暗記メーカー
ログイン
기능 구술 2
  • ユーザ名非公開

  • 問題数 44 • 11/18/2023

    記憶度

    完璧

    6

    覚えた

    17

    うろ覚え

    0

    苦手

    0

    未解答

    0

    アカウント登録して、解答結果を保存しよう

    問題一覧

  • 1

    비상 전호 요령

    주간에는 양팔을 높이 들거나 녹색기 외의 것을 급히 흔들고, 야간의 경우 녹색등 이외의 것을 급히 흔들거나 양팔을 높게 든다

  • 2

    기관사 안전장치 (DSD) 작동되지 않는 경우

    1) 정차중 ZVR 여자시 2) 제동취급으로 ELBR 여자시 3) DSSRR 여자시 4) 동력핸들 누르고 있을때

  • 3

    EBCOS 투입중 기관사 안전장치(DSD) 작동 관련

    경고음은계속 울리지만 비상제동은 체결되지 않음

  • 4

    안산, 과천선 선로 최고 속도?

    안산, 과천선 선로 최고속도는 110키로 이지만, 과천선은 차내신호기에 최고 80모드 현시 되므로 80키로 이하 운전

  • 5

    지하구간 운전중 화재 발생시 조치

    1) 관제사에게 화재상황 급보 및 119와 관계직원 출동 요청후, 차장에게 안내방송과 승객 분산조치 하도록 통보 2) 최근 정거장까지 운전하여 여객 대피시킨후, 출동한 119 및 관계직원과 함께 소화 조치

  • 6

    출입문 고장에 따른 열차 회송시

    마지막 열차 외에는 관제사 지시로 회송조치 하며, 지하구간 회송시 승강장 통과 제한 속도는 45키로 이하. (한국철도공사 구간은 60키로 이하)

  • 7

    전체 출입문이 열리지 않는 경우

    1) 전부 TC차 CRSN 확인 2) ATCN, ATCPSN, BVN1 차단여부 확인 3) 전부 TC차에서 DOS 취급 4) 관제사 보고후, 후부 운전실 제어대 LSBS ON 취급하고 DOS 취급

  • 8

    출입문 양소등 현상?

    출입문등과 출입문 차측등이 모두 소등되어 있는 상태

  • 9

    전.후부 운전실 DILPN 차단후 복귀 불능시 현상과 조치

    현상: 출입문등과 계기등 소등 조치: 1) 전부 운전실 DILPN 복귀 불능시 동력운전 가능하므로 관제사 지시에 따라 주의운전 2) 후부 운전실 DILPN 복귀 불능시 및 DS 접점 불량 시는 동력운전 불능 이므로 관제사 승인을 받고 DIRS 투입하고 관제사가 지시하는역 까지 주의 운전 모니터로 출입문 닫힘상태 확인 하면서 운전

  • 10

    1개 출입문이 닫히지 않을때 조치

    1) 해당 출입문 전자밸브와 공기관 Cock 이물질 확인 2) 관제사에게 보고후 역무원등 안내원 승차와 DIRS 취급 승인을 받고, 승객 분산 조치 3) 출입문 수동잠금 및 고장 안내문 부착후 차량 교체역 까지 운전 4) 출입문 수동 잠금 불능시 회송 조치 ( 마지막 열차는 역무원 등 감시자 승차, 감시자는 다른 객차로 여객을 유도, 출입문 잠금 조치, 잠금 불능시 츨입문 폐쇄막 설치, 감시자 없을 경우 차장이 대행, 전철 차장 생략의 경우에는 인접역 감시자 승차 )

  • 11

    1개 출입문이 열리지 않을때 조치

    1) 해당 출입문 전자밸브 및 공기관 Cock 확인 2) 관재사에게 보고 및 승객 분산 조치 3) 출입문 수동 잠금 및 고장 안내문 부착후 차량교체 역까지 운전 ( 편성중 2개 이상의 출입문 고장시는 회송조치 )

