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전달전달계의 ( )과 ( ) 같은 철단백질과 효소의 구성에 참여한다.
시토크롬, 페레독신
2
질소가 과잉 1) 광합성산물이 ( )에 소모되어 ( )이 줄어들고 ( )와 같은 ( )의 합성이 억제된다. 2) 세포의 크기는 증대하지만 세포벽이 얇아지면서 식물이 ( ) 하고 ( )가 억제된다.
단백질합성, 가용성 탄수화물, 셀룰로오스, 무질소화합물, 도장, 화아분화
3
염소는 ( )의 형태로 흡수된다. ( )에 잘 녹으며 흡수속도가 빠르다. 토양 중에 풍부하게 분포하며 식물은 자신이 필요한 것보다 ( )의 염소를 ( )으로 흡수한다.
Cl-, 물, 높은 농도, 능동적
4
흡수된인은 체내에서 ( ) 또는 ( )의 형태로 분포한다.
유기인화합물, 무기인산염
5
콩과식물의 뿌리혹에는 ( )가 비교적 많이 분포하는데 코발트는 ㅏ로 ( )를 구성하는 원소이다.
B12, B12
6
( )은 ( )을 말하며 종자의 저장양분 가운데 인산의 중요한 저장물질이다. ( )에 잘 녹지 않으며 특히 ( )에 많이 분포한다.
피틴, 피트산, 물, 곡류종자
7
규소는 ( ),( )의 형태로 흡수된다.
H4SiO4, Si(OH)4
8
몰리브덴 결핍 - ( )이 축적되면서 ( )의 합성이 줄며 ( )도 감소한다.
질산염, 단백질, 아스코르브산
9
구리 결핍 - 잎이 ( )으로 변함 - ( )의 정단부터 괴사 - 뒤틀리거나 ( )이 됨
암녹색, 어린잎, 기형
10
유익원소는 모든 식물에게 반드시 요구되는 원소는 아니므로 ( )에서 제외한다. 현재 유익원소는 ( )( )( ),( )의 4종이다.
필수원소, 나트륨, 규소, 셀레늄, 코발트
11
결핍증은 체내 이동이 어려워 ( ), ( )이나 ( ) 등에 잘 일어난다. 주요 증상은 - ( )하거나 ( )하며 - ( )이 용해되어 연해지고 ( )으로 변한다. - 사과의 ( ), 토마토의 ( )은 대표적인 칼슘결핍증이다. - 이때 변색은 ( )과 ( )을 형성하지 못한 ( )이 ( )되기 때문에 나타난다.
분열조직부위, 어린잎의 정단, 가장자리, 황화, 괴사, 세포벽, 흑갈색, 고두병, 배꼽썩음병, 칼슘, 킬레이트, 페놀화합물, 산화
12
아연이 부족하면 트립토판에서 ( )가 생합성되는 과정이 진행되지 않고, ( )가 활성화되어 IAA의 산화가 촉진된다.
IAA, 페록시다아제
13
황은 페레독신처럼 철-황 단백질을 형성하기 때문에 ( )과 ( )에 중요한역할을 한다.
광합성, 질소고정의 전자전달반응
14
몰리브덴 기능 - 질산의 ( )과 ( )의 고정을 돕는다. - ( ) 라는 ( )에 함유되어 ( )에도 관여한다.
환원, 공중질소, 질소고정효소, 효소복합체, 공중질소고정
15
철의 체내 함량은 극히 작고 ( )이 어렵고, ( )가 거의 되지 않는다.
체내 이동, 재분배
16
( )은 엽록소를 구성하는 유일한 광물성 원소이다.
마그네슘
17
인은 Ph에 의 해 조절되는데 - 중성에는 ( ) - 염기성에는 ( )의 농도가 높다. - 식물은 주로 ( )을 많이 흡수한다.
H2PO4-, HPO4 2-, H2PO4-
18
마그네슘은 ( )의 형태로 흡수된다.
