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화폐수요함수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프리드만의 신화폐수량설에서는 고전학파와는 달리 이자율변동에 의한 화폐수요의 변화 가능성을 긍정하여, 화폐수요의 이자율 탄력성이 매우 크다고 본다.
2
화폐수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토빈의 포트폴리오 이론에 의하면 이자율 상승시 소득효과는 화폐수요를 감소시킨다.
3
프리드만의 화폐수요함수와 금융정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화폐수요의 이자율탄력성이 크므로 재량보다는 준칙에 입각한 금융정책이 바람직하다.
4
고전학파의 이자율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피셔효과로 인해 화폐의 중립성이 성립된다 .
5
IS곡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유발투자가 존재하면 IS곡선은 보다 완만한 형태로 도출된다.
6
자국의 실물시장 균형을 나타내는 IS곡선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단 Is곡선 기울기는 세로축을 이자율, 가로축을 소득으로 하는 그래프상의 기울기를 말한다.)
해외교역국의 한계수입성향이 커질수록 IS곡선의 기울기는 완만해진다.
7
IS-LM 모형에서 IS곡선의 이동을 초래하는 변화가 아닌 것은?
이자율의 하락
8
IS-LM모형에서 IS곡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투자가 금리에 민감할수록 IS곡선 기울기의 절대값은 작아진다.
9
“투자의 이자율의 감소함수”라는 가정에 가속도원리를 도입하여 “투자는 이자율의 감소함수일 뿐만 아니라 소득의 증가함수”라는 가정으로 바꾸면 IS곡선 또는 LM곡선에 어떤 변화가 초래되는가?
IS고선의 기울기가 더욱 완만해진다.
10
IS곡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한계저축성향이 클수록 IS곡선은 평평해진다.
11
폐쇄경제 IS-LM모형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IS곡선은 우하향, LM곡선은 우상향한다.)
피구효과에 의하여 물가수준이 하락할 때 IS곡선이 우측으로 이동하여 국민소득이 증가한다 .
12
화폐시장의 균형을 나타내는 LM곡선의 이동을 초래한 요인과 이동의 방향을 올바르게 짝지은 것은?
국채의 매도 - LM의 좌측 이동
13
물가수준의 하락할 때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실전환율이 하락하여 순수출이 감소한다 .
14
통화공급이 이자율의 증가함수라고 한다면 이자율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경우에 비해 어떠한 현상이 발생하는가?
LM곡선의 기울기가 완만해진다.
15
IS-LM모형에서 화폐시장의 조정속도가 생산물시장의 조정속도보다 더 빠른 경우, 예상하지 못한 통화량의 증가로 인해 국민소득과 이자율이 새로운 균형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보이는 움직임을 옳게 설명한 것은 ?
초기에 통화량 증가의 충격을 화폐시장이 모두 흡수하기 위하여 이자율이 급격히 하락하며, 이후 국민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화폐수요가 늘어나면서 이자율은 상승한다.
16
IS-LM모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IS-LM모형에서 정부지출을 증가시켰을 때 투자의 이자율탄력성이 클수록 구축효과가 작아진다.
17
폐쇄경제 IS-LM모형에서 재정정책과 통화정책이 생산량에 미치는 효과의 크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것은? (단, IS는 우하향, LM은 우상향하는 직선이다.)
투자가 이자율에 민감할수록 통화정책의 효과가 작다.
18
IS-LM모형에서 확정적인 재정정책이 소득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화폐수요의 이자율 탄력성이 높을수록 소득증가 효과가 커진다.
19
경기침체를 극복하기 위해 확정적인 통화정책을 시행했음에도 불구하고 경기회복 효과가 크지 않았다고 하자. IS-LM모형을 근거로 할 때 그 이유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
한계소비성향이 1에 가깝다.
20
소비가 소득만의 함수이고 투자는 이자율만의 함숫이며, 화폐수요가 이자율과 소득의 함수인 단순한 Is-LM모형을 상정하자. 이 모형에서 통화량 확대정책이 국민소득에 미치는 효과가 커지도록 하는 요인이 아닌 것은?
화폐수요의 이자율에 대한 탄력성이 커졌다.
21
다음 중 중앙은행이 소득을 안정화하기 위해 확정적 통화정책을 실시해야 하는 경우가 아니 것은 ?
