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특수한 형태의 교류 발전기로 점화에 필요한 전기를 생산해 주며 점화시기를 조절해 주는 것은?
마그네토
2
마그네토를 발생 전압에 의해 분류하면 어떻게 나뉘는가?
고압 마그네토와 저압 마그네토
3
고압 마그네토는 일반적으로 저공비행에 사용하는 데 고공비행을 하면 어떤 장애가 있는가?
플래쉬 오버 현상
4
저압 마그네토에서 1차 코일의 저전압을 받아 점화 시기에 맞게 분배해주는 것은?
배전기
5
마그네토 형식에 따라 분류하면 어떻게 나뉘는가?
단식 마그네토 복식 마그네토
6
마그네토 형식 기호에서 첫 번째 기호가 의미하는 것은?
마그네토 형식 (단식, 복식)
7
마그네토 형식 기호에서 두 번째 기호가 의미하는 것은?
마그네토 장착 방법 (베이스 부착, 플랜지 부착)
8
마그네토 형식 기호에서 세 번째 기호가 의미하는 것은?
실린더 수
9
마그네토 형식 기호에서 네 번째 기호가 의미하는 것은?
마그네토의 회전 방향
10
마그네토 형식 기호에서 다섯 번째 기호가 의미하는 것은?
제작회사
11
마그네토에서 자기회로 구성품 3가지
회전 영구자석 코일 코어 풀슈
12
회전 양구자석 2개의 반대 극이 풀 슈와 완전히 일치되는 위치는?
최대자속 위치
13
회전 영구자석이 움직여 풀슈에서 점점 멀어지게 되고 최대 위치로부터 45도 지난 위치는?
중립 위치
14
마그네토에서 자장의 변화가 가장 큰 곳이 되는 지점은?
중립위치(45도)를 지나 자력선이 0이 되는 지점
15
마그네토 풀 슈의 재질은 무엇인가
고급 연철판
16
마그네토의 회전자석이 중립 위치를 지나 1차 코일에 자기응력이 최대가 되는 위치는?
E-gap위치
17
중립위치로부터 브레이커 포인트가 떨어지려는 순간까지 회전자석의 회정 각도를 크랭크축 회전각도로 환산하여 표시한 각도를 무엇이라 하는가
E-gap
18
E-gap 각도의 정의는 회전자의 중립위치와 어느 위치의 각도를 말하는가
브레이커 포인트 접점이 열리는 위치에서 회전자의 중립 위치를 지나는 각도
19
E-gap 각도일 때 자속과 1차 전류는 어떻게 되는가
자속은 최대가 돠며, 1차 전류가 최대가 된다
20
마그네토에서 1차 회로와 2차 회로를 쉅게 구분하는 방법은?
브레이커포인트 접점
21
마그네토에서 1차 회로에 콘덴서와 함께 병렬로 연결 돼있고 캠의 의해 1차 회로를 단속시키는 구성품은?
브레이커포인트
22
브레이키포인트의 재질은?
백금 이리디움
23
고전압 점화 케이블응 설치할 때 분배기에서 플러그 사이에 배관을 설치하는 이유는?
작동 중 전자파의 발산 방지
24
브레이커포인트의 갭이 커지면 발생하는 2가지 현상은 무엇인가?
조기점화 스파크가 약해진다
25
마그네토에서 안전 갭의 목적은 무엇인가
2차 코일의 절연을 보호
26
마그네토에서 회전자가 어느 지점에 있을 때 브레이커포인트가 열리기 시작하는가
중립위치를 약간 지난 위치
27
실린더에서 점화가 발생할 때 피스톤의 위치는?
압축행정의 상사점 전
28
고압 마그네토 계통의 세 가지 주요 회로는?
회전 영구자석 1차 전기회로 2차 전기회로
29
고압 마그네토에서 콘덴서의 역헐 2가지는?
