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다나가라
2
라나가다
3
태종은 6조가 나랏일을 국왕에게 직접 보고하게하는 ( )를 실시하였다
6조직계제
4
세종은 6조의 일의 영의정과 좌의정, 우의정 합이체를 거쳐 왕에게 보고되는 ()를 실시하였다
의정부서사제
5
왕명을 출납하는 ()과 반역 등의 큰 죄를 다스리는 ()는 왕권을 뒷받침하였다
승정원 의금부
6
언론기관이었던 (),(),()를 묶어 삼사라고 불렀다
사헌부 사간원 홍문관
7
조선은 지방을 효율적으로 다스리기 위해 지방을 ()도로 나누고 ()를 파견하였다
8 관찰사
8
조선은 부,목,군,현 아래에 ()을 파견하고 향리가 ()으로 나누어 이들을 보좌하였다
수령 6방
9
조선은 각 도에 병영과 수영을 설치하였고 병영에 (), 수영에 ()를 파견하였다
병마절도사 수군절도사
10
국경지대에 위급한 상황을 중앙에 전달하기 위해 ()를 두고 원활한 통신과 물자 수송을 위해 ()를 설치하였다
봉수대 역참
11
()는 3년마다 정기적으로 치루어졌고 문과, 무과, 잡과로 구성되어 있었다.
과거제
12
조선의 교육제도는 초보적 유학 지식습득을 위한 서당, 한양의 4부학당과 지방의 향교, 최고 학부인 ()으로 구성되어있었다
성균관
13
조선은 명에대한 ()정책을 표방하여 실리를 추구하고 조공무역으로 문화,경제적 이익을 추구하였다
사대
14
조선은 여진과 일본과 평화시기에 교역을 허락하고 국경을 침입하면 군사를 동원해 본거지를 토벌하는 ()정책을 펼쳤다
교린
15
세조가 왕위에 오르는 것을 도왔던 공신들은 중앙고위 관직을 차지하고 국가로부터 많은 토지와 노비를 받아 정치적 실권을 장악하여 ()가 되었다
훈구
16
성종은 훈구세력을 견제하고 왕권을 강화하기 위하여 김종직을 비롯한 ()세력을 대거 등용하였다
사림
17
훈구세력은 김종직이 쓴 조의제문을 문제삼아 사림을 축출한 ()를 일으켰다
무오사화
18
조광조가 왕도정치를 강조하고 유교적 이상정치를 펼치기 위해 과감한 개혁정책을 하자 중종과 훈구는 조광조와 사림세력을 축출하기 위한 ()를 일으켰다
기묘사화
19
사림은 덕망높은 유학자를 기리고 지방 양반 자제를 교육하기 위해 ()을 건립하였다
서원
20
사림은 상부상조의 전통과 성리학적 유교 윤리를 결합하여 ()을 만들었다
향약
21
사림이 선조때 중앙정계에 진출하여 정치의 주도권을 잡고 얼마 안되어 ()임명 문제로 사림은 분열한다
이조전랑
22
사림은 이황과 조식 등의 동인과 이이와 성흔의 제자 중심의 서인으로 나뉘어 ()을 형성한다
붕당
23
태조때 국가적으로 고구려의 천문도를 수정한 ()를 제작하였다
천상열차분야지도
24
태종때 동양의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세계지도인 ()를 제작하였다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25
세종때 자동으로 시간을 알려주는 물시계인 ()가 제작되었다
자격루
26
세종때 해시계()가 제작되었다
앙부일구
27
조선 전기엔 선비의 기개, 절기를 상징하는 매화, 난초, 국화, 대나무를 표현한 ()가 그려졌다
사군자
28
16세기 이후에는 깨끗함을 강조하는 도자기인 ()가 발달
백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