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스포츠와 의사종교 4가지
의식, 금기, 주물, 마법
2
매체(미디어)의 역할
경제적 이익 창출, 공공서비스 제공, 이데올로기 전파
3
머튼과 라이트의 스포츠 미디어의 네가지 기능
정보제공 기능, 사회조정 기능, 사회화 기능, 오락 기능
4
대중매체 이론 (개인차 이론) 4가지 욕구
인지적 욕구, 정의적 욕구, 통합적 욕구, 도피적 욕구
5
대중매체 이론 (사회범주 이론) De Fleur
연령, 성, 사회계층, 교육수준, 결혼여부에 따른 스포츠 소비의 변화
6
대중매체 이론 (사회관계 이론) De Fleur
중요타자의 가치와 행동에 의한 영향으로 개인의 대중매체 소비 변화
7
대중매체 이론 (문화규범 이론) De Fleur 대중매체가 개인의 규범, 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세 가지 방법
기존의 규범과 유형이 강화된다, 새로운 사상이나 규범이 창조된다, 기존의 규범이 바뀔 수 있고, 새로운 행동유형이 대두된다
8
맥루한의 대중매체 이론 핫매체/쿨매체
핫: 높은 정의성과 낮은 감각 참여와 낮은 감각 몰입성, 쿨: 낮은 정의성과 높은 감각 참여와 높은 감각 몰입성
9
스포츠와 대중매체의 관계 (스포츠가 대중매체에 미치는 영향)
미디어 콘텐츠 제공, 미디어 보급 확대, 미디어 테크놀로지 발전
10
스포츠와 대중매체의 관계 (대중매체가 스포츠에 미치는 영향)
스포츠의 상품화, 경기 규칙의 변경, 경기 일정의 조정, 새로운 스포츠 종목 창출
11
스포츠와 대중매체의 관계 (스포츠와 대중매체의 상호작용)
황금시간대 인기 경기 편성, 경기 횟수와 리그전 조정, 주말 결승 경기 편성, 경기 규칙의 제정
12
매체(미디어) 스포츠의 이데올로기 전파 7가지
영웅 이데올로기, 성공 이데올로기, 성차별 이데올로기, 개인주의 이데올로기, 국가주의 이데올로기, 소비주의 이데올로기, 자본주의 이데올로기
13
매체 스포츠의 효과
배양 효과, 뉴스프레임 효과, 의제설정 효과, 문화규범 효과, 제한/선별 효과
14
스포츠 사회화 의미
사회집단의 구성원으로서 참여하고 자신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과정 (Sage.세이지)
15
스포츠 사회화 이론 (사회학습이론) -역할학습(Leonard) 접근방법 3가지
코칭, 강화, 관찰학습
16
스포츠 사회화 이론 사회화 과정의 3요소(Kenyon &McPherson)
개인적 특성, 중요타자, 사회화 상황
17
스포츠 사회화 이론 (역할이론)
주어진 역할을 수행하면서 사회화
18
스포츠 사회화 이론 (준거집단 이론) 캠퍼(Kemper)의 준거집단 유형
규범집단, 비교집단, 청중집단
19
스포츠로의 사회화 스포츠 개입의 요소: 스나이더 & 스프라이처
사회적 결속, 내적 만족, 부정적 불안감의 회피, 스포츠의 정체감, 외적 만족
20
스포츠로의 사회화 영향 요인=사회화 과정 3요소(케년 & 맥퍼슨) (개인적 특성)
성별, 연령, 출생 서열, 사회•경제적 지위
21
스포츠로의 사회화 영향 요인=사회화 과정 3요소(케년 & 맥퍼슨) (중요타자)
가족, 친구, 학교, 지역사회, 대중매체
22
스포츠로의 사회화 영향 요인=사회화 과정 3요소(케년 & 맥퍼슨) (사회적 상황)
스포츠 시설, 용품 및 기구, 프로그램 등의 접근성과 편리성, 사회의 정치•경제•문화 제도와 역사•종교•국민성 등 지역의 특성과 전통
23
스포츠를 통한 사회화 케년의 스포츠 참가 형태
행동적 참가, 인지적 참가, 정의적 참가
24
레너드(Leonard)의 스포츠참가 형태
일차적 직접참가: 선수, 일차적 간접참가: 감독, 이차적 직접참가: 기업가, 이차적 간접참가: 관중,매스컴
25
참가의 정도
참가 빈도, 참가 기간, 참가 강도
26
케년과 슐츠의 참가 유형
일상적 참가, 주기적 참가, 일탈적 참가, 참가 중단
27
참가 수준
조직적 참여, 비조직적 참여
28
써튼과 나르디의 스포츠 역할 사회화 (특정 역할로 사회화되기 위한 4단계)
예상 단계, 공식적 단계, 비공식적 단계, 개인적 단계
29
마쓰다(송전)의 스포츠를 통한 태도 형성 기제
역할 행동, 동조 행동, 방어기제의 약화, 모방, 입장의 변화, 조건 부합
30
스나이더의 스포츠를 통한 사회화와 전이의 일반적 특성
참여의 정도, 참가의 자발성 여부, 사회화 관계의 본질성, 사회화 주관자의 위신과 위력, 참가의 개인적 사회적 특성
31
스포츠에서의 탈사회화 Crawford & Godley의 탈사회화의 원인
대인적 제약, 내재적 제약, 구조적 제약
32
스포츠에서의 탈사회화 (운동선수의 은퇴)
자발적 은퇴, 비자발적 은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