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15 다양한 대상 및 현상에 대한 지각을 통해 자신의 느낌과 생각을 이해하고 표현하며 미적 경험에 반응하면서 미적 가치를 느끼고 내면화할 수 있는 능력
미적 감수성
2
15 변화하는 시각 문화 속에서 이미지와 정보, 시각 매체를 이해하고 비판적으로 해석하며 이를 활용한 미술 활동을 통해 소통할 수 있는 능력
시각적 소통 능력
3
15 자신의 느낌과 생각을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창의적으로 표현하고 미술 활동 과정에 타 분야의 지식, 기술, 경험 등을 연계, 융합하여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는 능력
창의융합 능력
4
15 우리 미술 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정체성을 확립하고, 유연하고 개방적인 태도로 세계 미술 문화의 다원적 가치를 이해하고 존중하며 공동체의 발전에 참여할 수 있는 능력
미술 문화 이해 능력
5
15 미술 활동에 자발적이고 주도적으로 참여하면서 자기를 계발 성찰하며 그 과정에서 타인의 생각과 느낌을 이해하고 존중 배려하며 협력할 수 있는 능력
자기 주도적 미술 학습 능력
6
15 표현 영역 평가 방법 중 특이적인 것
실기 평가
7
15 감상 영역 평가 방법 중 특이적인 것
감상문
8
15 미적 감수성 기를 수 있는 교수학습방법
반응 중심 학습법
9
15 창의 융합 능력을 기를 수 있는 교수 학습 방법
창의적 문제 해결법
10
15 미술 문화 이해 능력을 기를 수 있는 교수 학습 방법 x 3
귀납적 사고법, 반응 중심 학습법, 극화
11
15 교육과정에 제시된 평가 방법 명칭 x 7
서술형 및 논술형 검사법, 관찰법, 발표 및 토론법, 자기 평가 및 동료 평가 보고서법, 연구보고서법, 감상문, 포트폴리오법
12
22 총론에서 강조하는 범교과 학습주제×3
생태 전환 교육, 디지털 소양 교육, 민주 시민 교육
13
22 미술과 교과역량 ×5
심미적 감성 역량, 창의융합 역량, 시각적 소통 역량, 정체성 역량, 공동체 역량
14
22 영역 명칭 x3 (영역 빼고 적기)
미적 체험, 감상, 표현
15
22 역량 - 대상과 현상을 감각적으로 지각하고 반응하면서 ___________을 기른다 - 관련 역량
심미적 감성 역량
16
22 역량 - 미술 활동을 통해 자신의 느낌과 생각을 창의적으로 표현하며 경험과 사고를 유연하게 통합하고 확장한다. - 관련 역량
창의 융합 역량
17
22 역량 - 다양한 매체를 기반한 시각 문화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활용하여 _______________한다. - 관련 역량
시각적 소통 역량
18
22 역량 - 미술을 주도적으로 사고하고 행동하며 세계와의 관계에서 자신을 이해한다. - 관련 역량
정체성 역량
19
미술 문화의 다원적 가치를 존중하며 협력적으로 의사소통을 통해 _______의 문화 발전에 참여한다. - 관련 역량
공동체 역량
20
15 내용체계 체험영역 (핵심개념-내용요소) 적기
지각-자신과 대상, 소통-이미지와 의미, 연결-미술과 타 교과
21
22 내용체계 - 미적체험 - 지식이해 x3
자신의 감각, 대상의 특징, 생활 속 미술
22
22 내용체계 - 미적체험 - 과정 기능 x3
감각을 활용하여 탐색하기, 대상에 반응하여 느낌과 생각을 나타내기, 미술의 역할에 관한 관찰
23
22 내용체계 - 미적체험 - 가치 태도 x2
미적 탐색에 대한 호기심, 미술의 역할에 관한 관심
24
15 내용체계- 표현- 발상 내용요소x2
소재와 주제, 발상 방법
25
15 내용체계 - 표현 - 제작 내용요소 x3
조형 원리, 표현 방법, 제작 발표
26
22 내용체계 - 표현 - 지식 이해 x3
표현 주제, 기본적인 표현 재료와 용구, 조형 요소의 특징
27
22 내용체계 - 표현 - 과정기능 x4
관찰과 상상으로 아이디어를 떠올리기, 표현 방법을 익히기, 의도를 가지고 작품을 제작하기, 타 교과와 관련짓기
28
22 내용체계 - 표현 - 가치태도x2
표현에 대한 흥미, 자기 작품을 소중히 여기는 태도
29
15 내용체계 - 감상 - 이해 - 내용요소
작품과 배경
30
15 내용체계 - 감상 - 비평 내용요소 x2
감상 방법, 작품의 내용과 형식
31
22 내용체계 -감상- 지식이해x3
미술 작품과 미술가, 미술 작품의 특징, 미술 전시
32
22 내용체계 - 감상 - 과정 기능 x3
자세히 보고 질문하기, 미술 작품에 관한 느낌과 생각을 설명하기, 미술 전시 및 행사에 참여하기
33
22 내용체계 - 감상 - 가치 태도 x2
자신의 감상 관점 존중, 미술 문화에 관한 관심
34
22 - 미적 체험은 감각을 깨워 ________을 풍부하게 하며 ________를 발견하도록 한다. - 대상과 현상을 관찰하고 ____하는 경험은 앎을 확장하고 자신을 ____하게 한다. - 이미지에 대한 비판적 이해는 시각적 ___과 문화적 참여의 토대가 된다. (순서대로)
미적 감수성, 미적 가치, 지각, 성찰, 소통
35
22 - 표현은 자신의 느낌과 생각을 ____하는 창의적 사고와 ___의 순환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 다양한 ____은 아이디어와 주제를 발전시키고 ____의 토대가 된다. - 작품 ___은 표현 재료와 방법, 조형 요소와 원리 등을 선택하고 활용하여 ____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예술적 성취를 경험하게 한다. (순서대로)
시각화, 성찰, 발상, 표현, 제작, 창의적
36
22 - 감상은 다양한 삶과 문화가 반영된 미술과의 만남으로 자신과 공동체의 ____를 이해하게 한다. - 작품의 내용과 형식에 관한 맥락적 _________은 미적 판단 능력을 높인다. - 감상은 서로 다른 관점을 이해하여 삶에서 미술 문화의 _______를 존중하도록 한다. (순서대로)
문화, 이해와 비평, 다원적 가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