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요 보존 방법은?
냉장 또는 냉동
2
혈청 나트륨의 기능은?
세포외액의 삼투압 유지
3
☆일반적 격리의 기본원칙의 목적은?
혈액매개성 병원균에의 노출 예방/기회 최소화
4
혈구세포는 몇 퍼인가?
45
5
요 보존 방법 중 Toluen 10ml 첨가하는 방법은?
화학보존제
6
☆glucocorticoid를 과잉 생산하고 코티솔 수치가 상승하는 것은?
쿠싱증후군
7
☆산소분압 참고치
75~100mmHg
8
☆경구 당부하검사 30분 1시간 2시간 3시간 혈청 참고치는?
160미만 170미만 125미만 공복시와동일
9
☆세 가지 유형의 스테로이드를 분비하는 것은?
부신피질
10
☆당뇨병 진단 기준은?
HbA1c 6.0%이상
11
☆적혈구 지수는?
RDW : 10.9~15.7%
12
☆혈소판의 주요기능은?
지혈 작용
13
혈청 리파아제는 뭐에 더 특이적인가
급성 췌장염 진단
14
☆HbA1c의 뜻과 기준치
당화혈색소
15
☆암모니아 참고치
11~60umol/L
16
☆혈청 아밀라아제의 현저한 상승이 일어나는 건?
급성 췌장염
17
환자의 감염에 대한 실질적인 위험성을 결정하는데 도움을 주는 수치는?
절대 호중구수(ANC)
18
☆ph조절
HCL을 첨가하여 PH를 낮춰 세균증식 억제
19
혈액의 방치로 인한 변화는?
암모니아치, 혈정 K치 상승
20
☆용혈이 일어나면 적혈구로부터 인산염이 방출되어 수치가 거짓으로 상승되는 것은?
혈청 인(산)
21
천자방법은?
모세혈관 천자
22
혈구세포의 구성요소는?
적혈구
23
☆장기간의 혈당조절평가에 유용한 것은?
HbA1c
24
검사 과정은?
권장 채혈순
25
경구 당부하검사의 정상 인슐린 수치는?
탄수화물 투여 후 30~60분 후 최고수준
26
소변으로 배출 된 성분의 정량분석을 위해 사용되는 소변 검사물은?
24시간 수집뇨
27
☆염증이나 암 등에 의한 조직파괴, 혈장 단백이상을 반영하는 비특이적 검사는?
적혈구 침강속도
28
NaF는 어떤 거에 전용인가?
glucose
29
☆HbA1c가 하는 일
헤모글로빈과 혈액 속 포도당 결합
30
☆혈액 주효소는?
간/심장질환의 유력지표로 사용
31
☆당질 및 지방 대사에 영향을 주고 주요한 호르몬은 Cortisol인 것은?
당류피질호르몬
32
백혈구 약어
WBC
33
혈액 검사 수집 및 관리 방법은?
철저한 무균술
34
☆경구 당부하검사시 정상 인슐린 수치는?
탄수화물 투여 후 30~60분에 최고
35
☆리파아제의 참고치는?
13~60U/L
36
☆알도스테론은 어떤 자세로 검사해야하는가
2시간 동안 앉은 자세 후 직립자세
37
☆특히 알코올 섭취량에 민감하여 알코올 중독자의 치료와 경과관찰에 유용한 것은?
GGT, Y-GT
38
백혈구의 기준치를 말해보시오
4천~만
39
☆혈청 아밀라아제의 생산 장기는?
췌장과 타액선
40
아침 첫 소변은?
체위성 단백뇨 검사
41
☆백혈구의 검사법은?
호중구
42
☆알부민 글로불린 비율의 사용 목적은?
간경변의 중증도 지표
43
요 보존 방법 중 HCL을 첨가하여 PH를 낮춰 세균증식을 억제하는 방법은?
PH 조절
44
혈청단백질의 기준치
1.5:1 ~ 2.5:1
45
☆칼륨의 임상적 의의 감소 증상은?