  • 12

    전체 출입문이 닫히지 않을때 조치

    1) DOS 수회 취급 2) CrsN OFF후 ON 취급

  • 13

    출입문 DS 접점 종류

    1) DILP : 출입문 7.5mm 이하 닫혔을 때 접촉, DOOR등 점등, 동력 운전 회로(DIR 1,2) 구성 2) DLP : 출입문 12.5mm 이상 열렸을 때 접촉, 출입문 차측등 점등, 모니터 출입문 열림 표시 3) DRO : 출입문 12.5mm 이상 열렸을 때 접촉, 해당 출입문 재개폐 회로 구성 2. 출입문 제어 공기압력은 5kg/ait이고, 출입문 Cock는 개별 수동 Cock 8개, 전체 차단 Cock는 객실 내부 1개, 외부 2개, 총11개. 3. 현재 안전문 오(R)작동 발생으로 DROS 취급 회로 단선함

  • 14

    BVN1, BVN2 차단 또는 HCRN 차단시 조치

    EBCOS 취급하여도 비상제동 완해 불능이므로 관제사 지시로 추진 운전

  • 15

    ATC 차상장치 고장시 현상 및조치

    현상: ADU 에 STOP 현시되고 경고음이 울리고 비상제동 체결 되며, 제동핸들 1-7단 위치에서 경고음 정지 조치: 1) 관제사에게 보고, 지시를 받아 ATCCOS 차단하고 45키로 이하로 지령운전

  • 16

    ATC 장치 고장시 취급

    1) 즉시 정차하여 고장 내용을 역장 또는 관제사에게 보고하고 지시를 받음. (차상 장치 고장을 통보받은 관제사는 가장 가까운 정거장까지 지령 운전 지시) 2) 지시를 받을 수 없는 경우, 차상 장치 고장 시는 통신 가능 지점까지 확인 운전하고, 지상 장치 고장 시는 해당 구간을 확인 운전

  • 17

    ATC( ATCCOS ) 차단하는 경우와 운전 방법

    1) ATC 차상장치 고장시 2) ATCN, ATCPSN 차단후 복귀 불능시 3) 구원열차 운전시 4) 대용 폐색 방식 시행시 ** ATCCOS 취급은 반드시 관제사 승인을 받고 취급 운전 방법: 1) ADU에 15모드 현시되고 8초 동안 알람 경보 울림 2) 관제사가 지정한 역까지 45키로 이하 속도로 지령 운전

  • 18

    ATC 구간 지시속도 초과시 운전 취급

    1) 경고음이 울리고 ADU에 지령 속도가 깜박이며, 자동으로 ATC에 의한 상용 7단 제동이 체결 2) 제동 핸들을 1~7단 위치로 하여 확인 제동 취급하면 경고음이 멈추지만, 지령 속도 이하가 될 때까지 ADU 깜박임은 계속됨. 이때 동력 운전 중이면 동력 핸들을 OFF 위치 3) 실제 속도가 지시 속도 이하로 되면 제동 핸들을 완해 위치 ※ 확인 제동을 취급하지 않으면 ATC 상용 7step 제동이 체결된 상태로 정차

  • 19

    ADU 차내 신호기에 정지신호 현시될수 있는 경우와 조치

    1) 앞서가는 열차에 접근한 경우 또는 ATC 지상장치고장으로 레일에 신호 주파수가 없으면 ADU에 ’STOP‘ 현시 되고 ATC 속도 초과 제동 작용으로 자동으로 정차된 후 ADU에 ’15모드‘ 현시 2) 신호 현시를 기다리거나 관제사 승인후 15키로 이하로 확인 운전

  • 20

    VZ 고장시 현상

    1) ATC 정지신호에 의해 정차하면 ADU에 ‘15모드’ 현시 되지 않음 원인: BVN1, ATCN, ATCPSN 차단시 차축에 설치된 속도발전기 고장시 등 VZ: 정지 속도 계전기, 실제속도 5키로 이하시 여자

  • 21

    ATC 구간 대용 폐색 방식 시행 종류

    복선 운전을 할때 : 지령식, 통신식 단선 운전을 할때 : 지령식, 지도통신식

  • 22

    ATS 구간에서 폐색신호기 정지 신호일 경우의 운전

    1) 신호기 바깥쪽에 일단 정차후 정지신호 구간을 15키로 이하로 운전 2) 관제사 승인이 있으면 특수 운전 스위치 ASOS 취급 하고 45키로 이하로 운전 ( 최초열차는 25키로 이하로 운전 )

