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영구 주형은 가스 배출이 원활하여 내부의 정밀도가 높다
X
2
22. 주물의 결함 중 수축공이 생기는 원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
수축공은 흑연과 같은 주형의 도포제에서 발생하는 가스에 의해 발생한다.
3
12. 목형재료의 종류 중 박달나무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질이 단단하고 질겨서 작고 복잡한 형상의 목형 제작에 사용된다.
4
영구주형은 주물의 결정립이 미세화되며, 표면이 깨끗하고 치수의 정밀도가 우수하다.
O
5
쇳물의 온도가 낮을수록 단위시간당 쇳물의 주입량을 많게 한다.
O
6
34. 주물사의 종류, 용도와 성분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롬사(loam sand)는 주로 회전 모형에 의한 주형제작에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내화도는 건조사보다 높지만 경도는 생형사보다 낮으며 통기도 향상을 위해 톱밥, 볏집, 쌀겨 등을 첨가한다.
7
4. 목형 제작 시 고려 사항으로 옳지 못한 것은?
목형의 무게
8
38. 주물 표면 불량의 한 종류로 주형 강도가 부족하거나 쇳물과 주형의 충돌로 발생하는 것은?
버클
9
영구주형은 소형주물의 대량 생산에 적합하며 생산속도가 빠르다.
O
10
소모성 주형은 용융점이 낮은 금속을 주조할 때 사용하며, 마무리 공정이 필요하지 않다.
X
11
3. 주조법에서 쇳물의 주입속도 V를 4배 증가시키려고 한다. 이 때, 탕구계의 높이를 어떻게 설계해야 하는가? [단, 중력가속도와 유량계수 C는 변하지 않는 고정된 값이다.]
16배 높게 설계한다.
12
7. 주물가공 시 주물의 체적을 4배로 늘리고 표면적을 0.5배로 줄인 경우, 응고시간은 몇배가 되는가?
64배가 된다.
13
16. 주물 제품의 결함 중 기공의 발생 원인으로 가장 옳지 못한 것은?
쇳물의 응고로 인한 수축
14
27. 다음 중 품질 좋은 주물을 얻기 위해 주형에 주입하는 표준 온도가 가장 낮은 금속은?
경합금
15
28. 노화된 주물사를 재생하는 처리장치가 아닌 것은?
그릿 블라스트
16
수축공은 흑연과 같은 주형의 도포제에서 발생하는 가스에 의해 발생한다.
X
17
철강의 경우에는 흑연 주형을 사용한다.
O
18
41. 다음 중 ICFTA에서 지정한 7가지 주물 표면 결함의 종류로 옳지 못한 것은?
금속 돌출
19
49. 탕구계에서 주형의 상형에 설치하여 가스빼기 및 슬래그나 모래 알갱이 등 혼합물을 밖으로 내보내는 역할을 하며, 주입할 때 용탕이 주형에 다 채워졌는지 확인할 수 있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flow off
20
주물의 변형과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서 주물의 두께 차이를 작게 한다.
O
21
수축여유 주철 A mm/1m, 주강, 알루미늄 B mm/1m 황동, 청동 C mm/1m
8, 20, 15
22
14. 목재의 수분 함유량은 A~B%이고 C%이하로 건조시켜 사용한다.
30, 40, 10
23
탕구계는 쇳물받이 -> 탕구 -> 탕도 -> 주입구로 구성되어 있다.
O
24
주물의 변형과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서 주형의 통기성을 좋게 하여 주형에서 가스의 발생을 방지한다.
X
25
응고수축률이 높은 순서대로 고르시오.
Al, 탄소강, 회주철
26
51. 주물 결함 중 기공 방지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못한 것은?
덧쇳물을 붙여서 쇳물의 부족을 보충한다.
27
46. 주형상자를 이용한 주형제작법 중 회전 임펠러에 의해 주형상자에 고르게 투사시켜 주형을 제작하는 방법은?
슬링거법
28
복잡한 형상의 코어를 제작하는데 사용하는 주조법은? ( )주조법
이산화탄소
29
주형의 팽창이 크거나 주형의 일부 과열로 발생하는 주물의 표면 풀량은?
스캡
30
28. 주물사 중 생형사에 사용되는 점토 함유량의 일반적인 범위는?
5~13%
31
47. 다음 중 용탕에 압력을 가하는 주조법으로 옳지 못한 것은?
슬러시주조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