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그래픽 처리 장치로 이름 그대로 컴퓨터의 그래픽 요소를 처리하기 위해 만들어진 기술입니다
GPU
2
GPU를 범용적인 컴퓨터에서도 사용하기 위한 ( ) 기술이 도입되면서 딥러닝에서 빠룬 연산을 할 수 있게 되었고. 그 결과 현재의 인공지능 수준으로까지 발전이 가능해졌습니다.
GPGPU
3
( )은 현실세계의 기계 장비 사물 등을 컴퓨터 속 가상세계에 구현한 것을 말합니다.
디지털 트윈
4
( )이란 인터넷 기반의 컴퓨팅으로. 인터넷 어딘가에 존재하는 컴퓨팅 자원을 필요할때 마다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에 불러와 사용하는 서비스 입니다 .
클라우드 컴퓨팅
5
( )은 각종 사물에 센서와 통신 기능을 내장하여 인터넷에 연결하는 기술로 무선통신을 통해 각종 사물을 연결합니다.
사물 인터넷
6
자율형 IOT는 2019년 이후 진화를 거듭하면서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 (IOT)이 결합 된 기술인 ( )로 발전했습니다
AIOT
7
( )란 디지털 환경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로. 과거 아날로그 환경에서 생산되던 데이터에 비해 그 규모가 방대하고 생성 주기도 짧으며 수치 데이터뿐만 아니라 문자와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대규모의 데이터를 말합니다.
빅데이터
8
3V 관점에서 빅데이터의 특징은 ( ) ( ) ( )입니다.
크기 속도 다양성
9
( )는 규칙에 맞게 저장된 데이터로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것이 테이블 형식의 스프레드시트입니다.
정형데이터
10
( )는 정형 데이터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정해진 규칙이 없어서 값의 의미를 쉽게 파악하기 힘든 경우가 많습니다.
비정형데이터
11
( )는 정형 데이터와 같이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 형식으로 저장되는 것은 아니지만 스키마와 메타데이터의 특성을 갖는 데이터입니다.
반정형데이터
12
빅데이터에 대한 ( )규제는 원칙적으로 금지하면서 예외는 허용하는 방식이며. ( )규제는 원칙적으로 허용하면서 예외는 금지하는 방식입니다.
포지티브 네거티브
13
( )는 개인정보의 일부분울 삭제하거나 대체하여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도록 만든 정보입니다.
가명정보
14
( )는 금융에 IT기술 (빅데이터, 인공지능, 블록체인 등 )을 접목하여 복잡하고 어려웠던 금융 업무를 효율적이면서 편리하게 서비스하는 것을 말합니다
핀테크
15
( )이란 데이터 이용을 활성화하는 [개인정보 보호법] , [정보통신망법] , [신용정보법] 등3가지 법률을 통칭하는말입니다.
데이터 3법
16
( )은 문제와 답을 함께 학습해 미지의 문제에 대한 올바른 답을 예측하는 머신러닝의 한 방법 입니다 .
지도학습
17
( )은 지도해 줄 조력자의 도움 없이 컴퓨터 스스로 학습하는 형태로 , 컴퓨터가 입력값만 있는 훈련 데이터를 이용하여 규칙성을 찾는 학습 방법입니다.
비지도학습
18
( )은 레이블이 포함된 데이터를 학습하고 유사한 성질을 갖는 데이터끼리 분류한 후 새로 입력된 데이터가 어느 그룹에 속하는지 찾아내는 기법입니다.
분류모델
19
( )는 어떤 데이터들이 주어졌을때 그 데이터들을 유사한 정도에 따라 군집 (클러스터)으로 분류하는것을 의미합니다.
군집화
20
( )란 입력 신호가 출력 결과에 미치는 중요도를 조절하는 매개변수입니다.
가중치
21
( )는 입력 신호가 출력 결과에 미치는 영향도를 조절하는 매개변수로 입력값의 중요도를 결정합니다.
가중치
22
( )은 시계열 데이터와 같이 시간적으로 연속성이 있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고안된 인공신경망입니다.
RNN
23
( )은 합성곱 연산을 인공신경망에 도입해 이미지 처리가 가능하도록 한 신경망입니다.
CNN
24
( )은 대규모의 공급과 수요를 연결해 주는 매개체입니다.
플랫폼
25
플랫폼 유형 중 ( )은 제품이나 콘텐츠를 거래하면서 받는 수수료로 수익을 얻는 비즈니스 모델 입니다.
중개형
26
플랫폼 유형 중 ( )은 사용자를 확보한 후 광고를 팔아 수익을 창출하는 모델입니다.
광고형
27
인공지능 플랫폼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대용량의 학습 데이터 (빅데이터)를 저장할 공간과 컴퓨팅 파워가 필요한데 ( )을 이용한다면 제약 없이 인공지능 서비스를 개발 할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 컴퓨팅
28
GE를 소프트웨어 기업으로 재 탄생시킨 클라우드 기반의 사물인터넷 플랫폼은 ( ) 플랫폼입니다.
GE 프레딕스
29
( )은 1811년부터 1817년 사이 영국의 직물공업지대에서 일어났던 기계파괴 운동입니다.
러다이트 운동
30
컴퓨터 로봇 첨단 정보통신기술 등이 발전함에 따라 첨단기술의 수용을 거부해야 한다는 주장의 ( )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네오 러다이트 운동
31
초연결사회에서 99.997%의 일반 시민들은 ( )라 불리는 최하위 노동자 계급으로 전락해 사실상 로봇보다도 못한 취급을 받게 될지도 모릅니다.
프레카이라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