Mg2+
19
나트륨은 ( )또는 ( )에서 ( )의 기능발휘에 관여
C4, CMA, PEE탈탄산효소
20
염생식물은 세포의 ( )을 낮추어 ( )와 ( )를 조절
삼투퍼텐셜, 수분흡수, 기공의 개폐
21
코발트 기능 - ( ) 또는 ( )의 형성에 관여
뿌리혹박테리아의 활동, 근류헤모글로빈
22
엽면시비를 하는 경우 1) ( )을 신속히 ( )시키고자 할 경우 2) ( )의 ( )가 잘 나타나지 않을 경우 3) ( )에 직접 ( )하기 어려운 경우
영양부족, 회복, 토양시비, 효과, 토양, 시비
23
황은 필수아미노산 가운데 ( ),( )은 함황아미노산이다.
시스틴, 메티오닌
24
망간 결핍 - ( )가 파괴 - 황백화는 ( )에 먼저 생김
엽록체의 막 구조, 어린잎
25
식물을 필요한 양분을 적정한 농도로 갖춘 양액에서 재배하되 한가지 필수 원소의 농도만을 변화시키는 조건에서 재배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영양소의 결핍범위, 독성범위가 구분되는데 특별히 결핍범위와 적정범위의 경계가 되는 농도를 ( )라고 한다.
임계농도
26
니켈은 식물의 요구도는 극히 낮지만 수경 중에 니켈을 제거하면 잎에서 ( )가 생성되지 않아 요소가 축적되고 정단부위에 ( )이 나타난다. 그리고 콩과식물에서 ( )의 활성이 억제되고 ( )이 떨어진다.
요소분해효소, 괴사현상, 수소화효소, 질소고정효율
27
( )은 식물체의 영양상태를 진단하고 아울러 토양의 무기양분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식물분석
28
몰리브덴은 ( )의 형태로 흡수 주로 능동적으로 흡수되며 ( )과는 길항적으로, ( )은 상조적으로 작용
MoO4 2-, SO3 2-, 인산이온
29
인이 과잉 - ( ),( ), ( ) 등의 흡수와 전류를 방해한다. 인 결핍 - ( )의 합성이 억제됨 - ( )이 감소 - ( )이 저해 - ( )에서 ( )으로 재분배가 일어난다.
Zn, Fe, Cu, 핵산, 단백질, 세포분열, 성숙한 조직, 유조직
30
니켈은 ( )와 ( )의 구성성분
요소분해효소, 수소화효소
31
( )는 철결합 단백질로서 산화환원 기능이 있다. ( )의 일정인데 헴은 중심에 2가의 철원자를 가지고 있따. 다른 시토크롬과 함꼐 ( )를 구성한다.
시토크롬c, 헴단백질, 전자전달계
32
망간은 ( )의 형태로 흡수 - 다른 ( )과는 길항작용을 하며, 특히 ( )에 의해 흡수가 억제됨
Mn2+, 2가의 양이온, 마그네슘
33
일부 원소는 특정 식물의 생육에 유익한 작용을 한다. 이러한 원소를 ( )라고 한다.
유익원소
34
칼륨결핍 - 세포의 ( )가 증가하여 ( )의 진행이 억제 - 오래된 잎부터 ( ) - 줄기와 뿌리는 ( ), 줄기의 유관속은 ( )가 억제되어 조직이 ( )해지고, 잘 ( )진다.
pH, 물질대사, 황백화, 가늘어지고, 목질화, 연약, 쓰러
35
영양생장 중에는 줄기나 잎에 많이 분포하지만 ( )에 들어가면 ( )나 ( )로 이동하며, 경우에 따라 50% 이상이 ( )에 집중적으로 분포하는 경우도 있다.
생식생장, 종자, 과실, 생식기관
36
구리 기능 1) 구리는 세포 안에서는 ( )와 ( )에 비교적 많이 분포되어 있따. 2) 구리는 엽록체의 ( )인 ( )의 구성원소이다. 3) ( )의 산화반응에 관여
엽록체, 미토콘드리아, 전자전달체, 플라스토시아닌, 페놀
37
칼륨은 체내에 ( )를 형성하여 수분의 ( )와 ( )을 조절 - 기공의 ( )와 물질의 ( )를 조절할 수 있다. - 칼륨은 ( )과 ( )에 관여하는 많은 효소를 활성화시키는 기능이 있다.
