暗記メーカー
ログイン
기말고사
  • ユーザ名非公開

  • 問題数 53 • 11/28/2024

    記憶度

    完璧

    7

    覚えた

    21

    うろ覚え

    0

    苦手

    0

    未解答

    0

    アカウント登録して、解答結果を保存しよう

    問題一覧

  • 1

    출력전력(%)당 유로효율 계수는?

    5% : 0.03, 10% : 0.06, 20% : 0.13, 30% : 0.1, 50% : 0.48, 100% : 0.2

  • 2

    총 유로효율의 적정값은?

    98% 이상

  • 3

    인버터 선정식 옥내용, 옥외용을 구분하는 방법

    옥내용 : IP20이상, 옥외용 : IP44이상

  • 4

    옥외용의 방진이 높아야하는 이유

    옥외에 설치하였을때 소음에 의한 피해가 없도록하기 위해

  • 5

    인버터의 설치용량은?

    설계용량이상

  • 6

    인버터에 연결된 모듈의 용량은?

    인버터 용량의 105% 이내

  • 7

    변압기의 종류는?

    오일 변압기, 건식 변압기, 몰드 변압기, 가스 절연 변압기, 아몰퍼스 변압기

  • 8

    오일 변압기란?

    절연유를 사용하여 절연, 옥내용, 옥외용 둘다 가능, 화재에 취약

  • 9

    건식 변압기란?

    절연강도가 약함, 옥외용 불가능, 화재에 강함

  • 10

    몰드 변압기란?

    절연을 에폭시 수지로 몰딩한 구조, 서지보호장치 필요, 절연강도 우수, 화재에 강하다

  • 11

    가스 절연 변압기란?

    육불화황(SF₆)로 절연, 절연강도 우수, 유지보수 편리, 온실가스라서 취급에 주의

  • 12

    아몰퍼스 변압기란?

    규소에 자성재료를 혼합하여 녹인후 급속냉각한 아몰퍼스 물질을 철심소재로 사용, 히스테리시스손실이 적음, 고유저항이 높음, 두께가 얇음 -> 와류손 절감, 가격이 비싸다

  • 13

    전설길이에 따른 전압강하범위는?

    60m이하 : 3%이하, 120m이하 : 5%이하, 200m이하 : 6%이하, 200m초과 : 7%이하

  • 14

    변압기 선정시 주의사항

    고효율, 손실 적게, 변압기 용량과 인버터 용량은 잘 매칭되도록 -> 인버터 용량의 10% 이상 여유(총 110%), 승전용 변압기 발전용량이 1000kVA이하이면 1대의 변압기를 승전용 변압기 발전용량이 1000kVA초과이면 2대의 변압기를 사용 -> 교류의 손실을 줄이고 송전여유를 줘 신뢰도를 높인다

  • 15

    BMS란?

    battery management system, 충전조절기, 축전지 관리시스템, 독립형 시스템에서 과충전, 과방전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장치, 적은 용량에서 마이크로 컨트롤러로 제어하고 많은 용량에서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기능이 확대되어야한다, 75~80%만 충전되도록 조절, 500Wp이상에서는 DC/DC컨버터를 설치해 최대전력추종제어기능(MPPT)로 충전시간과 변환손실을 줄인다

  • 16

    BMS의 기능은?

    과충전, 과방전 보호기능 -> 과충전시 열폭주 발생 -> 화재로 이어짐, 센서온도, 일사량에 알맞게 배터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한다, 전압, 전류의 범위를 알맞게 하여 배터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한다, 배터리 이상 유무 판단

  • 17

    MOF란?

    metering out fitting, 계기용 변압변류기, 계기용 변류기(CT)와 계기용 변압기(PT)를 한 함에 넣은것, 3상용 오일형은 380V, 단상용 몰드형은 220V

  • 18

    계기용 변류기란?

    CT(current transformer), 높은전류를 일정비율의 낮은전류로 변환

  • 19

    계기용 변압기란?

    PT(potential transformer), 높은전압을 일정비율의 낮은전압으로 변환

  • 20

    서지보호부품의 종류는?

    SPD, 서지흡수기

  • 21

    SPD란?

    낙뢰등 과전압이 흐르는 경우 규정값 이하로 낮추는 장치, 접속함, 분전반에 설치하는 SPD는 방전내량이 큰것

  • 22

    서지흡수기란?

    선로내에 이상전압이 흐르는경우 크기를 완화하는 장치, 어레이 주회로에 설치하는 서지흡수기는 방전내량이 작은것

  • 23

    부하개폐기와 진공차단기 비교

    부하개폐기 : 부하전류 개폐시 사용, 진공차단기 : 진공을 매질로 사용하여 계통사고차단, 부하전류 개폐시 사용 차단시간 짧고, 차단성능이 주파수에 영향x

  • 24

    모니터링 시스템의 모니터링 항목, 구분, 단위, 데이터

    구분 : 태양광, 풍력, 수력, 바이오, 폐기물, 일일발전량 : kWh 24개(시간당), 생산시간 : 분 1개(1일)

  • 25

    제로에너지빌딩의 패시브 기술

    옥상녹화, 고성능 창문, 창호, 고기밀, 외단열, 외부차양, 자연채광, 자연환기

  • 26

    제로에너지빌딩의 액티브 기술

    고효율 보일러, 고효율 전자기기, 고효율 LED, 태양광 발전, 풍력 발전, 태양열 냉난방, 지열 냉난방, 연료전지, 폐열회수환기장치,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BEMS)

