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정치란?
공동선택의 추구, 목적 달성을 위한 권력의 사용
2
이스턴의 정치란?
사회적 가치의 권위적 배분
3
이스턴의 정치는 무엇인가?
사회적 가치의 권위적 배분
4
정치의 특성 2가지
공동결정, 권력의 사용
5
정치의 특성은?
공동결정, 권력의 사용
6
권력과 권위의 차이는?
정당성 유무
7
정책 요건은 어떠한 조건을 갖추어야 하는가?
목표, 수단 O, 민주주의 국가 여부
8
국방정책은 누가 독점하는가?
정부
9
보건, 사회복지는 주로 어떠한 정책으로 이루어지는가?
재분배 정책
10
정치문화의 특징은?
공동이 수용하는 태도와 신념을 기반으로 정치적 행동 양상이 나타난다
11
civic culture를 쓴 저자는?
아몬드, 버바
12
정치문화의 구성요소는?
인지, 감정, 평가
13
정치문화의 유형은?
지방형, 신민형, 참여형
14
정치사회화는 어떠한 것인가?
정치적 가치와 사실적인 가정을 학습하는 과정이다
15
학교는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
시민의식 형성
16
소극적이고 최소한으로 참여하는 방법은?
선거를 통해 투표하는 것
17
정치사회화의 유형은?
동일시형, 축적형, 전이형, 인지적 성장형
18
정치사회화의 결과는?
권력자형, 권력추구형, 정치적 관심층, 정치적 무관심층
19
현대 국가의 3대 핵심요소는?
성문법, 상비군, 전문 행정체계
20
현대국가의 3대 핵심요소
성문법, 상비군, 전문 행정체계
21
국가의 구성요소 3가지
영토, 국민, 주권
22
국가이론 4가지는?
다원주의 국가론, 정통 마르크스주의 국가론, 국가중심적 국가론, 조합주의 국가론
23
600~700년 전 사람들은 정치유형이 어떠했는가?
지방형(향리형)
24
민족의 공통적 특징은?
공동의 문화, 공통 언어, 공동의 역사
25
정부는 어떠한 집단인가?
궁극적인 권위를 갖고 있는 인적 집단, 국가의 독특한 집단, 복종하는 의무를 갖는 결정을 내릴 수 있는 권한
26
넓은 의미의 정부란? (OOO + OOO + OOO)
행정부 + 입법부 + 사법부
27
좁은 의미의 정부는?
행정부 + 부속기관
28
정치권력의 특징은?
잔존성, 일반성, 통합성, 강제성
29
정치권력의 특징은?
잔존성, 일반성, 통합성, 강제성
30
대통령제 내각은 축출이 쉬운가?
X
31
정치체제의 두가지 유형은?
민주주의, 권위주의
32
민주주의는 어떠한 목표를 가지는가?
국민의 정부 구현
33
민주주의 체제와 연관된 것은?
개인의 자유
34
권위주의 체제의 의미는?
권력을 장악한 사람들이 권력을 행사하는 것
35
비민주적 정치체제 4가지는?
전근대적 정치체제, 권위주의적 정치체제, 군부 일당 독재체제, 개발 독재체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