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다음 중 투자안의 현금흐름 추정과 관련하여 옳지 않은 것은?
이미 지출된 회수불능원가도 현금유출에 포함시킨다.
2
다음 중 가치가산성의 원칙을 충족시키는 투자가치 평가방법은?
순현재가치
3
다음 중 실물옵션의 성격이 가장 강한 것은?
아직 채용하지 않은 특허권
4
현금흐름의 불확실성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법은?
민감도분석
5
어떤 투자안의 최초투자액은 1,000만원이고 1년 후의 확실한 순현금흐름은 1,150만원이다. 이 투자안의 최초투자액은 무위험이자율인 연리 8%의 은행차입금에 의해 조달될 것이다. 이 투자안의 NPV는?
648,148원
6
어떤 절전설비의 구입가격이 1,200만원이고, 이를 설치하면 앞으로 3년간 매년 500만원의 절전효과가 예상된다. 이 설비는 3년간 정액법(잔존가치 0)에 의해 감가상각되며, 법인세율은 25%이다. 자본비용이 10%라면 이 투자안의 NPV는 얼마인가?
-187,453원
7
어떤 회사의 기업가치 중 1/2이 연리 8%를 부담하는 부채로 이루어져 있고 법인세 비율은 25%이다. 이 회사의 총자본비용이 12%라면 자기자본비용은 몇 %인가?
18%
8
어떤 투자안의 경영위험만을 반영한 베타계수가 1이다. 법인세율이 25%이고 기업가치의 2/3가 부채로 이루어져 있는 어떤 회사가 이 투자안을 채택할 경우, 이 투자안의 자본비용은 어느 정도인가? 부채의 이자율과 무위험수익률은 6%이고 시장포트폴리오의 기대수익률은 15%이다.
12.5%
9
다음 중 내부수익률(IRR)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최초투자액)x(1+IRR)은 순현금흐름의 현재가치와 같다.
10
법인세를 고려한 MM(63)의 자본구조이론이 타당하다고 하자. 어떤 회사의 영속적 연간 기대영업이익이 2,000만원으로 예상되고, 전혀 부채를 사용하지 않을 때의 기업가치는 1억원이다. 이회사는 연리 8%의 조건으로 6,000만원의 부채를 조달하여 주식을 매입, 소각하는 방식으로 자본구조를 변경하려 한다. 법인세율은 30%이다. (1) 자본구조 변경후의 총 자본비용은? (2) 자본구조 변경후의 자기자본비용은?
(1) 11.86%, (2) 18.34%
11
다음 중 부채에 의한 자본조달을 선호하도록 하는 요인이 아닌 것은?
재무적 곤경의 가능성
12
자본조달순위이론의 입장에서 볼 때 투자자금 조달을 위해 주주들이 가장 선호하는 자본조달 원천은?
내부유보
13
다음 중 자본구조 무관련이론이 제시된 것은?
MM(58)
14
다음 중 자사주매입의 동기로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재무위험의 감소
15
다음 중 밀러-모디글리아니(61)의 배당이론에 대해 틀리게 설명한 것은?
모든 기업은 동일한 배당성향을 갖게 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16
주주들이 고배당정책을 선호하는 이유에 해당하는 것은?
경영자의 낭비적 소비를 방지하고자
17
다음 중 기업이 안정배당정책을 택하는 이유라고 할 수 없는 것은?
기업의 경영위험을 줄이기 위하여
18
다음 중 기업이 운전자본을 보유하는 이유라고 할 수 없는 것은?
분산투자에 의한 위험 감소
19
최적현금잔고결정을 위한 Miller-Orr 모형에 관한 설명으로서 올바른 것은?
현금흐름의 변동성이 클수록 목표현금잔고는 높게 설정된다.
20
어떤 회사가 현재 5,000만원의 매출채권잔고를 보유하고 있다. 이 회사의 1일 평균 매출액은 200만원이며, 이 중 현금판매가 약 1/2 정도이다. 이 회사의 매출채권 평균수금기간은 얼마인가?
25일
21
다음 중 기업의 단기채무지급능력을 나타내는 재무비율은?
당좌비율
22
기업자산 전체의 수익성을 나타내는데 흔히 사용되는 재무비율은?
경영자산영업이익률
23
어떤 회사가 연간 1억원을 매출할 때 총비용은 8,000만원이 발생하며, 이 중 3,000만원이 고정비이다. 이 회사의 손익분기점에서의 매출액은 얼마인가?
6,000만원
24
다음 중 현금예산의 효용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은?
투자안의 채택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25
다음 중 기존 대주주가 지배권을 안정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은?
