暗記メーカー
ログイン
경영과SW 3주차까지 완료
  • 이승일

  • 問題数 81 • 4/16/2024

    記憶度

    完璧

    12

    覚えた

    29

    うろ覚え

    0

    苦手

    0

    未解答

    0

    アカウント登録して、解答結果を保存しよう

    問題一覧

  • 1

    모든 사물이 인터넷을 통해 서로 연결하는 기술이란?

    사물 인터넷(IOT)

  • 2

    인간의 지능을 갖고 있는 컴퓨터 시스템, 인간의 지능을 기계 등에 인공적으로 시연한 것.

    인공지능

  • 3

    데이터를 통해 학습시키거나, 기계 스스로 학습하도록 하는 것

    머신러닝

  • 4

    인공신경망 이론을 기반으로 인간의 능력과 유사한 입/출력 계층 및 복수의 은닉 계층을 아용한 학습방식은?

    딥러닝

  • 5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에서 가치를 추출하는 일, 데이터의 수집, 발굴, 분석, 가시화를 지원하도록 고안된 기술 및 프로세스란?

    빅데이터

  • 6

    단어를 추출하여 빈도가 높은 단어를 크게 시각화 하는 기법

    워드 클라우드

  • 7

    개인이 다양한 콘텐츠를 직접 생산하고 공유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플랫폼

    1인 미디어

  • 8

    유튜브의 화면 비율은?

    16:9

  • 9

    인스타그램의 화면 비율은?

    1:1

  • 10

    틱톡의 화면 비율은?

    9:16

  • 11

    OTT에 포함 되는 것은?

    넷플릭스

  • 12

    어떤 네트워크망을 쓰든 상관 없다. 이 콘텐츠 송신의 이름은?

    OTT

  • 13

    인터넷을 통해 TV 방송을 원하는 시간에 시청할 수 있는 시스템, 자신의 네트워크망을 통해 영상을 스트리밍

    IPTV

  • 14

    VOD란?

    주문형 비디오

  • 15

    SVOD란?

    구독형VOD/넷플릭스

  • 16

    AVOD란?

    광고기반VOD/유튜브

  • 17

    TVOD란?

    건당결제VOD/카카오 페이지

  • 18

    해상도는 숫자가 커질수록 화질이 낮아진다.

    X

  • 19

    화면에 표현된 섬세함의 정도를 뭐라고 하는가?

    해상도

  • 20

    이미지를 구성하는 가장 작은 단위

    화소

  • 21

    화소수가 몇 개인지를 나타내는 말

    해상도

  • 22

    인치 당 화소의 수 화소의 밀도를 의미

    PPI

  • 23

    초당 보여주는 이미지의 수?

    FPS

  • 24

    눈을 통해 들어온 상이 짧은 시간 동안 뇌에 남아있는 현상

    잔상 효과

  • 25

    게임의 FPS?

    60

  • 26

    편집의 기본 단위, 영상의 필요한 부분을 자르는 것을 의미

    CUT

  • 27

    컷과 컷 사이의 조각

    CLIP

  • 28

    카메라의 레코딩 버튼을 눌렀다가 다시 눌러 정지할 동안 찍힌 영상

    SHOT

  • 29

    동일 장소에서 전개되는 단일 상황 등

    SCENE

  • 30

    여러 개의 SCENE이 모인 이야기의 단락, 클립들의 모임

    SEQUENCE

  • 31

    화면이 점차 밝아짐

    FADE IN

  • 32

    화면이 점차 어두워짐

    FADE OUT

  • 33

    앞 화면에 뒤의 화면이 포개어지는 기법

    OVERLAB

  • 34

    화면의 한 점을 중심으로 원형으로 확대하며 화면을 나타내는 것

    IRIS IN

  • 35

    화면의 한 점을 중심으로 원형으로 축소하며 화면을 나타내는 것

    IRIS OUT

  • 36

    기발한 느낌을 주기 위해 화면을 갑자기 지우는 동시에 연이어 다음 화면을 끌어들이는 방법

    WIPE OUT

  • 37

    두 화면이 포개어지는 것, 이중노출 (심리묘사, 회상 등)