삼투퍼텐셜의 기울기, 흡수, 이동, 개폐, 전류, 호흡작용, 광합성
38
토양 대신에 무기양분을 고루 갖춘 양액만을 이용하여 식물을 재배하는 기술
수경
39
염소 결핍 1) ( )이 황백화하고, 잎 ( )이 시들고 점차 ( )으로 변한다. 2) 뿌리는 ( )고 ( )어지며 선단이 ( )으로 변한다.
어린잎, 끝, 구릿빛, 짧, 굵, 곤봉형
40
배추과 식물의 ( ), 마늘의 ( ) 등은 황을 함유하고 있는 유기화합물이다.
글루코시놀레이트, 알리인
41
아연은 여러 가지 효소의 활성제로 다양한 대사작용을 조절한다. 아연으로 활성화된 ( )는 H2O+CO2=H+ + HCO3-의 반응에 작용한다. 엽록체의 pH를 조절하고 단백질의 변성을 막으면서 CO2의 고정을 조절한다. 그리고 엽록소와 트립토판의 생합성에도 관여한다.
탈산탈수효소
42
철은 Fe2+, Fe3+ +e-의 상호 전환을 통하여 ( )의 기능을 한다.
전자전달
43
구리 ( )이 ( )을 거쳐 O-퀴논으로 산화되면서 조직이 암갈색으로 변한다.
모노페놀, 디페놀
44
니켈은 ( )의 형태로 쉽게 흡수
Ni2+
45
염소는 ( )에서 물의 광분해로 생기는 전자를 ( )에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세포의 ( )과 ( )를 조절하고 ( )를 활성화시킨다.
광합성, 제2광계의 엽록소, 삼투압, pH, 효소 아밀라아제
46
건물중은 신선한 식물체를 ( )'C의 건조기에서 ( )시간 이상 말린 후 그 ( )를 건물중으로 삼는다.
110, 24, 무게
47
비광물성 원소인 C, H, O는 ( )을 통해 들어오는 ( )와 ( )에서 흡순하는 ( )에서 얻으며 나머지 광물성 원소들은 토양에서 물과 함께 흡수된다.
기공, 이산화탄소, 뿌리, 물
48
과수에서 ( )이란잎을 채취하여 건조시킨 후 무기성부을 분석하는 것
엽분석
49
규소의 기능 - ( )의 신장이나 ( )을 촉진하고 ( )을 강건하게 만들어며 ( )을 증가시킴 - 세포벽의 ( )로 잎의 ( )를 향상시켜 ( )을 촉진하고 - 병원미생물에 대한 ( )과 ( )을 높여 내병성을 증대시킨다.
뿌리, 분얼, 잎, 건물중, 규질화, 수광태세, 광합성, 기계적 저항, 생리적 저항성
50
( )은 뿌리 주변의 토양시료에서 무기양분을 화학적으로 분석하는 것
토양분석
51
마그네슘은 ( ),( ),( ),( ) 등의 이온과는 서로 흡수를 방해한다.
K+, Ca2+, NH4+, Mn2+
52
일부 효소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 ), 즉 ( )가 필요한데, 이것은 마그네슘과 같은 금속이온일 수도 있고, 유기분자일수도 있다 이 경우 유기분자는 ( )라고 한다.
비단백질성 성분, 보조인자, 조효소
53
비이동성 원소 6개
칼슘, 황, 철, 붕소, 망간, 구리
54
칼슘은 ( )의 형태로 흡수된다. 토양에 많이 분포되어 있지만, 식물의 ( )은 낮은 편이다.
Ca2+, 흡수율
55
인은 체내에서 쉽게 이동하고 ( )가 용이하여 ( )에 많이 분포하여 ( )에는 결핍되기 쉽다.
재분배, 새로운 조직, 오래된 조직
56
황 결핍 1) ( )과 ( )이 억제 2) ( )가 ( )를 형성사지 못해 안정성을 잃기 때문에 잎이 ( )된다. 3) 황은( )이기 때문에 ( )에서 결핍증상이 먼저 나타난다.
함황아미노산, 단백질 생성, 엽록소, 엽록소-단백질복합체, 황백화, 비이동성, 어린잎
57
규소의 기능 ( ),( ),( )
건물중 증가, 광합성 촉진, 내병성 증대
58
마그네슘은 ( )과 ( )이 심하다.
