暗記メーカー

お問い合わせ
ログイン
농생 생물 환경
  • xt ne

  • 問題数 64 • 6/19/2024

    記憶度

    完璧

    9

    覚えた

    24

    うろ覚え

    0

    苦手

    0

    未解答

    0

    アカウント登録して、解答結果を保存しよう

    問題一覧

  • 1

    재생력이 강한 잡초

    방동사니류, 메꽃, 가래, 쇠뜨기

  • 2

    재생력이 약한 잡초

    깨풀, 사마귀풀, 애기땅빈대

  • 3

    식물의 종류에 따라서 어떤 식물이 내는 화학물질은 다른 식물의 성장을 방해하거나 또는 촉진하는데 이러한 현상을 무엇이라하는가

    타감 작용 or 대립 작용

  • 4

    여름 작물의 밭의 잡초는?

    명아주, 쇠비름, 바랭이, 강아지풀, 돌피, 방동사니, 개비름

  • 5

    겨울 작물 밭의 잡초는?

    갈퀴덩굴, 벼룩나물, 뚝새풀, 별꽃, 냉이류, 광대나물

  • 6

    1년생 볏 과 잡초는?

    강피, 물피, 들피, 뚝새풀

  • 7

    1년생 방동 사니과 잡초는?

    알방동사니, 참방동사니, 바람하늘지기, 바늘골

  • 8

    1년생 광엽 잡초는?

    물달개비, 물옥잠, 사마귀풀, 여뀌, 여뀌바늘, 마디꽃, 밭뚝의풀, 등에풀, 생이가래, 곡정초, 자귀풀, 중대가리풀

  • 9

    다년생 볏 과 잡초는?

    나도겨풀

  • 10

    다년생 방동사니과 잡초는?

    너도방동사니, 매자기, 올방개, 올챙이고랭이, 쇠털골, 파대가리

  • 11

    다년생 광엽 잡초는?

    가래, 벗풀, 올미, 개구리잡, 좀개구리밥, 네가래, 수염가래꽃,미나리

  • 12

    밭 잡초중 하계 1년생 잡초는?

    좀개갓냉이, 개여뀌, 명아주, 강아지풀, 방동사니, 외풀, 바랭이, 마디꽃, 쇠비름, 괭이밥, 비노리, 석류풀, 애기땅빈대

  • 13

    밭 잡초중 동계 1년생 잡초는?

    냉이, 망초, 속속이풀, 등에풀, 개미자리, 벼룩나물, 개쑥갓, 갈퀴덩쿨, 새포이풀

  • 14

    밭 잡초중 다년생 잡초는?

    쑥, 쇠뜨기, 반하, 질경이, 향부자, 띠, 개밀, 메꽃, 소리쟁이

  • 15

    1년생 잡초의 특징

    생활 주기가 1년 이내로, 생육이 빠르며, 종자는 대부분 휴면성을 가지고 있다.

  • 16

    다년생 잡초에 대한 설명

    2년 이상 생존하며, 종자로 번식하기도 하지만, 영양 번식을 하는 경우가 많다.

  • 17

    잡초의 발아에 알맞은 온도는?

    15~35도

  • 18

    0°C 부근에서도 발아하는 종자는?

    나도댑싸리

  • 19

    어떤 종자는 발아에 알맞은 환경에서도 발아가 되지 않는데 이를 무엇이라 하는가

    휴면

  • 20

    잡초 종자 중 수명이 비교적 긴 것은??

    엉겅퀴, 흰명아주, 산여귀

  • 21

    잡초 종자 중 수명이 비교적 짧은 것은?

    바랭이, 개여귀, 가을강아지풀, 속속이풀

  • 22

    산성 토양에 강한 잡초는?

    뚝새풀, 물달개비, 논뚝외풀, 여뀌, 쇠뜨기

  • 23

    재생력이 강한 잡초는?

    방동사니류, 메꽃, 가래, 쇠뜨기

  • 24

    재생력이 약한 잡초는?

    깨풀, 사마귀풀, 애기땅빈대

  • 25

    식물의 종류에 따라서 어떤 식물이 내는 화학물질은 다른 식물의 성장을 방해하거나 또는 촉진한다. 이러한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대립 작용(allelopathy) 또는 타감 작용이라 한다.

  • 26

    재생력이 약한 잡초

    깨풀, 사마귀풀, 애기땅빈대

  • 27

    재생력이 약한 잡초

    깨풀, 사마귀풀, 애기땅빈대

  • 28

    답리작 지대에서 발생하는 잡초는?

