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RLC 직렬공진회로에서 최소가 되는것은?
임피던스
2
동기 전동기의 전기자 반작용은 리액터 부하에 의한 ( ㄱ )과 콘덴서 부하에 의한 ( ㄴ )이 있다 ㄱ,ㄴ에 알맞은 말은?
ㄱ 증자작용 ㄴ 감자작용
3
전압계,전류계 등의 소손 방지용으로 계기 내에서 장치하고 봉입하는 퓨즈는 어느 것인가
텅스텐 퓨즈
4
50Hz 의 변압기에 60Hz의 같은 전압을 가했을 때 자속밀도는 50Hz일때의 몇배인가?
⁵⁄₆
5
환상솔레노이드에 감겨진 코일의 감는 횟수를 2배로 늘리면 자체 인덕턴스는 몇배로 되는가?
4
6
직류발전기에서 급전선 전압강하 보상용으로 사용되는 것은?
과복권 발전기
7
고압 가공 인입선이 횡단 보도교 위에 시설되는 경우 노면상 몇 m 이상의 높이에 설치되어야 하는가?
3.5
8
3상 동기전동기의 토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공급 전압의 크기에 비례한다
9
동전선 종단 접속 방법이 아닌 것은?
C형 전선 접속기에 의한 접속
10
수변전 설비의 고압 회로에 걸리는 전압을 표시하기 위해 전압계를 시설할 때 고압 회로와 전압계 사이에 시설하는 것은?
계기용 변압기
11
광도가 I[cd]일 때 구광원(구조도)의 광속은?
F=4πI[lm]
12
비사인파의 일반적인 구성이 아닌것
삼각파
13
도체가 운동하여 자속을 끊었을 때 기전력의 방향을 알아내는 데 편리한 법칙은?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
14
고압 가공전선이 도로를 횡단하는경우 전선의 지표상 최소 높이는 몇m인가?
6
15
전기력선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것은?
전기력선은 부전하에서 시작하여 정전하에서 그친다
16
전압변동률이 작고 자여자이므로 다른 전원이 필요없으며, 계자 저항기를 사용한 전압조정이 가능하여 전기 화학용, 전지의 충전용 발전기로 가장 적합한 것은?
직류 분권 발전기
17
동기 발전기의 병렬 운전 조건이 아닌 것은
발전기의 회전수가 같을 것
18
쿨롱의 법칙에서 2개의 점전하 사이에 작용하는 정전력의 크기는?
두 전하의 곱에 비례하고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 한다
19
영구자석의 재료로서 적당한 것은?
잔류지기와 보자력이 모두 큰 것
20
저압 옥내용 배선 공사 방법 중 점검 가능한 은폐 장소이며 건조한 장소인 곳에 시설할 수 없는 방법은?
플로어 덕트 공사
21
ON,OFF를 고속도로 변환할 수 있는 스위치이고 직류 변압기 등에 사용되는 회로는 무엇인가?
초퍼 회로
22
전력용 콘덴서를 회로로부터 개방하였을 때 전하가 잔류함으로써 일어나는 위험의 방지와 재투입 할 때 콘덴서에 걸리는 과전압의 방지를 위하여 무엇을 설치하는가?
방전 코일
23
교통 신호등 회로의 사용 전압이 몇 [V]를 초과하는 경우에 지락 발생 시 자동적으로 전로를 차단하는 누전차단기를 반드시 시설하여야 하는가
150
24
자기 인덕턴스 L1,L2와 상호인덕턴스 M일 때, 일반적인 자기 결합 상태에서 결합계수 k는?
0<k<1
25
비사인파 교류 회로의 전력 성분과 거리가 먼 것은?
맥류 성분과 사인파의 곱
26
동기기 손실 중 무부하손이 아닌 것은?
전기자 동손
27
누설 자속이 발생되기 쉬운 경우는 어느 것인가?
철심이 자기 포화되어 있는 경우
28
다음 중 지중 전선로의 매설 방법이 아닌 것은?
행거식
29
저압 전로의 중성점에 시설하는 접지도체의 연동선 단면적은 몇 [mm²] 이상이어야 하는가?
6
30
변압기의 정격 출력으로 맞는 것은?
정격 2차 전압 × 정격 2차 전류
31
동기 발전기를 회전 계자형으로 하는 이유가 아닌 것은?
전기자가 고정되어 있지 않아 제작 비용이 저렴하다
32
5[kW] 이하의 3상 농형 유도 전동기에 정격던압을 직접 인가하는 방법으로 가속 토크가 커서 기동시간이 짧은 특성을 갖는 기동 방법은?
전전압 기동
33
단상 변압기의 병렬운전 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각 변압기의 저항과 리액턴스의 비가 ˣ⁄ᵣ 일것
34
계자 권선이 전기자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직류기는?
타여자기
35
금속관 공사를 노출로 시공할 때 직각으로 구부러지는 곳에는 어떤 배선 기구를 사용하는가?
유니버셜 엘보
36
연피케이블을 직접 매설식에 의하여 차량 기타 중량물의 압력을 받을 우려가 있는 장소에 시설하는 경우 매설 깊이는 몇 [m] 이상이어야 하는가?
1.0
37
평형 3상 회로에서 1상의 소비전력이 P[W] 라면 3상 회로 전체 소비전력[W]은?
3P
38
배전선로 공사에서 충전되어 있는 활선을 움직이거나 작업권 밖으로 밀어낼 때, 또는 활선을 다른 장소로 옮길 때 사용하는 활선 공구는?
와이어 통
39
간선에서 분기하여 분기 과전류 차단기를 거쳐서 부하에 이르는 사이의 배선을 무엇이라 하는가?
분기 회로
40
사용전압이 35[kV]이하인 특고압 가공 전선과 220[V] 가공 전선을 병행 설치할 때, 가공 선로 간의 이격 거리는 몇 [m] 이상이어야 하는가?
1.2
41
평행한 두 도선 간의 전자력은?
거리 r에 반비례한다
42
피뢰기가 구비해야 할 조건 중 잘못 설명된 것은?
방전 내량이 작으면서 제한 전압이 높을것
43
피뢰시스템에 접지도체가 접속된 경우 접지도체의 굵기는 구리선의 경우 최소 [mm²] 이상이어야 하는가?
16
44
교류 회로에서 양방향 점호(ON) 및 소호(OFF) 를 이용하여 위상 제어를 할 수 있는 소자는?
TRIAC
45
전류계의 측정 범위를 확대시키기 위하여 전류계와 병렬로 접속하는 것은?
분류기
46
접지 시스템의 구성요소가 아닌것은?
소호도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