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금(여진)을 정벌하자고 주장
묘청
2
고려, 송, 요의 주석을 모아 편찬 (일부만 현존)
속장경 (의천)
3
무신집권기 유행한 문학
가전체 문학
4
신진사대부 사이 유행한 문학
경기체가
5
경사 6학 (교육제도)
인종
6
5도 양계 + 4도호부 8목
현종
7
쌍성총관부 설치 시기 왕
원종
8
응방 설치
충렬왕
9
속현(우봉, 파평..)에 [감무관 파견]
예종
10
중추원과 삼사는 어느 국가를 모방?
송
11
칭제건원 주장
묘청
12
과거제 시, 문학 시험
제술업
13
유교, 유학 시험 (과거제에서 지칭하는 말)
명경업
14
동녕부 반환
충렬왕
15
탐라총관부 폐지
충렬왕
16
경계의 난 = 무신정변 + ( )의 난
김보당 (의종 복위)
17
통일신라 감찰관
외사정 (사정부)
18
정월 보름에 개최
연등회
19
10/15(개경), 11/15(서경)에 개최
팔관회
20
시인 진화와 교류
이규보 (최충헌)
21
환구단
성종
22
사직
성종
23
기자사당
숙종
24
복원궁
예종
25
묘련사
충렬왕
26
지공거 역임, 고위 관료 출신
최충 (문종)
27
이의방 정중부 제거 운동
조위총
28
?
최승로
29
안향, 주자가례 보급
충렬왕
30
?
역분전
31
?
시정전시과
32
“거란은 짐승과 같은 나라... 본받지 말라.”
태조
33
찰리변위도감
충숙왕
34
편민조례추변도감
충혜왕
35
백이정 (성리학 전파)
충선왕
36
ㅇㅇㅇㅇㅇ
예종
37
문신월과법
성종
38
고려 약국
혜민국
39
고려 질병 치료, 병사자 처리
구제도감
40
이자를 활용한 빈민구제
제위보 (광종)
41
재지사족
신진사대부
42
부재지주
권문세족
43
황도, 서도 격상
광종
44
음서 실시
목종
45
도평의사사 설치
충렬왕
46
입성책동 사건 (원에 고려 편입 시도)
충선왕
47
최광수의 난
최충헌
48
이비, 패좌의 난
최충헌
49
광명, 계발의 난
최충헌
50
명나라 건국 시기 왕
공민왕
51
성리학 수용의 토대가 된 학설
유불일치설 (혜심 - 지눌 시기)
52
김용
공민왕
53
몽골침입 시기 고려 왕
최충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