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동물 플랑크톤이 낮에는 유광층 아래에서 통해 생존하다, 밤에는 표층으로 와 식물성 플랑크톤을 섭취하는 현상
수직회유
2
수직회유 시 동물플랑크톤이 낮에 위치하는 곳과 밤에 먹이활동을 위해 위치하는 곳을 서술하시오
유광층 아래/ 표층
3
수직회유의 중요성
동물플랑크톤의 상승과 하강의 직접적 원인, 수직회유가 유기체에 가져오는 생물학적 이점
4
수직회유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
온도, 빛, 내인성 일주 리듬
5
수직회유의 생물학적 이점
포식자로 부터 회피, 종의 분산 및 개체군 간의 유전 물질 교환, 표면의 유해한 영향으로 부터의 탈출, 에너지 이점(에너지 손실 줄임)
6
수직회유의 가설
강한 빛 가설, 식물플랑크톤 회복 가설, 포식가설, 에너지 보존 가설, 표층 혼합 가설
7
수직 회유의 가설 중 강한 빛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아서 수심 깊은 곳으로 내려 간다는 가설은?
강한 빛 가설
8
수직 회유 가설 중 낮에 광합성을 하여 회복해서 밤에 다시 이용할 수 있도록 내려가는 가설은?
식물플랑크톤 회복 가설
9
수직회유 가설 중 포식자의 눈을 피해 있다가 섭식을 위해 밤에 올라오는 가설
포식가설
10
수직회유가설 중 신진대사율과 에너지 수요가 낮은 차가운 해수에서 낮을 보내는 가설
에너지 보존 가설
11
수직회유 가설 중 새롭게 올라온 표층수에 먹이인 식물플랑크톤이 있고 변하는 환경에 적응하고 진화하기 위해 새로운 유전적 종이 나타나는 가설
표층 혼합 가설
12
미생물 고리에 대해 서술하시오
식물성플랑크톤 - POM&DOM - 박테리아 - 원생동물 - 동물플랑크톤
13
표층의 광합성과 박테리아의 화학합성이 나타내는 것
1차 생산
14
현존량이 나타내는 것은?
샘플링하는 시점에서의 단위 면적당 생물체의 수, 특정 시점에 존재하는 바이오매스
15
특정 시점에 존재하는 바이오매스는
현존량
16
샘물량은 주어진 면적 또는 부피에 있는 모든 생물의 무엇?
무게
17
중화지수는?
식물의 성장을 단위 시간당 엽록소 a에 고정된 산소양
18
식물의 성장을 단위 시간당 엽록소 A단위당 고정된 산소양
중화지수
19
식물플랑크톤에 의해 대사물질이 배출되는 현상
산출
20
NPR을 구하는 공식은?
NPR = GPR -R 순생산=총생산-호흡량
21
보상심도는 순광합성이 몇이 되는 깊이인가
0
22
순광합성이 0이되는 깊이는
보상심도
23
광합성률과 단일세포의 호흡률이 같을때 보상 심도보다 낮은 깊이에서의 변화는?
탄소의 순 생산량이 증가하고 산소의 순 생산량이 줄어든다
24
식물플랑크톤의 총 생산량과 호흡에 의한 소비량이 일치 하는 수심은?
임계심도
25
임계심도에서는 무엇과 무엇인 같은 수심인가
수중의 모든 식물 플랑크톤의 총 생산량과 호흡에 의한 소비량
26
식물플랑크톤이 수직으로 이동해 혼합되는 깊이는
혼합심도
27
혼홥심도가 임계심도보다 낮게 설정 될 때의 순생장
순생장을 하지 않는다
28
혼합심도가 임계심도보다 낮게 설정되는 경우의 순생장
순생장을 한다
29
1차 생산량을 측정하는 방법
영양소 측정, 산소 측정, 14번 동위원소 측정법, 수확법 세포수, 엽록소 측정
30
해양의 생산력을 좌우하는 물리적 특성
1차 생산에 사용되는 빛과 영양염, 온도, 염도, 밀도, 와류
31
표 해수층에 들어오는 무엇에 따라 생산량이 달라짐
빛의 세기
32
20M 이하의 표층에서는 너무 강한 빛의 세기에 의해 광합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현상
광저해현상
33
겨울철 표층수가 충분히 차가워져서 가라앉게 되고 이때 깊은 물의 자리를 차지하는 현상
역전현상
34
적도나 중위도 지역에서 표층수와 심층수 사이에 있는 수심층으로 심층수가 대기와 접촉하지 못하도록 하는 층
밀도약층
35
봄철 대발생을 일으키는 원인
역전현상과 혼합에 의해 많은 영양염이 표층에서 혼합되어 식물플랑크톤에게 이상적인 조건을 제공하여서
36