양이온, 길항작용
59
식물체를 구성하는 성분 가운데 수분을 제외한 나머지를 ( )라고 한다.
건물
60
붕산 기능 1) ( )를 가진 ( )과 ( )을 한다. 2) ( )과 결합하여 ( )의 안정성을 높이고 3) ( )의 형성에도 관여하며 4) ( )과 ( )과도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따. 5) ( )를 촉진하고 6) ( )의 화성을 제어하여 7) 콩과식물에서는 근류균의 형성과 ( )을 촉진한다.
-OH, 유기화합물, 에스테르결합, 세포벽 성분, 세포벽, 펙틴, 핵산합성, 세포분열, 동화산물의 전류, 옥신, 질소고정
61
질소가 결핍 1) 엽록체 단백질이 분해되어 노엽부터 ( )이 나타난다. 2) 질소결핍으로 단백질합성이 억제되면 여분의 탄수화물이 줄기나 엽병의 ( )를 촉진하고 ( )과 같은 색소를 만들어 축적하기도 한다. 3) ( )가 앞당겨져 ( )은 작고 ( )이 지연된다.
황백화현상, 목질화, 안토시안, 개화기, 과실, 성숙
62
나트륨 부족 - ( )식물의 광합성 경로가 ( )경로로 바뀐다. 그리고 ( )에서 잎이 ( )되거나 ( )하는 증상이 나타난다.
C4, C3, C4, 황백화, 괴사
63
철은 산화효소인 ( ),( )의 구성성분으로 과산화수소의 독성을 방지한다. 그리고 ( ),( ),( ) 등의 구성성분이며, 엽록소 형성에 관여하는 효소의 생합성에도 관여한다.
카탈라아제, 과산화효소, 아질산환원효소, 질산환원효소, 질소고정효소
64
철 결핍 1) ( )의 구조가 깨지고 ( )가 소실된다. 2) ( )된다. 3) ( )이 잘 안되기 때문에 ( )이나 ( )의 잎부터 결핍증상이 나타난다.
엽록체, 엽록소, 황백화, 체내 이동, 어린잎, 생장점 부근
65
질소가 부족하면 ( )의 질소가 생장 중의 ( )으로 이동하여 이용된다. 무기질소는 동화과정을 거쳐 ( ),( ),( ),( ) 등과 같은 중요한 유기화합물을 만든다. 흡수된 질소의 80~85%는 ( )에 이용된다.
노엽, 어린잎, 아미노산, 단백질, 효소, 핵산, 단백질합성
66
무기양분을 수용액으로 만들어 잎에 살포하는 것
엽면시비
67
성분 구성원소 펙틴 ( ), 단백질 ( ), 핵산 ( ) 아미노산( ) 엽록소 ( )
C, H, O, C, H, O, N, S, C, H, O, N, P, C, H, O N, S, C, H, O, N, Mg
68
벼과식물은 규소를 흡수하여 ( )나 ( )을 강화한다. 염생식물은 나트륨을 흡수하여 ( )을 유지하면서 ( )를 방지한다. 셀레늄은 동물의 필수원소로 ( )에서 중요하며 코발트는 콩과식물의 ( )과 ( )에 필요하다.
잎의 기계적 지지, 내병충성, 세포의 삼투퍼텐셜, 염류농도 장해, 사료작물, 근류발달, 질소고정
69
칼륨은 ( )의 형태로 흡수되는데, ( )가 빠르고, ( )과 ( )가 용이하다.
K+, 흡수속도, 체내 이동, 재분배
70
셀레늄이 시스테인의 황과 치환되면 21번째의 아미노산으로 알려진 ( )이 생성된다.
셀레노시스테인
71
이 반응에서 마그네슘은 ( )에( )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효소의 활성부위, ATP분자
72
정상적인 생육을 도모하기 위해서 작물을 경작하고 있는 토양에 부족하기 쉬운 질소, 인산, 칼륨 등의 무기양분을 비료로 만들어 공급한다. 이처럼 비료를 토양에 공급하는 것
시비
73
칼슘은 ( ),( ),( ), 등과 결합한다.
