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기지점 전이를 하기 위해서는 기지점이 사격지휘소 ( )에 반드시 표정되어 있어야 한다.
사격도판
2
극표정을 이용한 표적위치 결정할 경우 사격지휘소에는 ( )를 알고 있어야 한다.
관측자의 위치
3
( )은 통상 야전포병에서 사용되는 방위각으로, 일반적인 방위각 또는 방향이라는 용어를 ( )의 뜻으로 사용한다.
도북방위각, 도북방위각
4
극표정을 이용한 표적위치결정 시 관목방위각은 ( )단위, 거리는 ( )단위, 수직전이량은 ( )단위로 결정한다.
10밀, 100m, 5m
5
모든 지도의 네모 한 칸( )의 실제거리는 축척과 관련없이 ( )이다.
한 변, 1000m
6
관목방위각은 관측소에서 표적을 바라봤을 때의 방위각이며, ( )단위로 결정하고, ( )을 사용한다.
10밀, 도북방위각
7
( )는 사격지휘소 인원이 착오없이 기록 및 확인할 수 있도록 신속하고 명확해야 한다.
사격요구
8
JFTS 실습 시 산출되는 모든 방위각 값은 ( )이다.
도북방위각
9
관측자는 ( )이 지속적으로 확립될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해야한다.
유•무선 통신망
10
대포의 포신이 표적을 지향하는 가상의 직선은?
포목선
11
관측소의 위치를 기준으로 표적까지의 차이를 계산하여 산출하는 표적위치결정 방법은?
극표정
12
기지점 전이를 이용한 표적위치 결정 시 전이의 기준점은?
기지점
13
관측자의 사격요구 중에 관측자가 수정간 또는 효력사에 사격되는 포탄을 어떠한 방법으로 통제할지를 결정하는 요소는?
통제방법
14
경고명령에 포함되는 요소가 아닌 것은?
4. 표적 규모 : 대대, 중대
15
사격요구에서 통제방법 중 옳지 않은 것은?
1. 효력사
16
사거리 판정 종류로 옳지 않은 것은?
4. 판정불가
17
차후수정시 사격요구 통보 요소로 옳지 않은 것은?
2. 초탄(탄착점)에 대한 방위각
18
기지점 전이 시 기지점에 대한 도북방위각이 300밀이고, 표적에 대한 도북방위각이 520밀 일 때 수평전이량은 몇 m인가? *기지점까지의 거리 : 1500m, 표적까지의 거리 1200m
+330m(우로 330)
19
차후수정 시 관측자로부터 표적까지 거리가 1500m일 때, 관목인수는 몇인가?
2
20
관측자와 사격지휘소간의 통신 통달거리 제한으로 중계소를 활용한 통신을 해야하는 상황이다. 사격지휘소가 중계코드를 사용하고 있을 때 관측자는 어떤 코드를 사용해야 하는가? *중계소는 주 코드와, 중계 코드 무전기 2대를 연동 중에 있음.
주 코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