  • 23

    ATS 구간에서 15키로 스위치를 취급하는 경우

    1) 정지신호 R1 자동폐색신호기를 넘어서 운전하거나, 넘어서 정지한 경우 2) 폐색신호기가 소등된 구간을 운전할 경우

  • 24

    ATSCOS 차단 취급을 하는 경우

    1) 대용 폐색 방식 시행시 2) 구원운전 시 3) ATS 차상장치 고장시 4) ATS에 의한 비상제동 완해 불능시

  • 25

    교-교 절연구간에 Pan 정차시 현상및 조치

    1) 절연 구간에 근접하여 정차 현상 : MCB ON 점등, AC등 점등, SIV등 점등 조치 : 관제사 퇴행 운전 승인 후 차장 전호에 의해 25km/h 이하로 인출 지점까지 후진 후, 다시 동력 운전 취급하여 절연 구간 통과 2) 전부 Pan이 절연 구간에 정차 현상 : MCB 양 소등, AC등 점등, SIV등 점등 조치 : 관제사 퇴행 운전 승인 후 차장 전호에 의해 25km/h 이하로 인출 지점까지 퇴행 후, MCBOS-MCBCS 취급하여 MCB 투입 후 다시 동력 운전 취급하여 절연 구간 통과 3) 중간 Pan이 절연 구간에 정차 현상 : MCB 양 소등, AC등 점등, SIV등 점등 조치 : 후부 M'차 배전반 내 ADAN, ADDN, PanVN을 차단하여 후부 Pan을 내리고, 절연 구간 통과 후 최근 정거장 도착, 관계차단기 복귀 하고 MCBOS-MCBCS 취급하여 MCB 투입 후 운전 4) 후부 Pan이 절연 구간에 정차 현상 : MCB 양 소등, AC등 점등, SIV등 점등 조치 : 그대로 동력 운전 취급하여 인출, 절연 구간 통과 후 MCBOS-MCBCS 취급하여 MCB 투입 후 운전

  • 26

    교-직 절연 구간에 Pan 정차시 조치

    1) 전부 Pan이 절연 구간에 정차(또는 근접하여 정차) 현상 : MCB OFF등 점등, AC등 또는 DC등 점등, SIV등 소등 조치 : 관제사의 퇴행 운전 승인 후 ADS를 절환 전의 위치로 다시 절환하여 MCB 투입시키고 차장 전호에 의해 15km/h 이하로 인출 지점까지 퇴행 후, 다시 동력 운전 취급 하여 절연 구간 통과 2) 중간 Pan 및 후부 Pan이 절연 구간에 정차 현상 : MCB 양 소등, AC등 및 DC등 점등, SIV등 점등 조치 : 그대로 동력 운전 취급하여 절연 구간 통과 3) 후부 Pan이 절연 구간에 정차 현상 : MCB 양 소등, AC등 또는 DC등 점등, SIV등 점등 조치 : 그대로 동력 운전 취급하여 절연 구간 통과

  • 27

    과천선 VVVF 전동차 PanPS 압력?

    4.2 ~ 4.4 키로로 Pan 상승 작용

  • 28

    BCN과 VN 차단시 현상

    1) BCN : 편성 모두 차단시 축전지 충전 불능 2) VN : 103선 가압 되었으나 축전지 전압계 현시 불능

  • 29

    ATC 차상장치 구성요소

    1) Pick up Coil, 속도 발전기, ATC Rack, ADU Pick Up Coil : 궤도회로로 부터 지령 속도를 수신 속도 발전기 : 차축 회전수에 따라 발생되는 주파수로 실제 운행 속도를 검지 ATC Rack : ATC 함으로 지령 속도와 실제 속도를 비교하여 운전 상태를 감시 ADU : 차내 신호기로 실제 속도와 지령 속도를 현시

  • 30

    열차 화재로 정거장 외에 서 승객 대피시 조치

    1) 관제사에게 상황을 급보 2) 교량 또는 터널일때 그 바깥까지 운전, 지하구간일 경우 최근역 또는 지하구간 밖으로 운전 3) 열차 정차후 신속한 소화 조치 및 여객을 안전한 장소로 대피 유도 또는 화재 차량을 격리 조치

  • 31

    ATS 알람벨 계속 작동시

    ATSCOS 취급후 비상제동은 완해되나, ATS Alarm Bell이 계속 작동할 경우 - ATS함 내 ATSN2를 차단 ATS Alarm Bell 이 계속 울리고 비상제동이 작동할 경우 - ATS함 내 ATSN1 확인하여 복귀 취급

