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러시아 생리학자 Ivan P.Pavlov에 의해 정립된 것으로, 조건 반응 개념을 이용해 유명모델의 효과를 설명하는 이론은?
고전적 조건화 이론
2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정보원의 특성으로, 수용자가 지각한 정보원의 전문성&신뢰성으로 구성된 이 개념은?
정보원의 공신력
3
정보원의 공신력의 하위차원 세가지
전문성, 신뢰성, 선의
4
높은 공신력은 시간이 지날수록 설득의 효과가 떨어지고, 일반인은 효과가 높아진다는 이 용어는?
수면자 효과
5
정보원 자신의 주장만 하는지, 부정긍정 동시에 주장하는지를 뜻하는 메시지의 특성은 어떤 개념인가?
메시지 주장의 측면성
6
답을 명확하게 제시할 것인가, 소비자에게 맡길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은?
결론의 제시
7
인쇄광고에 효과적인 것으로, 메시지 전달의 __가 중요하다. 핵심 메시지를 어디에 놓을 것인가?
제시 순서
8
개인이 메시지에 대해 주의깊게 생각하는 정도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정교화
9
광고목표의 차원이자, 인지적&정서적&행위적 차원이 있는 모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광고 효과의 위계모형
10
측정이 가능하며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해야하며, 소비자의 내적반응을 초점에 두고 목표를 설정한다는 개념은? 그리고 4가지 순서를 차례대로 적으시오.
다그마, 인지, 이해, 확신, 행동
11
광고예산 설정하는 법으로, 판매액 기준 광고비 할당하거나 제품당 광고비를 할당하는 것은?
매출비율법
12
다른 필수활동 먼저 예산 측정 후, 여유자금 내에서 예산을 수립하는 광고 예산 설정법은?
지불능력 기준법
13
경쟁사 대비해서 광고 예산을 설정하는 방법은?
경쟁사 기준법
14
광고목표를 설정하고 그것을 달성하기 위한 과업 결정 후 해당 과업에 필요한 광고비들의 합을 예산으로 책정하는 것은?
목표과업법
15
경쟁사 대비 시장에서 기업이 차지하는 비율을 뜻하는 이것은?
SOV
16
이론적인 예산설정 방법으로, 최적의 투자수준은 이윤이 극대화되는 지점의 광고 예산 설정 법은?
한계분석법
17
concave curve, s-shaped function이 포함된 이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광고-판매 반응함수
18
목표로부터 전략과 전술을 도출하는 과정을 뜻하는 이것은?
매체기획
19
어느 매체 혹은 비히클에 게재할 것인가?를 고민하는 용어
미디어 믹스
20
어느 지역에 브랜드 메시지가 노출되어져야 하는가?
광고비의 지리적 배분
21
언제, 어느 시점에 브랜드 메시지가 노출되어져야 하는가?
미디어 스케쥴링
22
미디어 믹스 개별 매체에 얼마의 광고비가 투입되어야 하는가?
광고비의 매체별 분배
23
매체 스케줄링에서 캠페인 기간 내내 지속적인 광고집행을 하는 것?
지속형
24
캠페인 기간 중 광고집행기와 휴지기를 번갈아 가면서 광고를 집행하는것은?
집중형/비월형
25
지속형과 비월형의 혼합적인 광고집행법은?
파동형/맥동형
26
광고는 사회 시스템으로, 경제적기능과 사회문화적 기능을 하는데, 광고규제는 소비자 보호와 공정한 경쟁을 유도한다는 이 개념을 포괄하는 개념은?
광고규제의 당위성
27
기만광고의 주요 판단 요소 세가지를 대시오
오도의 가능성, 상식을 가진 소비자, 실질적인 피해
28
익살스러운 과장이나 극찬을 뜻하는 이 용어는, 소비자들에게 사실이나 약속으로 받아들여지지 않는 이상 용인되는 것은?
허풍
29
해당 모집단에서 특정시간동안 특정 프로그램을 본 가구 또는 수용자의 비율?
시청률
30
특정 시간대에 TV를 켜놓은 가구수의 비율?
HUT
31
TV를 켜놓은 모든 가구 중, 특정 프로그램을 시청한 가구의 비율
점유율
32
신문사, 잡지사가 발행하는 간행물 개수를 뜻하는 용어?
발행부수
33
표적 소비자들 중, 특정 인쇄매체를 구독하거나 구매한 독자의 비율?
구독률
34
구독자와 회독자를 반영한 비율?
열독률
35
캠페인 기간동안 최소 1회 이상 광고에 노출된 타깃 오디언스의 비율?
도달률
36
캠페인 기간동안 광고에 노출된 표적소비자들의 평균 광고 노출 횟수?
평균빈도
37
캠페인 기간동안 광고에 노출된 표적 소비자 비율의 합?
GRP
38
커뮤니케이션 목표 달성을 위한 광고의 적정 반복수를 뜻하는 용어는?
유효 빈도/효과 빈도
39
효과 빈도수만큼 광고에 노출된 표적 소비자의 비율?
유효 도달률/효과 도달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