    DOUBLE EXPOSURE

  • 38

    원래 뜻은 '합승차', 각자 독립되어 있는 에피소드를 한데 묶은 영화

    OMNIBUS

  • 39

    FIX

  • 40

    PAN UP/DOWN PAN LEFT/ RIGHT

  • 41

    TRACK UP/DOWN

  • 42

    BACK/FRONT FOLLOW

  • 43

    TRUCKING

  • 44

    ZOOM IN/OUT

  • 45

    BOOM UP/DOWN

  • 46

    ARC SHOT

  • 47

    창작뮬을 만든이가 자기 저작물에 대해 가지는 배타적인 법적 권리

    저작권

  • 48

    단어 자체는 엄지 손톱을 의미 콘텐츠를 표현하는 작은 크기의 견본 이미지를 의미함

    썸네일

  • 49

    모바일 맞춤용 뉴스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를 이미지와 간략한 텍스트로 정리한 콘텐츠

    카드뉴스

  • 50

    이야기(STORY)와 말하기(TELLING)의 합성어 이야기로 청중의 생각과 행동을 변화 시키기 위한 전략적 소통 기법

    스토리텔링

  • 51

    인간은 이야기하는 동물로, 본능적으로 스토리를 추구한다고 말한 사람

    호모 픽투스

  • 52

    단면 배경화의 법칙 화면의 가로, 세로를 3등분하고, 교차 지점을 중심으로 대상의 위치를 선정하여 촬영하는 기법. 배경과 대상을 정적인 구조로 구성할 때 적합 최근 카메라에는 화면에 격자를 동시에 생성하는 기능을 제공

    삼등분 법칙

  • 53

    얼굴과 어깨 까지를 촬영하는 방법 긴장감을 주고나, 얼굴에서 느낄수 있는 분위기를 표현할때 사용

    CS(ClOSE SHOT)

  • 54

    얼굴이 프레임울 채우도록 촬영하는 방법 긴장감이나 감정이입을 표현할 수 있으며, 표정의 움직임을 보여줄 때 사용

    CUS(CLOSE-UP SHOT)

  • 55

    눈이나 입을 강조해서 보여주기 위해 근접 촬영하는 것 강한 느낌을 주고 싶을 때 사용

    ECUS(EXTREME CLOSE-UP SHOT)

  • 56

    두 인물 사이에 가상의 선을 설정하고 인물의 시선•방향 등을 일관성 있게 유지하여 보는 사람이 인물이 위치한 공간의 방향성을 혼돈하지 않도록 하는 것 대상의 움직임이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카메라 이동을 180도로 한정한다

    180° 법칙

  • 57

    각본 또는 극본이라고 한다. 영화•방송 등을 만들고자 사전에 작성하는 글

    시나리오

  • 58

    영상물을 제작하기 위해 작성하는 문서의 일종.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필요한 모든 사항을 매 장면 마다 기록한 문서

    스토리보드

  • 59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창조되는 모든 이야기 행위 예전의 이야기 기술을 새로운 미디어로 가져와 현재의 생활양식에 맞게 가치 있는 이야기로 표현하는 것

    디지털 스토리텔링

  • 60

    극적이지 X 카메라의 높이가 눈높이에서 촬영되기 때문에, 관찰자가 실제로 무언가를 볼 때와 비슷한 느낌 사실주의 감독들이 선호하는 앵글

    아이 레벨 (eye level)

  • 61

    새의 눈과 같이 아주 높은 곳에서 본 것 같은 각도 우리가 이러한 시야로 보는 경우가 거의 없기 때문에, 모든 앵글 둥에슈 가장 낯설어 보임. 소설로 치면 전지적 작가 시점과 상통

    버즈 아이 뷰 (bird's-eye view)

  • 62

    피사체보다 카메라가 높이 있다는 뜻 사물의 높이를 감소 시키고 동작의 속도를 늦춤 속도감은 잘 나타나지 않는 반면 지루함을 나타내는데 효과적 회면 내 세트나 배경의 중요성은 증가시키지만, 촬영되는 피사체나 인물들의 중요성은 감소시킴. 이 앵글에 찍힌 피사체는 왜소해 보이고 사소하게 느껴짐

    부감 (high angle)

  • 63

    부감과 반대효과를 보임. 심리적으로 피사체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동작의 속도감을 증가시킴. 피사체의 높이를 증대시키므로 관객들은 대상에 공포감, 경외심, 존경심을 느낄 수 있다.

