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A는 회색질의 얇은 층이며 대뇌, 뇌고랑 및 뇌틈새는 한정된 대뇌의 용적에 비해 겉질의 표면적을 넓혀 준다
대뇌겉질
2
A는 겉질 밑에 있는 말이집섬유로 구성되는 백색질이다
대뇌속질
3
대뇌속질은 A와 B C로 분류한다
맞교차섬유 투사섬유 연합섬유
4
뇌의 오른쪽반구와 왼쪽반구인 양 반구를 연결해 주는 신경섬유는
맞교차섬유
5
뇌들보는 가장 큰 A에 해당되며 A를 통해 양쪽 대뇌반구의 신경섬유들이 일차적 시각겉질과 손과 발 부위를 제외한 모든 B의 서로 동일한 부위끼리 연결된다
맞교차 몸감각겉질
6
관자엽과 이마엽 사이를 연결하는 것을 A라고 한다
앞맞교차
7
맞교차섬유의 다른이름은?
교련섬유
8
대뇌겉질과 하부에 있는 뇌간(뇌줄기)과 척수사이를 신경섬유는?
투사섬유
9
투사섬유는 대뇌겉질을 향해 부채꼴로 퍼져있어서 이를 부채꼴로 퍼져있어서 A라고 한다
대뇌부챗살
10
투사섬유는 대뇌겉질로 올라가는 A와 대뇌겉질에서 말초로 가는 B로 이루어진다
오른감각섬유 내림운동섬유
11
대뇌속질 쪽에서 서로 모여 단단한 띠를 이루고 있어 A라고 한다
속섬유막
12
뇌파는 A의 연결을 통해 하부조지겡서 올라온 신호가 그물체에서 시상을 거쳐 머리 덮개에 부착된 전극 통해 기록되는 것이다
투사섬유
13
같은 쪽 대뇌반구의 겉질 사이를 연결하는 신경섬유는?
연합섬유
14
연합섬유는 이랑과 이랑 사이를 연결하는 A와 좀 더 깊은 부위에서 먼 거리의 겉질 사이를 연결하는 B가 있다
짧은 연합섬유 긴 연합섬유
15
A는 신경계통의 최고 기능 중추이며 의식도 이곳에서 이루어진다
대뇌겉질
16
특정한 겉질에서 이루어지므로 이와 같은 것을을 A라고 하고 부위에 따라 일정한 기능을 영위하는 것을 겉질의 B라고 한다
기능의 중추 기능국소화
17
A는 대뇌겉질을 B개 영역 대뇌속질을 C개 영역으로 나누어 번호로 표시했다
브로드만 47 5
18
브로드만 4번은?
일차운동영역
19
대형 피라미드 세포에서 시작하는 피라미드 운동계통의 시작부위로 맘대로 운동이 시작되는 부위는?
일차운동영역
20
브로드만 4번은?
일차운동영역
21
A는 중심고랑의 앞쪽인 중심앞이랑에 위치하고 A의 활성화는 겉질위운동신경세포에서 시작된다
일차운동영역
22
A는 손과 얼굴근육의 섬세한 운동의 조절에 사용된다
일차운동영역
23
장애 발생 시 세심한 운동조절 문제 강직성 구음장애등이 나타나는 것은?
일차운동영역
24
브로드만 6번인 것은?
앞운동영역
25
운동계획영역에서 A는 중심앞이랑 앞에 있고 이 영역에서 오는 신경섬유와 줄무늬체, 적색핵 및 흑색질에서 오는 섬유들이 피라미드 B를 이룬다
앞운동영역 피라미드바깥길운동계
26
운동계획영역에서 A는 골격근육의 반사적 또는 자연상태에서 거의 무의식적인 운동과 긴장에 관여하는 운동이 시작된다
앞운동영역
27
장애 발생시 실행증이 나타나는 것은?
앞운동영역
28
앞운동영역 앞에 있고 인간의 지능이 자리잡은곳으로 생각되며 판단, 통찰, 예견, 적당한 행동 선택 등과 관련있는 것은?
앞이마영역
29
장애발생 시 관련 기능과 분산사고의 능력을 상실하게 하는 것은?
앞이마영역
30
브로드만 9,10,11 번인것은?
앞이마영역
31
브로드만 1,2,3 번인것은?
일차몸감각영역
32
A는 중심고랑 안쪽과 중심뒤이랑에 위치하며 촉각과 고유감각수용기로부터 몸감각 및 고유감각 정보를 받는다
일차몸감각영역
33
A는 사이뇌 시상을 통해 들어오는 피부의 일반감감인 온 냉 촉 압각 등과 근육의 심부감각을 받는 곳이다
일차몸감각영역
34
장애 발생 시 촉각 국소화 기능과 의식적 고유감각이 상실될 수 있는 것은?
일차몸감각영역
35
브로드만 41,42 인 것은?