인공지능 시스템 도입을 위하여 기업들이 새로운 컴퓨터를 구입하였다.
22
다음은 통화정책의 전달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통화량 변화 -> 이자율 변화 -> 투자 변화 -> 총수요 변화 -> 국민소득 변화
Is곡선이 수평선에 가까울수록 정책효과가 크다.
23
총수요 정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재정정책의 구축효과는 화폐수요의 이자율 탄력성이 클수록 커진다.
24
케인즈학파의 IS-LM, AD-AS 모형하에서 “단기에 총공급곡선이 우상향한다고 가정할 때, 화폐수요가 이자율에 민감하게 반응할수록 ----------”이 문장의 밑줄친 부분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IS곡선은 수직에 가까워진다 .
25
구축효과에 대해 옳게 말하고 있는 사람은?
용구: 구축효과는 확장적 재정정책이 이자율을 상승시키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야.
26
경기안정화 정책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소득세가 비례세보다는 정액세일 경우에 정부지출이 국민소득 증대효과는 크게 나타난다.
27
폐쇄경제의 IS-LM모형에서 지급준비율의 현금/예금 보유비율이 이자율의 감소함수일 때, 두비율이 상수인 경우와 비교하여 옳은 것은?
재정정책의 효과가 커진다.
28
유동성함정과 부의 효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유동성함정은 화폐수요의 이자율 탄력성이 0일 때 발생한다.
29
통화량 목표제와 이자율 목표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화폐수요함수가 외부충격으로 변동하면 통화량과 이자율 목표를 동시에 달성하기 어렵다.
30
구축효과와 피구효과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통화공급이 이자율의 증가함수가 되면 이자율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경우에 비해 재정정책의 구축효과는 커진다.
31
이자율 타겟팅 정책과 통하량 타겟팅 정책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이자율과 통화량을 동시에 타겟팅하는 것은 생산물시장의 균형을 변화시키는 충격이 존재하는 한 불가능하다.
32
통화정책에 관한 다음 서술 중에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실물부문에 비해 화폐시장의 불확실성이 클수록 이자율보다는 통화량을 중간목표로 설정하는 것이 경기안정화에 더 효과적이다.
33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화폐수요의 이자율탄력성이 음의 무한대일 때 금융정책은 효과가 없다.
34
유동성함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화폐수요의 이자율탄력성이 무한대일 때 나타난다.
35
리카도 대등정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국채 발행을 통해 재원이 조달된 조세삭감은 소빙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36
리카디언 등가정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정부가 미래의 정부지출을 축소한다는 조건에서 현재 조세를 줄이는 경우에 현재의 소비는 변하지 않는다.
37
리카도 대등정리는 정부지출의 재원조달 방식에 나타나는 변화가 민간부문의 경제활동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것이다. 이 정리가 성립하기 위한 가정으로 옳지 않은 것은?
경제활동인구 증가율 양(+)의 값
38
재정정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케인즈 단순 모형에 따르면 정액세승수가 정부지출승수보다 절댓값이 더 크다.
39
재정정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최적조세와 같은 재정정책에서도 경제정책의 동태적 비일관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40
자동안정화자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누진소득세제, 실업보험, 사회보장제도는 자동안정화장치의 예이다.
41
총수요곡선과 관련 없는 것은?
노동자들의 화폐환상
42
총수요-총공급곡선에 관한 다음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총수요곡선은 모든 상품의 개별적 수요를 가격에 대하여 수평으로 합하여 도출할 수 있다.
43
다음 중 총수요곡선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요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물가수준 하락으로 가계의 실질자산가치 중대
44
우하향하는 총수요곡선을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는 요인과 관련ㄷ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물가가 하락한다.
45
IS-LM모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소비자들의 저축성향 감소는 IS곡선을 왼쪽으로 이동시키며, 총수요곡선도 왼쪽으로 이동시킨다.
46
IS-LM모형 및 AD-AS 모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정부지출과 조세는 IS곡선과 AS곡선이 이동변수이다
47
다음 서멸 중 옳지 않은 것은?
물가가 하락하게 되면 자국화폐로 표시된 실질환율이 상승하여 총수요곡선이 우측으로 이동하므로 경제침체의 해결방안으로 고려될 수 있다 .