자산취득, 신주공모
26
주주총회를 통해 기업지배권을 장악하기 위한 수단으로 흔히 사용되는 수단은?
위임장 투쟁
27
기업지배권을 장악하기 위해 부채로 조달된 자금으로 주식을 매집하는 것은?
LBO
28
다음 중 M&A의 동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배당지급효과
29
주식시장에서 주식매수 의사를 대상기업 주주들에게 직접 제의하는 것은?
공개매수
30
다음 중 재무적 곤경을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법정의 결정을 거치지 않고 이루어지는 것은?
워크아웃
31
다음 중 효율적 포트폴리오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동일한 위험을 갖는 포트폴리오들 중 최대의 기대수익률을 갖는 포트폴리오이다.
32
분산투자에 의해 위험이 감소하는 이유는?
자산들의 상관계수가 1보다 작기 때문에
33
다음 중 체계적 위험에 관해 틀리게 설명한 것음?
기업의 영업이익의 변동성 때문에 발생하는 위험이다.
34
시장포트폴리오의 위험프리미엄은 8%이고 무위험수익률은 6%이다. CAPM이 타당하다면, 12%의 기대수익률을 갖는 주식의 베타계수는 얼마인가?
0.75
35
CAPM에 관한 설명으로서 틀린 것은?
어떤 자산의 기대수익률은 분산과 선형적 관계를 갖는다.
36
다음 중 위험관리수단으로서 헤징의 특징에 해당하는 것은?
위험노출의 가능성과 이득실현의 가능성을 모두 포기하게 된다.
37
다음 중 현물보유자가 미래의 현물가격 변동의 위험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투자전략은?
선물의 매도
38
다음 중 기업의 총자본비용을 틀리게 설명한 것은?
부채비율이 커지면 총자본비용은 상승한다.
39
어떤 회사가 60억원의 부채와 40억원의 자기자본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회사의 부채에 대한 이자율은 7%이고 법인세율은 30%이다. 1) 시장포트폴리오의 기대수익률은 13%이고 무위험이자율은 6%이다. 이 회사의 주식의 베타계수가 0.8이라면 이 회사의 자기자본 비용은? 2) 이 회사의 부채의 자본비용은? 3) 이 회사의 총자본비용은?
1) 12.6% (11.6?), 2) 4.9%, 3) 7.98%
40
새로운 투자안의 채택여부를 결정할 때 기존자산의 가중평균비용을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문제점은?
기대수익률에 비해 경영위험이 큰 자산이 채택되는 경향이 있다.
41
어떤 회사의 주식의 베타계수는 1.3이다. 이 회사의 부채비율(B/S)은 150%이고, 법인세율은 30%이다. 만일 R. Hamada의 공식이 타당하다면, 이 회사의 경영위험만을 반영하는 베타계수는 얼마인가?
0.6341
42
다음 중 MM(58)의 자본구조이론의 시사점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기업의 총자본비용은 자본구조와 무관하다.
43
MM(1963)의 자본구조이론이 타당하다 하자. 자본구조가 자기자본만으로 이루어져 있 는 회사의 기업가치가 100억원이고 자기자본비용은 20%이다. 이 회사가 50억원의 부채를 조달하여 그 대금으로 자사주를 매입하여 소각하기로 하였다. 법인세율은 30%이다. 이와 같이 자본구조를 변경할 경우; 1) 새로운 기업가치는? 2) 새로운 총자본비용은?
1) 115억원, 2) 17.39%
44
자산구조 등 다른 조건이 일정할 때, 부채비율의 증가에 의해 기업가치를 감소시킬 것으로 예상되는 요인은?
주주들의 고위험 투자의 유인
45
S. Ross는 기업전망을 알려주는 신호로서 부채수준을 이용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때 신호균형이 성립하기 위한 조건에 해당하는 것은?
경영자의 보수가 주식가치의 크기에 의존하여 결정된다.
46
유리한 투자기회를 갖고 있는 기업의 행동에 관한 자본조달 순위이론(pecking order theory)의 설명으로서 올바른 것은?
가능한 한 많은 내부유보를 통하여 투자자금을 조달하려 한다.
47
MM(1958)의 자본구조이론이 타당하다하자. 부채비율이 100%인 어떤 회사의 총자본 비용은 20%이고 부채이자율은 10%이다. 이 회사가 부채비율을 200%로 변경할 경우(이자율은 일정) 총자본비용은?
20%
48
다음 중 투자안 채택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것이 특히 중요시되는 투자는?