    양각 (low angle)

  • 64

    카메라를 옆으로 비스듬히 기울여 찍는 것 심리적으로 긴장,변이,임박한 변동을 암시함. 술 취한 사람의 불균형 따위를 암시하기 위해 쓰이기도 함. 관객 입장에서 이러한 앵글을 보면 어리둥절해질 수 있어 자주 사용되지는 않지만, 폭력 장면에서 시각적 불안감을 포착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

    경사 (oblique angle)

  • 65

    아주 멀리서 넓은 경관을 보여주는 샷 자연의 경관을 보여주고나 새로운 곳을 방문할 때 사용

    ELS ( extreme long shot)

  • 66

    인물의 특정 사물에 집중하지 않고, 주변 배경까지 포함하여 보여주는 샷 사건의 상황 암시나 화면의 분위기를 전달하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

    LS (long shot)

  • 67

    인물에 초점을 두고, 머리부터 발끝까지 화면에 꽉 채워서 몸 전체를 보여주는 샷. 인물의 전체적인 모습을 살펴볼 수 있으며, 주로 상황설정을 하기 위해 사용.

    FS (full shot)

  • 68

    무릎 윗부분을 촬영하는 방법으로, 개인의 동적인 움직임이나 두세 명을 찍을 때 적합. 행사장이나 야외 방송 등 내레이터와 함께 배경을 촬영할 때 사용

    NS (knee shot)

  • 69

    허리 윗 부분을 촬영하는 방법으로, 안정적으로 인물을 표현할 때 적합. 사회자나 가수의 노래하는 장면을 촬영할 때 사용

    WS (waist shot)

  • 70

    인물의 가슴 위치를 화면 하단에 배치하여, 인물을 강조할 때 적합. 인터뷰나 인물 홍보에 주로 사용

    BS (bust shot)

  • 71

    두 사람의 대화를 보여줄 때 사용 감정 전달을 표현할 때 사용

    OSS (over shoulder shot)

  • 72

    프레임 속 사람의 숫자에 따라 명칭을 붙임

    1•2•3S (one•two•three shot)

  • 73

    네 사람 이상을 한 화면에 촬영하는 것

    GS (group shot)

  • 74

    광원이 카메라와 거의 동일한 방향에서 피사체를 향해 가해지는 것. 카메라와 피사체를 잇는 선을 생각할 때 인물을 원점으로 하여, 좌우(수평각)로 각각 45도의 범위 내에서 비추는 빛을 말함

    순광

  • 75

    순광 장단점

    정답

  • 76

    광원이 피사체의 뒤에서 가해지는 것 광원의 방향을 조금씩 이동하여 카메라의 렌즈와 일직선으로 일치시키면 된다.

    역광

  • 77

    역광 장단점

    정답

  • 78

    광원이 카메라 옆에 입사하는 것을 말하며 사광이라고도 함. 카메라와 피사체를 잇는 선에 90도를 이루는 방향에서 비추는 조명으로, 일반적으로 좌우 어느 한 쪽에서만 비춘다.

    측광

  • 79

    측광 장단점

    정답

  • 80

    인물의 시선과 시선에 닿은 대상을 연결하여 인물이 위치한 공간의 연속성을 설정하는 것. 인물이 바라보는 시선과 방향이 일치하는 컷을 연결하여 구성

    시선의 일치

  • 81

    인물이 어떤 행위를 할 때 중간을 잘라 다음 컷을 이어 붙이는 방법 보는 사람은 인물의 행동에 집중하기 때문에, 컷이 넘어가는 것을 거의 느끼지 못함

    행동의 일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