    둑새풀, 벼룩나물, 광대나물

  • 29

    2년생 잡초는?

    엉겅퀴속, 야생당근, 우엉속

  • 30

    누렇게 변하는 병

    양배추, 누렁이병

  • 31

    모자이크 얼룩이 생기는 병

    담배 모자이크병

  • 32

    점이나 줄무늬가 생기는 병

    벼 도열병, 깨씨무늬병

  • 33

    잎과 줄기에 세로로 줄무늬가 생기는 병

    보리 줄무늬병

  • 34

    무늬가 불규칙하게 퍼지는 병

    뽕나무 그을음병

  • 35

    썩음병:

    병균이 침입한 곳이 썩는다. (배추 무름병)

  • 36

    역병:

    갈색으로 변한 병 부위가 빠르게 퍼지고, 잎 표면에 흰색의 균덩이가 생긴다.(감자의 역병)

  • 37

    탄저병:

    두꺼운 육질이 둥글게 움푹 들어가서 어둡고 진한 색으로 변한다. (수박의 탄저병)

  • 38

    잎마름병:

    병 부위의 무늬가 빠르게 퍼져 마른다.

  • 39

    줄기마름병

    줄기 또는 가지의 껍질이 죽어서 거칠어지고 코르크층이 솟아 나오면서 식물 전체가 말라죽는다.(사과 줄기 마름병)

  • 40

    더뎅이병

    과실과 덩이줄기의 병 부위의 주위가 굳어지면서 거칠어진다.(감자 더뎅이병)

  • 41

    미이라병

    열매 등이 마르면서 작아져 굳는다. (과수 잿빛무늬병)

  • 42

    시드는 병

    뿌리의 줄기와 물관이 망가져 물이 올라올 수 없게 되어 시든다.(토마토의 시들음병, 감자의 풋마름병)

  • 43

    감귤의 줄기마름병은 ? 과 함께 걸리면 피해가 커진다

    탄저병

  • 44

    익충 종류

    꿀벌, 누에, 기생벌

  • 45

    대부분 병원체의 작물체 내 잠복 기간

    5~8일에서 10~20일이다.

  • 46

    벼의 생육에 알맞은 온도

    21~30°C

  • 47

    도열병의 발생에 알맞은 온도

    20~25°C

  • 48

    잎과 잎줄기를 주로 먹는 해충

    배추흰나방, 솔나방

  • 49

    생장점을 먹는 해충

    배추순나방

  • 50

    줄기를 주로 먹는 해충

    하늘소류, 나무좀류, 이화명나방

  • 51

    나무의 열매를 파 먹는 해충

    심식나방류, 밤나방과 밤바구미

  • 52

    뿌리나 땅 속 줄기를 먹는 해충

    거세미나방류, 방아벌레, 고자리파리류

  • 53

    영양액을 빨아 먹는 해충

    진딧물, 멸구류, 응애류, 노린재류, 깍지발레

  • 54

    알을 슬어 해를 주는 해충

    잎벌레, 국화하늘소

  • 55

    저장 곡물에 피해를 주는 해충

    쌀바구미

  • 56

    중독 물질을 분비하여 해를 주는 해충

    벼줄기굴파리

  • 57

    해충의 일생

    알에서 애벌레, 번데기를 거쳐 성충이 되는 변태를 거쳐 알을 앟고 일생을 마친다, 이를 한 세대라 한다.

  • 58

    탈피 횟수에 따라

    애벌레 시기를 1령기, 2령기 등으로 나눈다.

  • 59

    완전변태

    알, 애벌레와 번데기, 성충과정을 모두 거치는데 이를 완전변태라 한다.(나비, 나방, 갑충, 벌, 파리)

  • 60

    불완전변태

    애벌레와 번데기라는 뚜렷이 구분되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 성충이 되는데 이를 불완전 변태라 한다. 이러한 곤충의 애벌레는 유충과 구분하여 약충이라 한다.(메뚜기, 매미, 잠자리, 하루살이)

  • 61

    불변태

    좀류와 같은 해충은 부화 당시부터 성충의 모습과 같은데, 이를 불변태라 한다.

  • 62

    비래해충

    벼멸구, 흰등멸구, 멸강나방 등은 여름 장마철에 중국 황하 유역에서부터 오는 저기압이 우리나라를 통과할 때 비와 함께 날아 들어온다. 이를 비래해충이라한다

  • 63

    해충의 먹이량, 해충이 먹이를 많이 먹는 시기

    큰 애벌레

  • 64

    곤충의 생존 온도 범위

    0~50°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