층의 가중치를 계산하는 방법으로, 가중치와 편향을 수정하면서 학습할 수 있는 이 방식은 무엇인가?
역전파
6
다음 중 딥러닝과 관련된 주요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는 것은?
은닉층: 입력값과 가중치를 곱한 뒤 편향을 더한 값이다 문제 만들기
7
딥러닝 학습 중 입력층에서 출력층 방향으로 연산이 진행되면서 최종 출력값이 도출되는 과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순전파
8
다음 중 순환 신경망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입력 게이트, 출력 게이트, 망각 게이트로 이루어져 있다.
9
다음 중 플랫폼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간결하면서도 단편적인 형태로 비즈니스가 이루어진다.
10
다음 중 글로벌 IT 기업이 아닌 것은?
나이키
11
마이크로소프트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무엇이라고 부르는가
애저
12
구글이 클라우드 서버 자원을 무료로 배포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고객 확보를 위해
13
산업혁명 이후 기계에 의해 일자리를 잃게 될 것이 두려웠던 노동자들이 공장의 기계를 부수기 시작하며 발생한 운동은 무엇인가?
러다이트 운동
14
초연결사회에서 플랫폼을 소유한 극소수 글로벌 IT 기업이나 정치 엘리트, 예체능스타, 로봇설계자를 가리켜 무엇이라고 하는가?
플랫폼 스타
15
새로운 것을 생각해내는 능력을 의미하며, 일상에서 새로운 문제 또는 관계를 발견하거나 독특한 아이디어를 산출하는 사고능력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창의력
16
자동화 설비를 이용해 근로자들의 일자리를 뻿는 회사들에게 매기는 세금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로봇세
17
‘유럽을 위한 인공지능 정책’과 ‘AI 데이터 전략’을 토대로 정책을 펼치고 있는 국가는 어디인가?
EU
18
다수의 개별 기기와 하나의 중앙 서버가 협력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고 학습하는 기술을 무엇인가?
연합학습
19
토지, 자본, 노동력 등 생산의 여로 요소들이 투입된 양과 그것으로써 이루어진 생산물인 산출량의 비율을 나타낸 것으로, 투자 대비 결과물에 대한 효율성을 측정하는 척도는 무엇인가?
생산성
20
미래에 인공지능이 바꿀 변화상 중 핵심 분야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복지
21
다음 중 STEM 에 해당하지 않는 과목은?
국어
22
로봇의 노동으로 생산하는 경제적 가치에 부과되는 세금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로봇세
23
인간의 사상 또는 감정을 표현한 창작물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저작물
24
다음 중 창의적 사고와 관련이 없는 것은?
초지능 기계는 인간의 지적 능력과 큰 차이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