일차청각영역
36
A는 가쪽틈새의 안쪽과 인접한 관저엽의 위안쪽부인 위관자이랑에 있고 양쪽 귀의 달팽이핵으로부터 정보 받고 음의 높낮이 및 음조 등을 구별할 수 있다
일차청각영역
37
장애 발생 시 소리 국소화 기능이 상실 될 수 있는 것은?
일차청각영역
38
일차감각영역이 아닌 것은?
앞이마영역
39
브로드만 17번인 것은?
일차시각영역
40
뒤통수엽 꼭대기와 새발톱고랑안쪽과 인접한 이랑에 있다 망막에서 일어난 시각적 정보에 대한 흥분이 A에 전달된다 ?
일차시각영역
41
물체의 색 크기 모양 움직임 등을 인지하고 장애 발생 시 같은 쪽에 반맹증이 나타날수 있는 것은?
일차시각영역
42
브로드만 43번인것은?
일차미각영역
43
마루엽 중심뒤이랑 바닥에 위치하고 음식물 등 맛이 성질과 특정 등을 인식할 수 있다 장애 발생 시 맛 구별능력이 상실 될 수 있는 것은?
일차미각영역
44
브로드만 28,34 번인것은?
후각영역
45
후각 및 시각 경로 및 관자엽 정수리 및 이마엽 다른 구조와 연결되어 있고 해마가 들어오거나 나가는 정보를 전달하는 중계역할을 하는 것은?
후각영역
46
관자엽의 안쪽면에 위치한 뇌의 한 영역으로서 해마겉이랑과 연결되어 있는 것은?
후각영역
47
장애 발생 시 기억상실증후군, 알츠하이머, 인지불능증(실인증), 냄새구별능력이 상실 될 수 있는 것은?
후각영역
48
연합감각영역이 아닌 것은?
둘레연합영역
49
브로드만 5,7번 인 것은?
몸감각연합영역
50
모양 크기 구성 등 연관시켜 어떤 물체인가 확인하는 능력 즉 일차몸감각영역에서 느낀 감각의 종류를 종합 분석하여 판단하는 장소가 되는 것은?
몸감각연합영역
51
장애발생 시 입체인식불능증 입체감 소실 등 나타나는 것은?
몸감각연합영역
52
브로드만 22번인것은?
청각연합영역
53
관자엽 뒤쪽에서 마루엽 일부에 있고 일차청각영역통해 전달된 소리에 대해 기억정보로부터 현재의 소리 비교하여 소리가 언어인지 음악인지 판별하는 것은?
청각연합영역
54
베르니케 중추라고 불리는 것은?
청각연합영역
55
브로드만 18,19 번인것은?
시각연합영역
56
시야의 중앙에 물체의 형상을 고정할 수 있는 시각고정이 주역할인 것은?
시각연합영역
57
과거의 경험을 바탕으로 보는 것을 기억하는 데 편리하게 하고 언어(읽기) 시각의 연합적 기능을 원할 하게 하는 것은?
시각연합영역
58
시각인식불능증 나타나는 것은?
시각연합영역
59
연합영역이 아닌것은?
몸감각연합영역
60
주로 성격 감각의 통합과 해석, 기억, 감정의 생성 등과 같은 기능을 담당하는 것은?
연합영역
61
브로드만 7,19,21,22,37,39,40번인 것은?
마루관자연합영역
62
뒤쪽마루겉질과 관자겉질에 위치. 지능과 관계된 기능을 하는 것은?
마루관자연합영역
63
발생된 문제점을 분석하고 해결하며 의사소통 및 공간 관계에 대한 다양한 이해를 수행하고 장애 발생 시 주의 집중력이 떨어질 수 있는 것은?
마루관자연합영역
64
브로드만 11, 23, 24, 28, 38 인것은?
둘레연합영역
65
앞쪽 관자엽과 배안쪽 이마엽 겉질에 존재하며 기분을 조절하고 감정 및 여러가지 형태의 기억을 저장하는 데 연관이 있는 것은?
둘레연합영역
66
장애 발생시 성격과 감정등이 장애가 생길 수 있는 것은?
둘레연합영역
67
언어영역 두가지는?
운동성 언어영역 감각성 언어영역
68
브로드만 44,45 인것은?
운동성 언어영역
69
중심앞이랑 아래 앞쪽에 있고 발성이 시작되며 우월 대뇌반구에 있다.왼손잡이는 오른쪽 대뇌 반구에 있다 이것은?
운동성 언어영역
70
장애 발생 시 언어는 이해하지만 발음을 할 수 없는 운동성 언어상실증이 일어나는 것은?
운동성 언어영역
71
베르니케 중추라고도 하며 관자엽 뒤쪽에서 마루엽 일부에 있는 것은?
감각성 언어영역
72
이해할 수 없는 감각성 언어상실증 (베르니케 실어증) 유발하는 것은?
감각성 언어영역
73
베르니케 중추 두가지는?
청각연합영역 감각성 언어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