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탕구계의 순서로 옳은 것은?
탕류-탕구-탕도-주입구
2
보통 중추는 압상력의 약( )배 큰 것을 사용한다
3
3
주물중량이 4배로 커졌을때 주입시간은?
2배
4
열간단조가 아닌것은?
코이닝
5
모래와 열경화수지를 사용한 주조법은?
셸 주조
6
수축으로 인해 쇳물 부족을 보충하기 위한 장치는?
피더
7
주조의 결함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주입온도가 너무 낮으면 기공이 발생한다
8
프레스 가공이 아닌 것은?
호빙
9
비교측정법이 아닌 것은?
삼침법
10
용접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비파괴 검사가 용이하다
11
불활성가스 아크용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MIG용접은 양손을 이용해야한다
12
공구가 강한 절삭저항에 의해 떨어져 나가는 현상은?
치핑
13
구성인선의 발생순서는?
발생 성장 분열 탈락
14
전기저항 용접중 겹치기 용접이 아닌 것은?
업셋용접
15
절삭유의 구비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표면장력이 커야한다
16
구성인선의 방지법으로 옳은 것은?
전단각을 크게한다
17
3차원 CAD 가공중 분말을 소결시켜 형상을 만드는 가공법은?
SLS
18
스프링백을 크게하기 위한 조건이 아닌 것은?
판재의 두께를 두껍게한다
19
120°로 3개의 조가 동시에 움직여 센터를 맞추기에 용이한 척은?
연동척
20
선반의 구성요소가 아닌것은?
로케이터
21
급속이송머신이 아닌것은?
브로칭머신
22
상향절삭과 하향절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상향절삭은 공작물을 안정적으로 고정한다
23
연삭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숫돌은 입도가 클수록 입자가 작다
24
압하율을 크게하기위한 조건이 아닌것은?
반경이 작은 롤러를 사용한다
25
단조가공 중 축방향으로 눌러 단면적을 크게하는 가공은?
업세팅
26
산화철과 알루미늄 분말의 반응열을 통해 접합하는 용접법은?
테르밋 용접
27
피복제의 역할로 옳지 않은 것은?
용착금속의 침탄 및 정련
28
볼트의 머리부분의 접촉면적을 고르게 하기위해 하는 작업은?
스폿페이싱
29
다음 중 절삭면이 가장 매끈한 것은?
래핑
30
테일러의 공구수명식으로 옳은 것은?
V×T^n = C
31
숫돌의 연삭면을 숫돌과 축에 대하여 평행 또는 일정한 형태로 성형시키는 방법은?
트루잉
32
브로칭 가공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진행할수록 공구의 크기가 작아진다
33
전극과 공작물 사이에 전압을 주면서 아크방전에 의한 열작용을 통해 발생하는 열로 용융하는 가공법은?
방전가공
34
암나사 가공의 순서로 옳은 것은?
드릴링 - 보링 - 리밍 - 태핑
35
다음 중 나사의 효율이 가장 작은 것은?
미터나사
36
한쪽은 경사, 한쪽은 직각으로 되어있어 힘을 한쪽방향으로만 전달할 때 사용되는 나사는?
톱니나사
37
나사의 자립조건으로 옳은 것은?
효율이 1/2보다 작아야함
38
별도의 공구없이 손으로 탈착 가능한 볼트는?
나비볼트
39
너트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게 아닌것은?
너트 두개를 서로 같은 방향으로 죈다
40
축에 키홈을 가공하지 않는 키는?
새들키
41
평행키는 ( )만큼의 테이퍼를 준다
1/100
42
전달력의 크기 순서로 옳은 것은?
성크키>반달키>평키>안장키
43
리벳머리의 주위, 강판의 가장자리를 정으로 때려 밀착시켜 틈을 없애는 작업은?
코킹
44
리벳이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영구적인 이음이다
45
축선의 위치가 어긋나거나 축간거리가 가까울 때 사용하는 커플링은?
올덤 커플링
46
베어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구름베어링은 저속회전에 적합하다
47
베어링 번호가 6303일때 안지름은?
17 mm
48
볼베어링의 레이디얼하중 3000, 스러스트하중 3000, 동정격하중 12000일때, 수명은? (X=0.5 , Y=0.5 V=1)
64×10^6 rev
49
마찰차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무단변속에 용이하다
50
무단변속마찰차가 아닌것은?
홈마찰차
51
기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좁은장소에도 설치가 가능하다
52
치형곡선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사이클로이드 곡선은 효율이 낮다
53
언더컷의 원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
잇수비가 작을 때
54
물림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물림률이 작을수록 진동과 소음이 적다
55
평행하지도, 교차하지도 않는 기어는?
나사 기어
56
백래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백래시가 너무 작으면 소음과 진동의 원인이된다
57
V벨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지름이 작은 풀리에는 사용할 수 없다
58
체인전동장치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스프로킷 휠의 잇수는 홀수로 한다
59
유효장력이 500N, 장력비가 3일때, 이완측의 장력은?
250
60
고속으로 벨트 전동 시 벨트가 파도치는 현상은?
플래핑
61
기어의 압력각을 증가시키면?
물림률이 감소한다
62
기계적 특수가공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전해가공
63
나사 종류와 기호표시가 바르지 않은 것은?
유니파이 보통 나사 UNF
64
전위기어의 특징이 아닌것은?
베어링 압력을 감소시킨다
65
비절삭 가공이 아닌것은?
호닝
66
절삭가공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대량생산에 적합하다
67
롤러베어링에서 롤러 사이의 간격을 고르게 유지시키는 부품은?
리테이너
68
전기에너지를 기계적 진동 에너지로 변환시켜 가공하는 가공법은?
초음파가공
69
지그의 구성요소로 옳지 않은 것은?
플랜지
70
자동하중 브레이크가 아닌 것은?
디스크 브레이크
71
간접전동장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코터
72
인베스트먼트 주조에 대한 특징이 아닌 것은?
규사와 합성수지를 배합한 레진모래를 사용한다
73
모양공차가 아닌것은?
직각도
74
전자빔용접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열영향부가 작다
75
오일리스 베어링의 특징이 아닌 것은?
다공질 구조에 오일이 함침된다
76
여러 절삭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호닝은 공작물의 직선 및 공구의 왕복운동으로 가공이 진행된다
77
이미 생성된 구멍을 선반가공으로 확대할 때 적합한 것은?
보링
78
축과 구멍의 끼워맞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억지 끼워맞춤에서 최대 죔새는 축의 최소치수 - 구멍의 최대치수이다
79
강철구 압입자를 시편 표면에 압입시킨 후, 압입 자국의 표면적에 대한 압입하중의 비로 경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브리넬
80
선반에서 공작물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로 옳지 않은 것은?
터릿
81
축대칭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서 회전하는 맨드릴 또는 형 위에서 소재를 롤러 공구로 변형시켜 점진적으로 성형하는 가공법?
스피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