주기성 사지마비
46
☆당화혈색소를 영어로 말해보시오
HbA1c
47
☆적혈구 지수는?
WBC 수
48
ABGA란?
요골 대퇴동맥
49
☆백혈구가 나뉘는 구는?
과립구
50
☆나트륨(SST) 참고치
136-145mmol/L
51
혈장의 기능은?
체액과 전해질 균형 조절
52
전 혈구 검사를 영어로 말하시오.
CBC
53
부신성 ㅇㅇㅇㅇ은 간에서 ㅇㅇㅇㅇㅇㅇ으로 전환되고, ㅇㅇㅇㅇ에 다소 영향
안드로겐, 테스토스테론, 이차성징
54
☆GT(혈청SST) 참고치는?
남 <3.0 여 <8.0
55
적혈구 약어로
RBC
56
☆ABO 혈액형 검사에서 교차시험이란?
공혈자와 수혈자의 혈청내 항체를 찾는 검사
57
☆저나트륨혈증 참고치
135mmol/L이하
58
☆염소(NACL)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산 염기 균형 유지
59
☆암모니아 측정목적
진전된 간질환
60
성인의 빈혈 진단 기준은?
남 : 혈색소 < 13g/dL
61
☆알부민/글로불린 비율
1.5:1~2.5:1
62
☆적혈구 수의 정상치는?
4백만~6백만
63
요 보존을 하는 이유는?
세균 번식 막고 용질
64
용혈로 인한 변화는?
적혈구 깨짐
65
환자의 감염에 대한 실질적인 위험성을 결정하는데 도움을 주는 수치는?
절대 호중구수(ANC)
66
☆혈청 나트륨의 기능은?
세포외액의 삼투압 유지
67
☆고나트륨혈증 참고치
혈청농도 145mmol/L이상
68
1~3개월간의 평균 혈당치는?
HbA1C
69
☆적혈구 침강속도 약어로
ESR
70
☆적혈구 침강속도의 기준치는?
남 :<20mm/hr
71
☆심근경색이 최고조에 도달하는 시간은?
AST가 경색 후 24시 내
72
건강한 상태라고 생각되는 사람들의 진단에서 얻어진 안전과 특성을 고려하여 설정하는 범위는?
참고치
73
당화혈색소 약어
HbA1c
74
☆부적합 검체는?
환자 확인 안됨
75
☆경구 당부하검사 공복시 혈당은?
70~100mg/dL
76
☆암모니아 약어로
NH3
77
혈액의 검사물 수집 방법은? 3가지
정맥혈 채혈, 헤파린, RAC
78
세균 배양을 위한 채뇨로 적절한 소변 검사물은?
무균적 중간뇨
79
☆산도(PH) 참고치
7.35~7.45
80
두번째 소변은?
당과 아세톤 존재 유무 확인
81
뇌하수체기능저하 갑상선기능저하증 결핵 특발성 부신기능저하증, 안드로겐 등의 약물치료는 코티솔 수치를 저하시키는 병은?
에디슨병
82
혈장은 몇 퍼인가?
55
83
☆호염기구의 참고치는?
0~6%
84
☆갑상선호르몬 대부분으로 이루어진 것은?
T4(90%), 10%의 T3로 구성
85
천자방법의 평가법은?
산소포화도, 산영기 평형, 폐의 환기능력 평가
86
☆신장에서 칼륨의 분비와 나트륨의 정체를 증진시키고 주요한 호르몬이 aldosterone인 것은?
염류피질호르몬
87
깨끗한 중간뇨는 어느 병원에서 쓰는가
비뇨기과
88
☆경구 당부하검사의 검사목적은?
당뇨진단/포도당 대사장애 확인
89
혈청 아밀라아제 생산 장기는?
췌장
90
적혈구 분포 지수 약어로
RDW
91
☆체액에서 전해질로 측정되는 중요한 이온
나트륨
92
혈청 아밀라아제의 현저한 상승은?
급성 췌장염
93
☆급성 췌장염 진단에 더 특이적인 것은?
혈청 리파아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