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황이나 나프탈렌 같은 고체위험물의 연소형태에 해당하는 것은?
증발연소
2
다음 중 이산화탄소의 특징이 아닌 것은?
다른 가스계 소화약제보다 분사시간이 짧아 완전소화가 가 능하다
3
소화원리에 대한 일반적인 소화효과의 종류가 아닌 것은?
기압소화
4
다음 중 폭굉 을 기인하는 요인으로 옳은 것은 (Detonation) ?
급격한 충격파
5
다음 중 인화점이 가장 낮은 물질은
산화프로필렌
6
우리나라에서의 화재 급수와 그에 따른 화재 분류가 틀린 것 은?
주방화재 - E급
7
다음 중 flash over를 가장 옳게 표현한 것은
실내에서 폭발적인 화재의 확대현상이다
8
NH4H2PO4를 주성분으로 한 분말소화약제는 제 몇 종 분말소 화약제인가?
제3종
9
가연물이 되기 위한 조건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연소시 흡열반응을 할 것
10
이산화탄소 소화약제의 소화작용이 아닌 것은?
부촉매소화
11
분말소화약제의 열분해 반응식 중 옳지 않은 것은?
2NaHCO3 → 2NaCO3 + 2CO2 + H2O
12
자연발화에 대한 예방책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가능한 한 물질을 분말상태로 저장한다
13
다음 중 열전도율이 가장 작은 것은
암면(광물섬유)
14
연기에 의한 감광계수가 0.1m-1, 가시거리가 20 ~30m일 때의 상황을 옳게 설명한 것은?
연기감지기가 작동할 정도
15
가연성 액체에서 발생하는 증기와 공기의 혼합기체에 불꽃을 대었을 때 연소가 일어나는 최저온도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인화점
16
건축물의 피난扔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자동방화 셔터의 요건 중 옳지 않은 것은
열을 감지한 경우 완전 개방되는 구조일 것
17
방호공간 안에서 화재의 세기를 나타내고 화재가 진행되는 과 정에서 온도에 따라 변하는 것으로 온도-시간 곡선으로 표시 할 수 있는 것은?
화재가혹도
18
소화방법 중 제거소화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방안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이불이나 담요로 덮음
19
방화벽의 구조 기준 중 다음 ( ) 안에 알맞은 것은? 방화벽의 양쪽 끝과 위쪽 끝을 건축물의 외벽면 및 지붕면 으로부터 ( ㉠ )m 이상 튀어나오게 할 것 방화벽에 설치하는 출입문의 너비 및 높이는 각각 ( ㉡ )m 이하로 하고, 해당 출입문에는 60분+방화문 또는 60분방화 문을 설치할 것
㉠ 0.5, ㉡ 2.5
20
건축법령에 따른 아파트의 발코니에 대피공간을 설치하지 않을 수 있는 경우가 아닌 것은
발코니에 완강기를 설치한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