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기동부대작전지휘관 ㅡ 함대/잠수함/항공사령관
협조
2
기동부대작전지휘관ㅡ수상함, 항공기, 잠수함
전술통제
3
위성SAT-J, EP기능, 탄도탄 전시가능 DDG, AW159, F-15K
Link-16
4
전시 한미연합사의 작전통제를 받는 자
연합해군구성군사령관
5
아군 지휘관이 임무수행을 위해 반드시 획득하여 공격해야 하는 표적
핵심표적
6
적 지휘관이 성공적인 임무수행을 위해 필요로 하는 자산
고가치표적
7
아측 정보를 중단없이 이용하고 적을 거부하는 능력을 구비함으로써 발생되는 작전적 이점
정보우세
8
우군전력과 적 세력간 지식수준의 격차
지식관리우세
9
적의 대응보다 신속하게 결정을 내리는것
결심우세
10
대함작전 작전요건
정탐, 기동, 화력
11
공지해상에서 발견되거나 발견이 예상되는 적인원 및 장비 적 부대의 위치를 확인하는 행위
탐색
12
전자장비 또는 육안에 의하여 표적을 발견하고 위치와 관련된 첩보를 수집하는 기능
탐지
13
위협경보, 무기통제상태, 무장운용태세 설정 적 위협 수준별 아군 태세설정필요
태세설정
14
감시구역, 교전식별구역, 핵심구역 설정 주력체 또는 개별함정 중심으로 적ㆍ아 종합적 고려 설정, 우군 간 간섭방지대책 수립필요
방호권 설정
15
위협에 즉각 대응할 수 있도록 사전 허가된 조치사항, PPR, OPTASK 명시
기계획 대응
16
식별된 표적에 대한 명확한 분류기준 시달 주요관심표적 CCOI, 관심표적 COI로 지정ㆍ관리
표적관리
17
표적위협 수준에 따른 교전 우선순위 지정 함소 및 무장할당 무장 중복사용, 상호간섭, 우군간 교전 방지대책강구
무장운용
18
보고시 관찰결과, 식별판단, 대응의도 포함 음성, 문자망, TDL이용
보고 및 전파
19
전투지휘관
정보전지휘관 방공전지휘관 대함전지휘관 대잠전지휘관 해상전투지휘관 강습전지휘관
20
기능부대지휘관
탄도탄방어지휘관 경계진지휘관 해양차단작전지휘관 기뢰전지휘관 기동군수지휘관
21
조정관
공역통제권한자 고정익 항공자산조정관 회전익 항공자산조정관 잠수함작전통제관 연동통제관 암호자재조정관
22
기동부대사령관 전술지휘관 복합전지휘관 전투지휘관/기능부대지휘관
기동부대사령관-CONOPS 작전개념 전술지휘관-OPORD 작전명령 복합전지휘관-OPGEN 작전수칙 전투지휘관/기능부대지휘관-OPTASK 작전절차
23
해상전력들이 작전을 수행함에 있어 직면한 위협의 수준을 판단하기 위해 설정하는 태세
위협경보
24
교전이 가능한 조건 또는 대상을 구분하기 위해 설정
무기통제상태WCS
25
우군이 아니면 공격
Weapon Free
26
적성이면 공격
Weapon Tight
27
자체 방어나 상부지시에 의해서만 공격
Weapon Hold
28
특정 임무ㆍ작전 수행에 있어 목표가 되는 표적
주요 관심표적 CCOI
29
지속적인 감시ㆍ추적이 필요하거나 전술적인 특이점이 보이는 표적
관심표적 COI
30
모든표적이 탐지, 보고 및 추적되어야하는 구역으로 "통상 센서의 최대탐지거리"를 고려하여 설정
감시구역
31
모든 표적이 식별된 상태여야하며, 필요시 교전까지 수행할 수 있는 구역으로 "통상 우군 무장의 최대사거리"를 기준으로 설정
식별 및 교전구역
32
위협이 주력체에 도달하기 전 반드시 적절한 대응이 이루어져야 하는 구역으로 통상 "적 위협의 무장 최대사거리"를 기준으로 설정
핵심구역
33
공세제공작전, 적지, 공격
공중강타 대공제압 전투기엄호 전투기소탕
34
방어제공작전, 우군지역, 방어
적극방공 소극방공
35
대항공기 대유도탄 대탄도탄
대항공기 MCRC주관 / 전시 AADC 대유도탄 우군전력접근 유도탄 적성간주 대탄도탄 KAMD 작전센터 주관 작전
36
전구항공통제의 중추기구, 항공작전을 중앙 집권적으로 통제 및 조정
KAOC
37
KAOC의 중앙 집권적 통제하에서 공중감시, 항적식별, 전술조치, 요격관제 등 임무를 분권적으로 시행
MCRC
38
KAOC의 중앙집권 통제하에 감시 자산으로 부터 접수한 정보 및 경보로 전파, 패트리어트 포대의 교전통제, 탄도탄 발사지점 정보제공, 적 탄도탄
KAMD 작전센터
39
구역 방공지휘관 SADC
이지스함, AWACS, MCRC, E-737
40
지정된 책임구역에서 방공수행
SADC
41
CSAO에서 대특작부대작전 수행
MASOC
42
북한공군기지 과일, 원산 남방 5NM 지점을 연장 적성ㆍ미식별 항적 접촉시 감시, 선별적 조치
SSS 특별감시구역
43
적정ㆍ미식별 항적 접촉시 적극대응 (전투기, 방공무기, 대공포 등 이용)
전술조치선 TAL 고속전술조치선 H-TAL
44
해군 구성군사령관이 설정, 의명 DEF-III시
대특작부대작전구역(CSAO) 서해 SCALLOP 동해 SHRIMP
45
공군 구성군사령관이 유효화
HIDACZ
46
복합전 기본개념
중앙집권적 지휘통제와 분권적 임무수행 거부권에 의한 지휘
47
해군 구성군사령관이 설정, 의명 DEF-III시
대특작부대작전구역(CSAO) 서해 SCALLOP 동해 SHRIM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