지방산, 유기산, 펙틴
74
망간 기능 - 엽록체의 틸라코이드에 분포하는 작은 ( )인 ( )와 결합하여 광합성과정에서 ( )와 그 결과로 생기는 ( )을 주도한다. - ( )을 촉진하고 ( )와 ( ) 사이에 다리역할을 하여 인산화를 돕는다. - ( )를 활성화시켜 ( )를 산화시킨다.
단백질복합체, 산소방출복합체, 물의 광분해, 산소방출, 제2광계의 전자전달, 효소복합체, ATP사이, IAA산화효소, IAA
75
원소의 필수성 1) ( )하거나 없으면 자신의 ( )을 완성할 수 없다. 2) 식물체의 ( )의 구성성분이다. 3) ( )과 ( )에서 ( )로 대체할 수 없다. 4) 단순히 ( )의 ( ) 때문에 요구되는 것이 아니다.
부족, 생활환, 필수적인 성분, 기능, 효과 면, 다른 원소, 상호작용, 효과
76
황은 뿌리에서 ( )의 형태로 흡수된다. 황은 ( )을 생성한다.
SO4 2-, 함황유기화합물
77
마그네슘은 ( )이 좋아 ( )에서 ( )으로 쉽게 이동한다.
이동성, 노엽, 유엽
78
마늘의 알리인은 ( )에 분포하는 효소 ( )의 작용으로 ( ) ( ), ( )로 분해된다. 글루코시놀레이트는 배추과 식물에 널리 분포하는 ( )로서 매운 맛을 내는 물질이다.
세포벽, 알리나아제, 알리신, 피루브산, 암모니아, 함황유기화합물
79
마그네슘 결핍 - 잎이 ( )되는데, ( )에서 먼저 시작하고 주로 ( )에 나타난다.
황백화, 노엽, 엽맥 사이
80
칼륨의 역할 - ( ) - ( ) - ( )의 ( ) - ( )의 ( ),
수분흡수조절, 개폐조절, 동화물질, 전류촉진, 효소, 활성화
81
수경재배는 ( ),( ) 등으로 불리운다.
양액재배, 무토양재배
82
유기인화합물로는 ( ),( ),( ),( ) 등이 있다. 이들은 ( )과 ( )에 반드시 필요한 물질들이다.
핵산, 인지질, 효소, ATP, 세포의 생장, 증식
83
구리는 ( )와 ( )의 두 가지 형태로 흡수되는데, 주로 ( )이 많이 흡수됨
Cu+, Cu2+, Cu2+
84
붕소 결핍 1) ( )의 전류가 억제 2) ( )이 지나치게 생성 3) 과피에 ( ),( ),( ) 증상 나타남
동화물질, 옥신, 갈변, 균열, 괴사
85
아연은 ( )의 형태로 흡수
Zn2+
86
망간은 ( )은 좋지 않은 편이지만 ( )으로 먼저 이동하여 무기태로 존재하거나 효소단백질과 결합한다.
이동성, 분열조직
87
나트흄은 ( )은 다량으로 흡수하며 일반 식물도 어느 정도 흡수한다.
염생식물
88
칼륨 분포 부위 - ( )이 활발한 잎 - ( )이 왕성한 ( )에 다량 분포
광합성, 세포분열, 생장점부위
89
철은 ( ), 또는 ( )의 형태로 흡수되지만, ( )이 용해도가 더 커서 잘 흡수된다.
Fe2+, Fe3+, Fe2+
90
니켈 콩과식물은 뿌리혹에서 ( )과 같은 ( )를 형성한다.
시트룰린, 우레이드
91
붕소는 ( )되지 않은 ( )의 형태로 흡수
이온화, 붕산(H3BO3)
92
마그네슘은 ( )를 갖는 잎에 많이 분포한다. ( )에도 많이 함유되어 있고, 특히 ( )에 많이 분포되어 있따.
엽록소, 종자, 지방종자
93
칼륨 기능 1) ( ) 2) ( ) 3) ( ) 4) ( )
수분의 흡수조절, 기공의 개폐조절, 동화물질의 전류촉진, 효소의 활성화
94
칼슘의 기능은 ( ),( )가 있다.
효소활성화, 대사작용조절
95
알루미늄도 ( ),( ),( )의 ( )을 방지하여 생육을 촉진하기 때문에 유익원소로 검토되고 있다.
구리, 인, 망간, 해독작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