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행동을 활성화시키고 방향 지어주는 욕구나 원망은?
동기
2
동기에 대한 네 가지 관점은?
본능 이론, 추동감소 이론, 각성 이론, 매슬로우의 욕구위계
3
동기에 대한 관점 중 유전적 소인을 가지고 있는 행동에 초점을 맞추는 이론은?
본능 이론
4
동기에 대한 관점 중 내적 추진력과 외적 제어 사이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춘 이론은?
추동감소 이론
5
동기에 대한 관점 중 최적의 자극수준을 찾아내는데 초점을 맞추는 이론은?
각성 이론
6
동기에 대한 관점 중 어떻게 특정 동기가 우선권을 갖게 되는 것인지를 기술하는 것은?
매슬로우의 욕구위계
7
20세기 초반, 진화론이 그 영향력을 넓혀갔던 시기에 모든 유형의 행동들을 본능으로 분류한 사람은?
다윈
8
초기의 본능 이론가들은 그저 행동에 이름을 붙였다기보다는 인간 행동을 설명하였다.(O,X)
X
9
한 동물종에서 고정되어 있고 학습되지 않는 행동 패턴은?
본능
10
__ 이론은 인간의 동기를 설명하는데 실패하였지만, ____학에서는 유전자가 종 특유의 어떤 행동들을 야기한다고 가정한다.
본능, 진화심리
11
신경계가 (단순/복잡)할수록 유기체는 적응적이다.
복잡
12
생리적 욕구가 각성상태를 만들고, 각성상태는 유기체로 하여금 욕구를 만족시키도록 동기화한다고 제안한 이론은?
추동감소 이론
13
각성상태를 다른말로?
추동
14
강화물의 효과의 원인을 추동의 감소에서 찾는 강화 이론으로 음식이나 물과 같은 이러한 생리적 기본욕구를 충족시켜줌으로서 추동을 감소시켜 주는 이론은?
추동감소 이론
15
수분 부족-> 목마름-> 물마심 과 같은 과정은 어떤 이론을 따르는가?
추동감소 이론
16
일정한 내적 상태를 유지하려는 경향성은?
항상성
17
혈당과 같은 신체의 화학적 상태를 특정한 수준으로 조절하려는 경향성은?
항상성
18
추동감소의 생리적 목표는?
항상성
19
행동을 동기화시키는 긍정적인 환경자극은?
유인자극
20
추동감소이론의 과정은?
욕구-추동-추동감소 행동
21
추동감소이론의 과정은 __적 욕구가 있고 그 충족되지 않은 욕구가 __을 만들어내며 그것은 욕구를 해소하도록 이끌어간다.
생리, 추동
22
새끼 원숭이들과 아동들이 예전에 한 번도 다루어보지 않았던 물건에 매료되고 비교적 친숙하지 않은 것을 탐색하려는, 즉각적인 생리적 욕구를 채워주지 않는 여러 동기 중 하나인 충동은?
호기심
23
인간 동기의 목표는 각성을 없애는 것이 아닌 최적 수준의 각성을 찾는 것이라는 이론은?
각성 이론
24
적당한 각성이 최적의 수행으로 이끌어간다는 원리는?
여크스-닷슨 법칙
25
인간 동기를 피라미드 형태로 간주한 인물은?
매슬로우
26
피라미드의 최저층은 생리적 욕구이고, 최고점은 인간 욕구의 최고 수준을 표상하는 것은?
매슬로우의 욕구위계
27
매슬로우의 욕구위계 피라미드의 순서는?(아래부터)(콤마로)
생리적 욕구, 안전 욕구, 애정(소속) 욕구, 존경 욕구, 자아실현 욕구, 자기초월 욕구
28
사람과 동물은 에너지 결핍을 방지하고 안정된 체중을 유지하기 위해서 칼로리 섭취를 자동적으로 조절한다는 생리학은?
배고픔의 생리학
29
식욕 관련 호르몬 두 가지는?
그렐린, 렙틴
30
식욕 관련 호르몬 중 공복시 위가 분비하는 호르몬으로 두뇌에 배고프다는 신호를 보내는 호르몬은?
그렐린
31
식욕 관련 호르몬 중 지방세포가 분비하는 호르몬으로, 두뇌에 식욕을 억제하는 신호를 보내는 호르몬은?
렙틴
32
위가 (수축/팽창)하면 배고픔을 느낀다.
수축
33
신체에 에너지원을 공급하는 당분의 형태인 ____ 수준이 떨어지면 배고픔을 느낀다.
