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송전선로에서 다음 중 옳은 것
정상임피던스는 역상 임피던스와 같다
2
선간 단락 고장을 대칭좌표법으로 해석할 경우 필요한 것 모두를 나열한 것
정상 임피던스 및 역상 임피던스
3
3상 단락사고가 발생한 경우 옳지 않은 것
I1=I2=0
4
송전선로의 저항을 R 리액턴스를 X라 하면 어느 식
R<X
5
송전선로에서 가장 많이 발생되는 사고는
지락사고
6
송전선로의 안정도를 증진시키는 방법이 아닌것은
선로의 회선수 감소
7
송전계통의 안정도를 증진시키는 방법은
중간 조상방식을 채용한다
8
Ix는 어떤 전류
역상전류
9
1선 지락시 영상 전류 I0 표현
3Io
10
교류 송전에서는 송전거리가 멀어질수록 동일전압에서의 송전전력이 적어진다 이유
선로의 유도성 리액턴스가 커지기 때문이다
11
송전선로의 정상상태 선로 리액턴스와 어떤 관계
송.수전단 사이의 리액턴스에 반비례한다
12
전력계통의 안정도 종류 아닌거
상태 안정도
13
전력계통의 안정도 향상 대책으로 옳은 것
재폐로 방식 채택
14
송전 계통의 안정도를 증진시키는 방법 아닌것
직렬리액턴스를 크게한다
15
전력계통의 안정도 향상 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
지락전류를 크게 하기 위하여 직접 접지방식을 채용
16
안정도 향상 대책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
발전기의 단락비를 작게한다
17
송전계통의 중성점 접지 목적 옳지 않은 것
차단기의 차단용량을 경감
18
송전선의 중성점을 접지 이유 아닌것
고장전류의 억제
19
송전선로의 중성점 접지 목적
이상전압의 방지
20
저전압 단거리 송전선에 적당한 접지 방식
비접지방식
21
배전로에 3상 3선식 비접지 방식을 채용할 경우 장점x
1선지락 고장시 건전상에 대지전위상승이 작다
22
중성점 직접접지 송전방식의 장점에 해당x
1선 지락고장시 인접통신선의 전자유도장해가 작다
23
이상전압 발생 우려 가장 작은
직접접지방식
24
송전계통에 있어서 지락보호계전기의 동작이 가장 확실
직접접지식
25
직접접지방식이 초고압 송전선에 채용되는 이유
계통의 절연을 낮게 할수
26
직접 접지방식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
보호계전기가 신속히 동작하므로 과도 안정도가 높다
27
중성점 접지방식에서 직접접지방식을 다른 접지방식과 비교하였을때 틀린
다중 접지사고의 확대 가능성 대단히 크다
28
송전선로에서 1선 지락시 건전상의 전압상승이 가장 작은 접지방식
직접접지방식
29
지락전류의 크기가 최소인 중성점 접지방식
소호리액터 접지방식
30
소호 리액터 접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
선택지락계전기의 동작이 용이하다
31
3상 1회선 송전선로의 소호 리액터 용량은?
3선 일괄의 대지 충전용량과 같다
32
단선고장일 때 선로의 전압상승이 최대이고 또한 통신장해가 최소
소호리액터 접지
33
단선 고장시 이상전압이 가장 큰 접지방식
소호리액터 접지식
34
소호리액터 접지 계통에서 리액터의 탭을 완전공진상태에서 약간 벗어나도록
직렬 공진에 의한 이상전압의 발생 방지
35
3상 4선식 고압 선로의 보호에 있어서 중성선 다중 접지방식 특성 옳은
통신선에 유도장해를 줄 우려 있다
36
중성점 저항접지방식의 병행 2회선 송전선로의 지락 사고 차단에 사용되는 계전기
선택접지계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