접점에서 아크를 예방 철심의 잔류전류를 없애준다
30
마그네토에 장착된 콘덴서나 코엘에 묻은 그리스나 탄소의 제거에 적합한 세척액은?
아세톤
31
마그네토 접지상태 점검 시 정확한 작동상태를 알 수 있는 방법은?
rpm이 약간 떨어진다
32
작동 중인 엔진의 마그네토의 잡지선이 단선되었다면 엔진의 상태눈 어떻게 되는가
꺼지지 않는다
33
마그네토에서 콘덴서의 용량이 너무 크면 어떻게 되는가
스파크가 약해진다
34
마그네토에서 콘덴서가 불량이면 어떻게 되는가
접점이 탄다
35
마그네토를 장착할 때 어느 실린더를 기준으로 하여 장착하는가
1번 실린더
36
고압 마그네토에서 브레이커포인트의 틈새를 크게 하면?
점화 시기는 지체되고 세기는 커진다
37
브레이커포인트 덥점의 간격은?
0.04mm(0.0015in)
38
마그네토가 탈거되어있는 상태에서 E-gap위치와 브레이커포인트가 떨오지려는 순간을 맞추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내부 점화시기 조절
39
마그네토에서 E-gap위치는 배전기 회전판의 무엇으로 표시되어 있는가
I-mark
40
마그네토에서 접점이 열리는 정확한 순간을 알기 위해 사용되는 장비는?
타이밍 라이트
41
1본 실린더의 점화진각에 피스톤이 있을 때 마그네토와 브레이커포인트가 떨어지는 순간을 맞추는 것은?
외부점화 시기 조절
42
외부점화 시기와 내부점화 시기가 맞는지 확인하는 방법은?
I-mark가 맞게 장착하고 타이밍 라이트로 확인한다
43
피스톤의 위치 측정 방법 3가지는?
상사점 지시기 타이밍 디스크 타임 라이트
44
마그네토의 캠 로브가 마모되면 점화 시기는 어떻게 되는가
늦어진다
45
플랜지 타입의 플로펠러에서 타임마크의 26이 의미하는 것은?
압축 상사점 전 26도
46
보종석의 스위치놔 마그네토의 1차 회로를 연결하는 전선은 무엇인가
p-lead선
47
p-lead선을 이용한 점검 방법은?
타이밍 라이트를 이용한 내부점화시기 조절
48
마그네토 작동 중 내부에서 산화질소가 발생하여 플래쉬 오버 현상이 일어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산화질소를 대기 중으로 방출하는 통로는?
벤트 플러그
49
마그네토가 점화 필요한 전압을 생산할 슈 있는 최저가능속도로서 엔진이 가장 느리게 회전하면서 점화시킬 수 있는 속도는?
커밍-인 스피드
50
엔진 회전이 마그네토를 작동될 만큼의 회전속도가 나오지 않을 때 커밍-인 스피드에 도달하는데 이 때 임펄스 코플링이 저속으로 회전하는 마그네토를 순간적으로 고속의 회전을 할 수 있게 하는 시동 보조 장비는?
임펄스 커플링
51
시동 스위치에 연동 되어 배터리 전압을 코일에서 고전압으로 승압시켜 강력한 불꽃을 만드는 시동 보조 장치는?
부스터 코일
52
현대의 성형기관에 사용하는 장치이며 시동스위치에 연동되어 배터리 전압울 전동기에 의해 1차 코일로 공급하여 2차 코일에서 승압시켜 점화전으로 공급하는 시동 보조 장치는?
인덕션 바이브레이터
53
마그네토를 off시킬 때 1차 회로는 어떻게 되어 있어야 하는가
접지
54
왕복기관 점화계통의 종류 2가지는 무엇인가
축전지 점화계통 마그네토 점화계통
55
마그네토의 브레이커포인트가 마모되면 점화 시기는 어떻게 되는가
빨라진다
56
마그네토를 엔진에 장착하는 방법 2가지는?
베이스 장착 플랜지 장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