영얌영은 표층에서만 획득되지만 유기물 입자가 침강하기 때문에 재생산의 많은 부분이 일어나는 지역은
유광층 아래
37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 분포 측정 방법
인공위선 사진과 조사선에서 측정한 식물플랑크톤의 엽록소 농도를 통해 알 수 있음
38
해양에서 육상환경보다 높은 생산량을 가지는 지역
염습지, 켈프 숲, 산호초
39
조간대는 무엇의 영향을 받는다
파도의 노출
40
파도의 노출이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 종 사이에도 영향을 준다
분류학적으로도 유사한 종
41
조간대에서의 이러한 종간의 차이는 무엇으로 인해 생길 수 있다
파도의 직접적인 영향, 경쟁자나 포식자에 의한 영향
42
파도에 노출되어 있는 생물들의 파도 충격에 대처하기 위한 방법
강하게 부착, 부착기나 족사를 이용, 낮은 외형, 유연성 높임
43
암반 조간대의 생물은 먹이나 영양보다 무엇의 영향을 더 받아 개체수가 조절됨
제한된 공간
44
특정 종의 상한선은 물리적 요인에 의해 결정되고 하한선은 포식과 경쟁 같은 생물학적 원인에 의해 결정되는 것
수직대상분포
45
수직대상분포에서 특정종의 상한선과 하한선을 결정하는 요인
상한선은 물리적요인, 하한선은 포식과 경쟁과 같은 생물학적 요인
46
공기 중 기 시간 노출되어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종이 서식하는 곳은
상부조간대
47
상부조간대의 서식하는 생물
지의류, 시아노박테리아, 협죽도과의 식물, 삿갓조개
48
중부조간대에 서식하는 생물
따개비, 담치류, 모자반류의 갈조류
49
하부조간대에 서식하는 생물
홍,녹,갈조류, 현화식물 - 해초류, irish moss
50
수직해양분포의 물리적 요인
파도작용, 온도내성, 염분
51
수직대상분포의 생물학적 요인
경쟁, 포식
52
특정 종의 수가 적더라도 높은 비율에 군집에 영향을 미치는 종
핵심종
53
핵심종의 역할
종간 개체 수 조절의 핵심 역할, 종의 풍부도 조절하는 역할
54
생물학적 천이는 무엇에 규칙적인 패턴을 보인다
재성장
55
생물학적 천이의 마지막 단계
극상 군집
56
상부조간대의 구조화를 이루는 요인
온도, 건조 등의 물리적 요인
57
중부조간대의 구조화 요인
초식압이나 다른 육식동물의 포식
58
하부조간대의 구조화를 이루는 요인
조류의 경쟁압
59
파도, 해류의 움직임은 조간대 어느 부분에 적용하며 특이 어떤 부분에 적용된다
상~하부, 특히 하부
60
암반과 다르게 퇴적물로 구성된 기질
연성저질
61
연성저질의 특징
불안정하며, 파도나 해류에 의해 변경가능하다, 부착공간이 없다
62
연성저질에 서식하는 동물
내서동물, 표서동물, 중형저서동물, 간극동물, psammon(모래알 사이 생물)
63
연성저질의 가장 중요한 물리적 요인은?
입자 크기와 같은 퇴적물의 종류 및 크기
64
sorting이란
퇴적물 입자 크기의 동일성
65
퇴적물 입자 크기의 동일성이란
sorting
66
해안의 경사를 형성하는 요인
입자의 크기, 파도작용
67
파도작용의 종류와 예시
약한파도 - 고운 모래 / 강한 파도 - 자갈이나 굵은 모래
68
산소함량은 퇴적물의 미세도에 따른 무엇과 관련되어 있다
물의 교환
69
퇴적물의 미세도에 따른 물의 교환과 관련된 것은?
산소 함량
70
진흙 저질의 상부와 하부에 있는 층의 종류와 해당 층 중간에 있는 층의 종류
상부 - 호기성 하부 - 혐기성 중간 - 전위 불연속층
71
호기성층과 혐기성층에서 각각 영양분을 생산하는 방식
호기성층에서는 광합성, 혐기성 층에서는 화학합성
72
전위불연속층에서 만들어 지는 것은?
유기물
73
해양환경 중에서 일차생산을 하는 층이 2개 존재하는 유일한 환경은?
연성 저질(진흙 저질)
74
연성 저질 조간대에서 우점되는 종은?
퇴적물 섭식자
75
수직대상분포가 뚜렷하게 나타나는 곳과 구별하기 어려운 곳은?
암반 조간대에서 가장 뚜렷하게 나타나고, 모래나 진흙해안으로 갈 수록 구별하기 힘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