상호배타적 투자
49
어떤 투자안의 최초투자액은 12억원(3년간에 걸쳐 정액법으로 감가상각)이다. 이 투 자안을 채택할 경우 1차년도부터 3차년도까지 매년 12억원의 매출액이 얻어지고 7억원의 현금지출 운영비용이 지출될 것으로 예상되며, 법인세율은 30%이다. 최초투자액 중 6억원은 연리 6%의 부채로 조달된다. 이 투자안의 자본비용이 10%일 때, 이 투자안의 NPV는?
-3,118만원
50
투자가치 평가방법으로서 IRR보다 NPV가 열등하다는 이유가 아닌 것은?
IRR은 투자위험을 고려하지 않는다.
51
제약조건 하에서 복수 투자안의 조합을 결정하는 투자결정 문제는?
자본할당
52
다음 중 투자가치 평가방법으로서 회수기간의 장점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은?
화폐의 시간가치를 고려한다.
53
다음 중 재무적 곤경을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법원의 결정이 불필요한 것은?
워크아웃
54
다음 중 차입에 의해 기업인수 자금을 조달하는 경우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LBO
55
적대적 기업인수의 방어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아닌 것은?
winner's curs
56
MM(1961)의 배당이론의 시사점에 해당하는 것은?
기업의 배당정책은 주주의 부와 무관하다.
57
다음 중 배당정책에 관하여 틀리게 설명한 것은?
유리한 투자기회의 가치가 주가에 반영되어 있지 않은 회사는 고배당 정책을 택한다.
58
자사주매입의 이유가 아닌 것은?
여유현금흐름의 처분
59
다음 중 투자 우선순위의 결정이 특히 중요시되는 것은?
상호배타적 투자
60
일반적으로 투자안의 가치평가 기준으로 가장 합리적이라고 인정되고 있는 것은?
순현재가치
61
투자안의 현금흐름에 관해 틀리게 설명한 것은?
투자안의 순현금흐름은 독립적 투자로서의 기대 순현금흐름을 의미한다
62
투자가치 평가기준으로서 IRR의 특성을 틀리게 설명한 것은?
IRR은 자기자본가치의 증가율을 나타낸다.
63
현재 1억2천만원의 최초투자액(설비투자)을 필요로 하는 투자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 투자안이 채택될 경우 앞으로 3년간 매년 1억2천만원의 매출액과 6천만원의 현금지출 운영비용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최초투자액은 3년에 걸쳐 정액법(잔존가치는 0)으로 감가상각된다. 법인세율은 30%이고 적절한 할인율은 10%이다. 이 투자자안의 순현재가치는?
1,429만원
64
상가를 구입하여 리모델링한 다음 직영 또는 처분하는 투자안이 있다 하자. 이 투자안에 내재되어 있는 특성을 가장 적절하게 나타낸 것은?
풋옵션
65
‘lease or buy’의 의사결정에서 현재가치를 구할 때 사용하는 적절한 할인율은?
법인세지급후 이자율
66
자본비용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금융시장에서 동일한 위험을 갖는 자산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기대수익률이다.
67
총자본비용을 틀리게 설명한 것은?
재무위험과 채무불이행위험만을 반영하는 자본비용이다.
68
부채비율이 150%인 어떤 회사의 주식의 베타계수가 1.7이다. 법인세율이 25%라면, 자산의 베타계수는?
0.8
69
어떤 회사가 연리 8%, 2년만기의 조건으로 조달된 10억원의 은행차입금에 대한 부채의 자본비용은? 법인세율은 30%이다.
5.6%
70
다음 중 상장회사의 자기자본비용을 계산할 때 가장 합리적인 방법은?
CAPM을 사용한다.
71
다음 중 우선주 자본비용에 관해 바르게 설명한 것은?
우선주배당을 우선주 주가로 나누어 계산한다.
72
다음 중 운전자본을 필요로 하는 직접적 이유가 아닌 것은?
부채비율 상승에 따른 ROE의 증가
73
밀러․오어 모형에 관해 바르게 설명한 것은?
현금 유입과 유출이 불확실할 경우, 목표현금잔고를 결정하는 모형이다.
74
어떤 회사의 1일 평균매출액이 100만원이고, 이 중 60%가 외상매출이다. 이 회사의 매출채권 잔고가 6,000만원이라면 이 회사의 매출채권 평균수금기간은?
60일
75
어떤 회사의 부채총액은 100억원이고 평균이자율은 8%이다. 이 회사의 당기말 순이익은 21억원이고 법인세율은 25%이다. 이 회사의 이자보상률은?