48
총수요곡선 및 총공급곡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물가의 하락은 총수요곡선을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49
거시경제의 총수요, 총공급 모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예상 물가수준이 상승하면 단기 총공급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50
긴축적인 금융정책으로 물가가 하락하였다고 하자. 다음 중 국민소득이 가장 크게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는?
경제주체들이 화폐환상에 놓여 있을 때
51
총수요- 총공급 모형의 단기 균형 분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중앙은행이 민간 보유 국채를 대량 매입하면 총수요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총생산은 증가한다.
52
단기총공급곡선이 우상향하는 이유로 옳지 않은 것은?
화폐의 중립성이 성립하여, 통화량 증가에 따라 물가가 상승하는 경우
53
단기 총공급곡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케인즈에 따르면 명목임금이 고정되어 있는 단기에서 물가가 상승하면 고용량이 증가하여 생산량이 증가한다.
54
새케인즈학파의 경직적 가격 모형과 관련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격을 신축적으로 조정하지 않는 기업은 미래의 경제상황보다는 과거의 경제상황에 근거하여 가격을 설정한다.
55
총수요-총공급모형에서 단기에 균형물가수준을 하락시키는 경우에 해당하는 것은?
예상 물가수준의 하락
56
거시경제의 총수요와 총공급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명목임금 경직성 하에서 물가수준이 하락하면 기업이윤이 줄어들어서 기업들의 재화의 서비스 공급이 감소하므로 단기총공급곡선이 좌측으로 이동한다.
57
장기총공급곡선의 이동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예상물가수준이 하락하면, 왼쪽으로 이동한다.
58
총수요-총공급 모형에서 경제주체들의 예상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기업들이 미래 매출에 대해 낙관적으로 전망하는 경우, 현재 투자지출을 지연시켜 총수요곡선이 왼쪽으로 이동한다.
59
총공급곡선의 이동과관련된 다음 설명 중적절하지 않은 것은?
예상 물가수준이 하락하면 장기 총공급곡선은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60
총수요곡선 또는 총공급곡선에 관한 다음의 기술 중 옳지 않은 것은?
유동성함정이 존재하는 구간에서 총수요곡선은 수평이다. .
61
총수요곡선과 총공급곡선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명목임금이 경직적인 경우, 물가수준이 상승하면 실질임금이 하락하여 단기 총공급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62
생산량이 자연율 수준에 있는 국가에서 중앙은행이 통화량을 증가시키고, 이에 대해 사람들이 인플레이션율이 상승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장기적으로 이 국가에서 발생할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인플레이션율은 상승하지만 실업률은 변하지 않는다.
63
균형국민소득과 균형물가에 대한 설명들 중 옳지 않은 것은?
발생한 경기침체갭이 해소되는 과정에서 총공급이 감소한다.
64
현재 총수요와 총공급이 자연산출량에서 균형을 이루고 있을 때 총수요 증가의 결과로 옳지 않은 것은?
장기에는 기대인플레이션이 낮아지고 고용이 완전고용 수준으로 감소한다.
65
A국 경제는 총수요-총공급 모형에서 현재 장기 균형상태이다. 부정적 충격과 관련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부정적 숭충격시 확장적 통화정책으로 단기에 충격 이전 수준과 동일한 물가와 생산으로 돌아갈 수 있다 .
66
장기균형 상태에 있던 경제에 기상변화로 인해 농작물 피해가 발생했다. 총수요-총공급모형을 이용하여 기상변화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한 것 중 옳은 것은?
기상변화가 일시적이든 영구적이든 단기적으로 물가는 상승하고 소득은 감소한다.
67
확장적 통화정책과 확장적 재정정책의 장, 단기 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확장적 통화정책은 단기적으로 이자율의 하락을 통해 투자를 증가시키지만, 장기적으로 물가상승만 초래한다.
68
중앙은행이 공개시장조작정책을 시행하여 국채를 매입하는 경우, 예상되는 경제현상으로 옳지 않은 것은?
유동성선호이론에 의하면, 국채매입은 화폐시장에 초과공급을 유발하여 이자율을 상승시킨다.
69
총수요-총공급 분석에서 부정적 수요충격과 일시적인 부정적 공급충격이 발생한 경우 장기적인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물가수준은 영구적으로 하락하는 반면, 총생산은 잠재생산량 수준으로 돌아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