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조선총독부로부터 치안권을 이양받은 여운형은 조선건국동맹을 중심으로 ( )를 조직하였다.
조선건국준비위원회
2
모스크바 3국 외상회의에서는 최고 5년간의 ( ) 실시가 결정되었다.
신탁통치
3
제 1차 미소공동위원회 결렬 후 이승만은 통일저정부 수립이 어렵다면 남한이라도 정부를 수립해야 한다는 ( ) 을 발표하였다.
정읍발언
4
여운형과 김규식 등 중도세력은 통일정부 수립을 위해 ( ) 을 전개하였다.
좌우합작운동
5
( )는 21세 이상 모든 국민에게 투표권을 부여한 우리나라 최초의 민주주의 선거
5.10총선거
6
제헌법은 ( )과 대통령 중심제를 채택하였다.
삼권분립
7
제헌국회는 일제강점기의 반민족 행위자 처벌 및 재산 몰수 등의 조항이 담긴 ( ) 을 제정하였다.
반민족행위처벌법
8
남한과 북한은 서로의 체제를 비난하면서 ( )부근에서 크고 작은 무력 충돌을 벌였다.
38도선
9
미국은 미국의 태평양 방위선에서 한반도를 제외한다는 ( )을 발표하였다.
애치슨 선언
10
1950년 6월 25일새벽 북한은 기습적이고 전면적으로( )을 강행하였다.
남침
11
국군과 유엔군은 ( )에 성공하여 전세를 역전하였다.
인천상륙작전
12
전쟁이 끝난 이후 ( )이 체결되었다.
한미상호방위조약
13
6.25전쟁 이후 제분업,제당업,면방직공업 등 이른바 ( )이 발달되었다.
삼백산업
14
이승만은 장기 집권을 위해 대통령의 3선을 금지하는 내용의 헌법을 개헌하려고 하였고, 반올림의 논리를 적용하여 개헌안은 통과시켰다고 하여 ( )이라 한다.
사사오입 개헌
15
이승만 정부는 이기봉을 부통령으로 당선시키기 위해 부정선거를 벌였다.( )
3.15 부정선거
16
( )은 학생과 시민의 힘으로 독재정권을 무너뜨린 민주주의 혁명이다.
4.19혁명
17
과도정부는 양원제 국회 구성과 ( )를 핵심으로 하는 헌법을 개정하였다.
내각 책임제
18
박정희는 장면 정부의 무능과 사회 혼란을 구실로 ( )을 일으켰다.
5.16 군사정변
19
미국이 한.미.일 3각 안보 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를 요구하자 박정희 정부는 경제개발 자금을 마련하려고 일본과 회담을 시작하였다.
한일 국교정상화
20
박정희 정부는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추진한다는 명분으로 ( )을 추진하였다.
3선 개헌
21
1972년 남북한 댱국자가 비밀리에 상호 방문하고 ( )을 발표 하였다.
7.4 남북공동서명
22
( )은 대통령 임기를 6년으로 하고 중임제한 규정을 두지 않았다.
유신헌법
23
1976년에는 재야인사들이 명동성당에 모여 유신체제를 비판하는 ( )을 발표 하였다.
3.1 민주구국 선언
24
1979년 전두환과 노태우는 ( )를 통해 군사권을 장악하였다.
12.12 사태
25
박정희 대통령이 중앙보부장 김재규의 총의 맞아 사망한 ( )로 유신체제는 막을 내렸다.
10.26 사태
26
신군부의 계엄령에 대항하여 학생과 민주 인사생들은 신군부 퇴진, 계엄령 철폐 등을 요구하며 1980년 5월까지 민주화 운동을 벌였는데 이를( )이라고 한다.
서울의 봄
27
( )운동은 1980년대 이후 전개된 민주화 운동의 원동력이 되었으며 그 기록물은 2011년 유네스코 세계 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5.18 민주화운동
28
신군부는 전두환을 상임위원장으로 하는 ( )를 설치하여 국정을 장악하였다.
국가 보위 비산 대책 위원회
29
전두환은 당시 헌법에 규정된 대통령 간선제를 고수하겠다는( )을 발표하였다.
4.13 호헌 조치
30
( )의 결과에 따라 5년 단임의 대통령 직선제를 핵심으로 하는 헌법 개정이 이루어졌다.
6월 민주항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