暗記メーカー
ログイン
광고학개론
  • 팡이팡이

  • 問題数 39 • 12/13/2023

    記憶度

    完璧

    5

    覚えた

    17

    うろ覚え

    0

    苦手

    0

    未解答

    0

    アカウント登録して、解答結果を保存しよう

    問題一覧

  • 1

    러시아 생리학자 Ivan P.Pavlov에 의해 정립된 것으로, 조건 반응 개념을 이용해 유명모델의 효과를 설명하는 이론은?

    고전적 조건화 이론

  • 2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정보원의 특성으로, 수용자가 지각한 정보원의 전문성&신뢰성으로 구성된 이 개념은?

    정보원의 공신력

  • 3

    정보원의 공신력의 하위차원 세가지

    전문성, 신뢰성, 선의

  • 4

    높은 공신력은 시간이 지날수록 설득의 효과가 떨어지고, 일반인은 효과가 높아진다는 이 용어는?

    수면자 효과

  • 5

    정보원 자신의 주장만 하는지, 부정긍정 동시에 주장하는지를 뜻하는 메시지의 특성은 어떤 개념인가?

    메시지 주장의 측면성

  • 6

    답을 명확하게 제시할 것인가, 소비자에게 맡길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은?

    결론의 제시

  • 7

    인쇄광고에 효과적인 것으로, 메시지 전달의 __가 중요하다. 핵심 메시지를 어디에 놓을 것인가?

    제시 순서

  • 8

    개인이 메시지에 대해 주의깊게 생각하는 정도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정교화

  • 9

    광고목표의 차원이자, 인지적&정서적&행위적 차원이 있는 모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광고 효과의 위계모형

  • 10

    측정이 가능하며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해야하며, 소비자의 내적반응을 초점에 두고 목표를 설정한다는 개념은? 그리고 4가지 순서를 차례대로 적으시오.

    다그마, 인지, 이해, 확신, 행동

  • 11

    광고예산 설정하는 법으로, 판매액 기준 광고비 할당하거나 제품당 광고비를 할당하는 것은?

    매출비율법

  • 12

    다른 필수활동 먼저 예산 측정 후, 여유자금 내에서 예산을 수립하는 광고 예산 설정법은?

    지불능력 기준법

  • 13

    경쟁사 대비해서 광고 예산을 설정하는 방법은?

    경쟁사 기준법

  • 14

    광고목표를 설정하고 그것을 달성하기 위한 과업 결정 후 해당 과업에 필요한 광고비들의 합을 예산으로 책정하는 것은?

    목표과업법

  • 15

    경쟁사 대비 시장에서 기업이 차지하는 비율을 뜻하는 이것은?

    SOV

  • 16

    이론적인 예산설정 방법으로, 최적의 투자수준은 이윤이 극대화되는 지점의 광고 예산 설정 법은?

    한계분석법

  • 17

    concave curve, s-shaped function이 포함된 이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광고-판매 반응함수

  • 18

    목표로부터 전략과 전술을 도출하는 과정을 뜻하는 이것은?

    매체기획

  • 19

    어느 매체 혹은 비히클에 게재할 것인가?를 고민하는 용어

    미디어 믹스

  • 20

    어느 지역에 브랜드 메시지가 노출되어져야 하는가?

    광고비의 지리적 배분

  • 21

    언제, 어느 시점에 브랜드 메시지가 노출되어져야 하는가?

    미디어 스케쥴링

  • 22

    미디어 믹스 개별 매체에 얼마의 광고비가 투입되어야 하는가?

    광고비의 매체별 분배

  • 23

    매체 스케줄링에서 캠페인 기간 내내 지속적인 광고집행을 하는 것?

    지속형

  • 24

    캠페인 기간 중 광고집행기와 휴지기를 번갈아 가면서 광고를 집행하는것은?

    집중형/비월형

  • 25

    지속형과 비월형의 혼합적인 광고집행법은?

    파동형/맥동형

  • 26

    광고는 사회 시스템으로, 경제적기능과 사회문화적 기능을 하는데, 광고규제는 소비자 보호와 공정한 경쟁을 유도한다는 이 개념을 포괄하는 개념은?

    광고규제의 당위성

  • 27

    기만광고의 주요 판단 요소 세가지를 대시오

    오도의 가능성, 상식을 가진 소비자, 실질적인 피해

  • 28

    익살스러운 과장이나 극찬을 뜻하는 이 용어는, 소비자들에게 사실이나 약속으로 받아들여지지 않는 이상 용인되는 것은?

    허풍

  • 29

    해당 모집단에서 특정시간동안 특정 프로그램을 본 가구 또는 수용자의 비율?

    시청률

  • 30

    특정 시간대에 TV를 켜놓은 가구수의 비율?

    HUT

  • 31

    TV를 켜놓은 모든 가구 중, 특정 프로그램을 시청한 가구의 비율

    점유율

  • 32

    신문사, 잡지사가 발행하는 간행물 개수를 뜻하는 용어?

    발행부수

  • 33

    표적 소비자들 중, 특정 인쇄매체를 구독하거나 구매한 독자의 비율?

    구독률

  • 34

    구독자와 회독자를 반영한 비율?

    열독률

  • 35

    캠페인 기간동안 최소 1회 이상 광고에 노출된 타깃 오디언스의 비율?

    도달률

  • 36

    캠페인 기간동안 광고에 노출된 표적소비자들의 평균 광고 노출 횟수?

    평균빈도

  • 37

    캠페인 기간동안 광고에 노출된 표적 소비자 비율의 합?

    GRP

  • 38

    커뮤니케이션 목표 달성을 위한 광고의 적정 반복수를 뜻하는 용어는?

    유효 빈도/효과 빈도

  • 39

    효과 빈도수만큼 광고에 노출된 표적 소비자의 비율?

    유효 도달률/효과 도달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