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공연이 끝난 후 관객의 박수에 응하고 무대에 다시 나와 인사 하는 것, 무대에 여러번 나와서 인사
커튼콜
2
영어권에서 연주를 마친 후, 연주자가 다시 무대에 올라 청중들의 갈채에 보답하는 것을 의미 함
앙코르
3
남성 혼자 연주할 때의 찬사000, 여성 혼자 연주할 때의 찬사000, 남자들 혹은 남자와 여성의 혼성일 경우의 찬사000, 여자들만 연주할 경우의 찬사000
브라보, 브라바, 브라비, 브라베
4
배음을 포함하지 않는 단진동의 음
순음
5
발음체의 규칙적으로 주기적인 진동으로 생기는 음,일정한 음고를 알 수 있음
고른음
6
진동이 불규칙하고 복잡하여 음고(음의 높낮이)를 알 수 없는 음
시끄러운 음
7
음악의 구성요소 7가지
리듬, 가락, 화성, 형식, 셈여림, 빠르기, 음색
8
일정한 박자나 규칙에 의하여 음의 장단, 강약 등이 반복될 때의 그 규칙적인 음의 흐름
리듬
9
음이 내려갔다가 올라가는 선율
가락
10
여러개의 음이 동시에 들리는 것
화성
11
음의 구조를 이루고 있는 방식
형식
12
소리의 크기와 작기를 조절(음량의 크기를 지시하는 용어)
셈여림
13
속도를 지시하는 용어
빠르기
14
사람마다, 악기마다 다른 음색을 가지고 있음
음색
15
음 높이의 상호 관계를 음악적, 수학적으로 규정하는 것
음률
16
두 음정의 진동비에 의해 음을 쌓아가는 방식,
순정률
17
한 옥타브를 12개의 평균 음정으로 분할, 이를 반음으로 규정하여 12음계를 구성
평균율
18
음악의 형태 세가지
작곡,연주,감상
19
인간의 사상과 감정을 일정한 질서에 의해 창작
작곡
20
작곡된 음들을 연주하는 재창조 행위
연주
21
연주되는 음악을 들으면서 음악적 의미와 느낌을 공감하고 평가하는 내면적 활동
감상
22
하이든의 작품번호는?
Hob
23
작품을 의미하는 라틴어
op
24
바흐의 작품번호
BWV
25
헨델의 작품번호
HWV
26
비발디의 작품번호
RV
27
모차르트의 작품번호
KV
28
슈베르트의 작품번호
D
29
리스트의 작품번호
S
30
고전 음악시대에서 대표적인 기악곡 형식으로, 주로 3부분으로 나누어져 있고 교향곡 1악장 으로 주요 쓰이는 형식은?
소나타 형식
31
주제가 3번 이상 반복되고 사이에 삽입구가 있는 형식은?
론도형식
32
주제를 리듬, 박자, 속도, 조성 등의 요소로 변화를 주면서 곡 구성
변주곡형식
33
연속적 주제 모방을 통하여 곡을 구성
캐논
34
캐논과 마찬가지로 모방의 원리를 채용, 바로크 시대(1600~1750)의 대표적인 작곡 양식
푸가
35
가요 형식의 하나로 악곡의 가장 작은 형태는?
한 도막 형식
36
악곡의 구성요소로 가장 작은 기본 단위는?
동기
37
음정이란?
음과 음 사이의 거리
38
화음이란?
음들이 세 개 이상 결합
39
다양한 음들을 어떤 음을 기준음으로 하여 일정한 형식에 따라 음높이 순서대로 배열한 것 을 말한다.
음계
40
음계의 종류
반음계, 온음음계, 온음계
41
온음계의 구분 2가지 1. 곡이 어두워지는 음계 2. 곡이 밝아지는 음계
단음계, 장음계
42
음자리표를 쓰세요
낮은음자리표, 가온음자리표, 높은음자리표
43
가장 오래된 음악 기보로서 중세시대에 만들어졌고 부호라는 뜻을 가진 것은?
네우마
44
악보의 종류 4가지
네우마, 4선악보, 정간보, 5선악보
45
다음중 현대악보를 고르시오
나선 은하 악보, 존 케이지 악보
46
성악 목소리의 분류(기본성부를 쓰시오)
소프라노, 알토, 테너, 베이스
47
성악음악의 유형
독창, 중창, 합창
48
한 사람이 부르는 노래
독창
49
여러 사람이 부르는 노래, 한 사람이 한 성부씩 노래
중창
50
많은 인원이 모여 노래, 여러 사람이 한 성부를 노래
합창
51
오페라의 탄생 시기
바로크 시대
52
가성을 사용해서 매우 높은 영역의 음을 내는 남자
카스트라토
53
독창이며 선율을 중심으로 부프는 오페라의 구성요소 중 한가지
아리아
54
독창이며 곡조가 존재하는 이야기하듯이 하는 오페라의 음악적 구성요소 중 하나
레치타티보
55
오페라의 형태 두 가지를 쓰세요.
오페라 세리아, 오페라 부파
56
종교음악의 종류를 쓰시오
오라토리오, 칸타타, 수난곡, 미사, 레퀴엠
57
16세기 말: 수도원이나 신학교에서 발생했다. 종교적인 음악극이며 독창과 중창, 합창과 관현악이 어우러진 대규모의 서사적 악곡
오라토리오
58
노래되는 곡이라는 뜻으로 종교있는 이것과 없는 이것으로 나뉨
칸타타
59
그리스도의 수난과 죽음에 관한 복음서에 평성가를 붙임 연극과 유사한 형식으로 노래하는 것이 관습화
수난곡
60
가톨릭의 의식에 사용되는 전례음악
미사
61
죽은 사람을 위한 미사
레퀴엠
62
현악 4중주의 악기 구성을 쓰세요
바이올린 2개, 비올라, 첼로
63
목관 5중주의 구성을 쓰시오
플루트, 클라리넷, 오보에, 바순, 호른
64
금관악기 5중주를 쓰시오
트럼펫 2개, 호른, 트럼본, 튜바
65
다음중 겹리드 인 것을 고르시오
오보에, 바순
66
다음중 홑리드인 것을 고르시오
클라리넷, 색소폰
67
고대 그리스의 서정시는 전체를 통해 일정한 선율을 반복 사용했는데 이때 반복 사용된 선율을 무엇이라고 할까?
노모스
68
음악이 가지는 윤리적 성질이나 교육상의 효과에 관한 개념
에토스 이론
69
귀도 다레초의 기보법 계명창을 쓰세요
Ut, Re, Mi, Fa, Sol, la
70
특정한 축제일을 위해 성경 속의 한 장면을 연극으로 만든 것
전례극
71
선과 칸의 배열 방식을 제시 F음을 위해서 붉은 선을, C음을 위해서 노란 선을 사용. 각각의 칸에는 하나의 음표를 위치하며 절대음의 개념은 없었던 기보법
귀도 다레초의 기보법
72
두 개 이상의 목소리가 다른 음높이를 적절한 조합으로 노래하는 것
오르가눔
73
13세기 후반에 들어서면서 새로운 음악장르의 등장하는데, 가사 없이 모음으로만 불렸던 클라우줄라의 상성부에 새로운 라틴어 가사를 붙임 주로 3성부로 이루어져 있다. 소수의 교육받은 계층만이 즐길 수 있는 장르
모테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