4배
76
법인세를 고려한 MM(1963)의 자본구조이론이 타당하다 하자. 어떤 회사의 기업가치가 100억원이고 부채가치가 40억원이다. 만일 이 회사가 신주를 발행하여 조달된 자금으로 모든 부채를 상환한다면, 이 회사의 기업가치는 얼마가 되겠는가?(법인세율은 30%)
88억
77
MM(1958)의 자본구조이론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기업의 총자본비용은 부채의존도와 무관련하다.
78
다음 중 부채비율이 높은 회사의 합리적 주주들이 취할 수 있는 행동은?
(+)의 NPV를 갖는 저위험 투자안을 기각.
79
Ross(1977)의 신호이론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그릇된 신호에 대해 충분한 페널티가 존재해야 신호균형이 달성될 수 있다.
80
다음 중 자본조달 순위이론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유리한 투자안을 갖고 있는 회사는 가능한 한 내부유보를 많이 한다.
81
다음 중 일반적인 기업의 행동으로서 합리적인 것은?
내구소비재 제조회사는 낮은 부채비율을 유지한다.
82
다음 중 경영자의 대리인문제를 줄이기 위한 재무정책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기업규모 확대
83
자본조달 순위이론이 타당할 경우, (+)의 NPV를 갖는 회사의 경영자가 취할 수 있는 배당정책은?
저배당정책.
84
다음의 자료가 주어져 있다. A회사 B회사 자기자본가치 800만원 400만원 주식수 400주 200주 주가 2만원 2만원 B회사 주식 1주에 대해 A회사 주식 1.125주를 교환해 주는 방법으로 A회사가 B회사를 흡수합병하고자 한다. 300만원의 영업시너지가 예상될 때, A회사 주주의 입장에서 본 합병의 NPV는 얼마인가?
160만원
85
다음 중 재무적 곤경의 처리방법으로서 채권자들이 재건형 절차를 선호하도록 만드는 요인은?
기업고유자산의 비중이 크다
86
존속회사 주주의 입장에서 볼 때 주식교환보다 현금지급 방식을 더 선호하도록 하는 요인은?
합병후 추가이득
87
다음 중 재무관리 이론이 주는 교훈이 아닌 것은?
대리인문제는 주주의 부를 증가시킨다, M&A는 언제나 주주의 부를 증가시킨다
88
다음 중 자본예산결정의 대상이라고 할 수없는 것은?
신용판매 기준 설정
89
자본예산절차와 관련하여 바른 설명은?
투자안의 채택여부는 경제성평가와 질적평가를 종합하여 결정된다.
90
대부분의 사회간접자본은 경제성장을 위한 < >에 해당한다. < >에 알맞은 말은?
전제투자
91
다음 중 통상적인 투자안의 현금흐름 계산에서 현금유출로 간주되는 것은?
법인세 증가액
92
어떤 회사가 에너지절약시설을 도입하고자 검토하고 있다. 이 시설을 도입하면 향 후 5년간 매년 5,000만원의 에너지가 절약될 것이다. 이 시설의 최초투자액은 2억원이며 5년에 걸쳐 정액법에 의해 감가상각될 것이다(잔존가치 없음). 법인세율은 30%이다. 이 투자안의 1년도부터 5년도까지 매년의 순현금흐름은?
4,700만원
93
다음 중 가치가산성의 원칙을 만족시켜주는 투자가치 평가방법은?
순현재가치
94
다음 중 화폐의 시간가치를 무시하는 투자가치 평가방법은?
회수기간
95
현재 4,500만원을 투자하여 1년도 말과 2년도 말에 각각 2,500만원의 현금흐름이 얻어지는 투자안의 내부수익률에 가장 가까운 값은?
7%
96
어떤 회사가 6억원의 부채와 4억원의 자기자본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회사의 총자 본비용은 12%, 부채의 평균이자율은 10%, 법인세율은 25%이라면, 이 회사의 자기자본비용은 얼마인가?
18.75%
97
어떤 회사의 부채가 연리 5%의 단기차입금 40억원과 연리 7%의 회사채 60억원으로 dl루어져 있다. 이 회사의 법인세율이 25%라면 부채의 자본비용은?
4.65%
98
부채비율이 150%인 어떤 회사의 주식의 베타계수가 1.275이다(법인세율은 25%). 만일 이 회사가 전혀 부채를 사용하지 않으면, 주식의 베타계수는 어느 정도이겠는가?
0.6
99
다음 중 주주들이 부채보다 신주발행에 의한 자본조달을 선호하도록 하는 요인은?
부채와 주식 투자소득에 대한 개인소득세율의 차이
100
다음 중 자본구조 무관련 이론을 주장한 논문은?
MM(19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