  • 27

    탄소중립이란? 중요한 이유

    탄소 순배출이 0이 되게 하는것,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고 남은 온실가스를 제거하여 실직적 배출량을 0으로 한다(net zero), 온실가스는 남아있기만 해도 지구온난화 발생

  • 28

    탄소순배출 값에 따른 탄소 상태

    탄소순배출이 0보다 클때 : 탄소배출, negative, 탄소순배출이 0보다 작을떄 : 탄소감축, positive, 탄소순배출이 0일때 : 탄소배출량, 탄소감축량이 균형을 맞추고 0이 된다, balance

  • 29

    태양광 인버터 독립형, 계통연계형을 절연성능 시험항목 4가지

    절연저항 시험, 절연거리 시험, 감전보호 시험, 내전압 시험

  • 30

    태양광 인버터 독립형 정상특성 시험항목 3가지

    누설전류 시험, 온도상승 시험, 효율 시험

  • 31

    모니터링 시스템 프로그램 적용시 기능 4가지

    데이터 수집, 데이터 저장, 데이터 분석, 데이터 통계

  • 32

    태양광 발전 시스템 점검중 사용전 검사시 검사방법 순서

    1) 태양광 시리얼 번호 리스트 제출, 2) 모듈(어레이)의 절연저항, 접지저항 표시

  • 33

    태양광 발전 시스템 점검중 사용전 검사시 절연저항, 접지저항 값과 주의사항은?

    절연저항 : 1메가옴 이상, 접지저항 : 100옴 이하, 시공하였을때 모듈 판넬프레임의 접지상태를 확인한다, 설치하였을때 건물과 모듈이 50cm 이상 이격되었는지 확인한다

  • 34

    저압 차단기의 종류는?

    배선차단기(MCCB), 누전차단기(ELB), 기중차단기(ACB)

  • 35

    고압 차단기종류는?

    오일차단기(OCB), 공기차단기(ABB), 자기차단기(MBB), 가스차단기(GCB), 진공차단기(VCB)

  • 36

    배선차단기란?

    저압 옥내 전로보호 과부하 단락 차단

  • 37

    누전 차단기란?

    저압 옥내 전로보호 누설전류 차단

  • 38

    기중차단기란?

    저압에서 천연공기로 차단

  • 39

    오일차단기란?

    매질이 아크에 의한 절연유

  • 40

    공기차단기란?

    10atm이상의 고압, 매질이 압축공기

  • 41

    자기차단기란?

    매질이 전자력

  • 42

    가스차단기란?

    매질이 SF₆(육불화황), 열전도, 절연내력, 소호능력우수, 고전압, 대전류 차단, 밀폐구조이며 소음이 적음

  • 43

    진공차단기란?

    매질이 진공상태, 고압, 특고압(22.9kV이상)에 유용

  • 44

    인버터란? 기능 2가지

    태양전지에서 생산된 직류를 교류로 변환시켜 교류계통에 접속된 부하설비에 전력을 공급하고 나머지 전력은 전력계통으로 보낸다, 1) 전력변환(직류 -> 교류), 2) 계통에 연계

  • 45

    독립형 시스템 인버터란?

    태양광 발전이 불가능할때 전력저장장치(ESS)를 사용한다

  • 46

    계통 연계형 시스템 인버터란?

    교류를 생산하는 즉시 grid(계통)으로 보낸다, 계통연계보호장치 탑재

  • 47

    분산형 전원이란?

    소규모로써 전력소비지역 근처에 분산하여 배치하는 전원

  • 48

    분산형 전원에서 계통에 연계하는 방식은?

    저압(LV) : 계통연계용량이 500kW미만 계통연계 전기방식 : 220V 단상 or 380V 삼상 수배전반 필요x, 특고압(EH) : 계통연계용량이 500kW이상 계통연계 전기방식 : 22.9kV 삼상 수배전반 필요 -> 고압에서는 차단기, 변압기등의 용량이 크므로

  • 49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은?

    어레이 -> 접속함 -> 인버터 -> 분전반 -> 부하로 계통(grid)에 연결

  • 50

    모니터링 시스템이 필요한 이유는?

    4가지 핵심요소(어레이, 접속함, 인버터, 분전반)의 정보를 모니터링 하기 위해, 웹사이트에 연결된 PC, 핸드폰으로 확인이 가능하다

  • 51

    접속함의 구성요소는?

    단자대 : 모듈에서 직류전원을 접속, 직류 배선용 차단기(MCCB) : 입력부 전원 개폐, 고장시 차단, 퓨즈 : 단락전류 보호(방지), 다이오드 : 역전류 방지, SPD, 직류전압계, 직류전류계

  • 52

    2050 탄소중립이란?

    IPCC(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에서 지구 온도 상승이 연간 2’C를 넘으면 경제, 식량, 건강, 생계, 생태계등이 파괴 될 위험이 높지만, 지구 온도 상승이 연간 1.5’C 수준으로 지켜지면 위험성이 대폭 감소하므로 2050년까지 탄소중립이 중요하다

  • 53

    제로에너지빌딩이란?

    zero energy building, 에너지를 제로에 가깝게하는 건축물, 패시브 : 외피, 단열, 건축재료에 관한 기술, 액티브 : 에너지 변환으로 신재생에너지 비율을 높이는 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