  • 32

    전차선 장애로 Pan 파손시 현상 및 조치

    현상 : 해당차량 MCB 차단으로 MCB 양소등, SIV등 점등, Power등 점등 불능 조치 : 1) 관제사에게 보고 및 관계직원 출동요청 하여 파손된 Pan 결박 조치 2) 해당 차량 완전부동 취급 후 연장급전

  • 33

    전동열차 편성중 5개 차량 제동 불능시 조치

    제동축 비울에 따라 70키로 이하로 운전

  • 34

    축전지 전압이 낮을경우 ACM 구동 방법

    1) M'차 1칸만 선택하여 ACM 을 구동 시키기 위하여 나머지 차량의 ACMN, ACMK을 차단하고 ACMCS 취급 2) 구동된 1개 차량의 Pan 상승, MCB 투입하여 SIV와 CM 구동시켜 충기된 MR 공기 압력으로 나머지 차량을 기동

  • 35

    ACM 구동 불능시 현상 및 조치

    전체 ACM 구동 불능시 운전실에서 ACMCS 취급할때 ACM 표시등 점등 되지않으며, 운전실 HCRN 차단여부 확인

  • 36

    대용 폐색 방식이란

    1) 폐색 신호기 고장 또는 기타 사유로 상용 폐색 방식을 사용할수 없을때 대용으로 사용하는 폐색 방식 2) 도시철도 운전규칙 에서는 복선 운전시 지령식 또는 통신식이 있고 단선 운전시에는 지도 통신식 3) 철도차량 운전규칙에서는 통신식,지도통신식, 지도식, 지령식

  • 37

    기관사 운전실 이석시 조치

    1) 역장 또는 관제사에 사유 보고 2) 주차제동 체결, 구름방지 조치 후 MC키를 휴대하고 운전실문 쇄정

  • 38

    (사고시) 열차방호의 종류와 방법?

    열차 방호의 종류로는 1) 열차무선 방호장치 방호 2) 무선전화기 방호 3) 정지수신호 방호 4) 열차표지 방호 5) 방호스위치 방호 6) 역구내 신호기 일괄제어 방호 방호 방법: 열차의 방호는 지장선로 앞,뒤 양쪽에 시행함을 원칙으로 한다. 다만, 열차가 진행하여 오지 않는 확실한 방향과 무선전화기 방호에 따라 관계 열차에 지장사실을 확실히 통보한 경우에는 정지수신호 방호 또는 열차표지 방호를 생략 할수있다.

  • 39

    임시신호기 설치위치

    서행예고 신호기 : 서행 신호기로부터 200M(지상 구간 400M) 이상 지점에 설치 서행 신호기 : 지장개소로부터 50M 이전에 설치 서행해제 신호기 : 50M + 전동차 편성길이 이상 지점에 설치

  • 40

    전부 운전실 ATCN 트립 발생시 현상

    1) 비상제동 체결 2) ADU 무현시 3) 동력운전 불능 4) 정차후 출입문 열림 불능 5) 정차중 DSD 누르지않고 제동 완해하면 운전자 경계장치 작동

  • 41

    BVN1,2 차단시 현상

    1) 비상제동 체결 2) 출입문 취급 불능 3) ATS, ATC 작동불능 4) 동력운전 불능

  • 42

    DOS 의 DCS 접점 불량시 조치

    1) DCS 접점 불량 방향의 출입문을 연 후 DCS를 취급하여 출입문이 닫히지 않으면 CrSN OFF후 ON 취급 2) 운행중 DCS 접점 불량 방향으로 승강장이 있는 경우 DOS 취급으로 출입문 개방 후, CrSN OFF후 ON 취급으로 전체 출입문 닫을것 3) 관제사 보고후 지시하는 역까지 운행하고 회송조치

  • 43

    제동축 비율에 따른 제한 속도?

    80% ~ 100% 미만 = 110키로 이하 60 ~ 80 미만 = 90 키로 이하 40 ~ 60 미만 = 70 키로 이하 40 미만은 25키로 이하

  • 44

    MCB란?

    교류 구간에서 특고압 회로에 이상 발생시 신속하게 차단하여 보호하고 평상시에는 특고압 회로 개폐 작용을 함 직류 구간에서는 특고압 회로의 개폐작용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