글루코스
34
포도당을 영어로?
글루코스
35
췌장이 분비하는 호르몬으로 혈당을 제어하는 것은?
인슐린
36
식욕을 촉진/억압하는 호르몬 분비를 관장하는 곳은?
시상하부의 궁상핵
37
체중 자동조절장치의 기준점은?
조절점
38
조절점을 다른 말로?(두가지)
기초대사량, 정착점
39
신체의 화학적 요인과 환경 요인은 맛 선호에도 영향을 미친다.(O,X)
O
40
단맛과 짠맛을 선호하는 것은 __적이며 __적이다.
유전, 보편
41
탄수화물은 신경전달물질 ____의 수준을 높이는데 일조하며, 이것에는 진정효과가 있다.
세로토닌
42
맛 선호에 대한 문화적 영향력의 차이에서 베두인족, 일본인, 서양인이 먹는 것을 순서대로 나열하시오.
낙타의 눈, 낫또, 유제류의 부패한 체액(치즈)
43
독성 물질로부터의 보호를 위해 적응하며 생긴 병은?
낯설음 공포증
44
더운 기후 지역에서는 적응적으로 __ 음식을 선호한다.
매운
45
전 세계 사람들이 그 문화권에서 기름지거나, 씁쓰름하거나, 아니면 매운 음식을 즐기도록 학습하는 것은?
획득한 입맛
46
섭식할 때 상황의 위력 세 가지는?
친구와 음식, 제공되는 음식크기, 음식의 다양성
47
타인의 존재가 자연스러운 행동의 경향성을 증폭시키는 것은?
사회 촉진
48
소비되는 음식량이 제공되는 크기, 그릇, 그리고 문화 규범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은?
단위 편향
49
음식의 __성이 섭식을 촉진한다.
다양
50
관계를 형성하고 집단의 일원임을 느끼려는 욕구는?
소속 욕구
51
인간의 근본적인 동기는?
소속 욕구
52
‘이것’의 이점은 조상들의 생존율을 높여주고 포식자와 적으로부터 보호받고 ‘이것’ 욕구를 가진 조상들이 성공적으로 생존하고 후손을 퍼뜨렸다. ‘이것’은?
소속
53
인간은 __적으로 사회적 존재이다.
생득
54
소속 욕구는 __, __, __에 영향을 미친다.
사고 정서 행동
55
__의 감정이 두뇌 __시스템과 __시스템을 활성화시킨다.
사랑, 보상, 안전
56
사람들을 심적 와해와 건강을 잃어버리는 위험에 빠뜨리는 것은?
사회적 고립
57
__당하는 것은 개인에게 매우 고통스러운 일이다.
배척
58
__적 고통과 __적 고통을 경험할 때 활성화되는 뇌 영역이 같다.
사회, 신체
59
__은 그것을 없애려는 행동을 동기화한다.
고통
60
사람들의 사회적 행동을 통제하고 처벌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배척 세 가지는?
추방, 구금(금고), 독방 감금
61
중요한 성취를 달성하려는 욕구, 완전해지려는 욕구, 높은 기준을 달성하려는 욕구는?
성취 동기
62
타고난 능력이나 지능, 재능보다 성취동기와 자기조절 (훈련)이 실제 성취를 이루는데 중요하다(O,X)
O
63
____가 높은 사람은 도전거리에 대한 근성 덕분에 더 많은 것을 성취한다.
성취동기
64
장기적 목표를 추구하는 열정과 집념은?
Grit
65
배가 고플때의 빵 냄새는 어떤 자극인가?
유인자극
66
운동선수가 연습보다 실전에서 더 높은 수행력을 보이는 이론은?
각성 이론
67
천연우울증치료제인 화합물은?
탄수화물
68
충분한 돈, 권력, 지식을 가졌음에도 더 원하는 것은 어떠한 동기와 관련있는가?
성취 동기
69
아이에게 해로울 수 있기에 음식을 거부하게 되는 뜻에서 __적이고 특히 임신 __주차에 입덧은 절정에 달하게 된다.
적응, 10
70
다른 사람이 있을 때 쉬운 과제를 더 잘 하는 현상은?
사회 촉진
71
다른사람과 함께 있는 것보다 혼자있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은 유전자를 남길 가능성이 (많다/적다).
적다
72
대등한 위치에 있거나 유사한 상황에 처한 사람들과 가깝게 지내며 친밀한 관계를 맺고나 하는 대인 동기는?
친애 동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