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신경전달물질과 수용체에 대한 옳은 설명은?
아세틸콜린 수용체는 니코틴 수용체와 무스카린 수용체가 있다.
2
40세 남자가 두통으로 병원에 왔다. 뇌 MRI영상에서 뇌하수체 비대를 발견하였다. 이 남자는 170cm의 키에 75kg으로 건장한 체격이었으며 체지방율은 10%로 연령대 평균에 비해 매우 낮았다. 혈액 검사상 혈중 포도당 농도가 200mg%이었다. 이 남자의 혈액에서 증가된 호르몬은?
성장호르몬
3
40세 여자가 배에서 덩어리가 만져진다고 병원에 왔다. 컴퓨터 단층촬영에서 복막 종괴가 발견 되었으며, 자기공명 혈관조영술에서 복부 대동맥이 눌려서 직경이 50% 정도 감소된 것이 관찰되었다. 눌려진 대동맥의 혈류저항은?
16배 증가
4
41세 남자가 최근 3개월간 반복된 설사로 병원에 왔다. 진찰 결과 회장에 심한 염증이 있었다. 이 환자에서 나타날 수 있는 것은?
담즙산 저장량 감소
5
항고혈압 약물인 막전압의존성 칼슘통로 차단제는 혈관과 민무늬근육의 수축은 억제하는 반면, 뼈대근육의 수축에는 별 영향이 없다. 이러한 차이의 이유는?
뼈대근육 수축에 필요한 Ca2+은 근세포질 그물에서 공급되기 때문
6
3세 여아가 반복되는 비강출혈고 피하 점상출혈로 병원에 왔다. 신체검사에서 피하 점상출혈 외에 다른 특이소견은 발견되지 않았다. 혈액응고관련 검사는 다음과 같았다. 이 환자에서 결핍되었을 것으로 추청되는 혈액응고인자는?
von Willebrand factor
7
세포막을 통해 물질이 단순확산 될 때, 물질 이동량이 증가되는 요건은?
지질 용해도 증가
8
25세 여자가 교통사고로 응급시에 왔다. 다리를 움직여 보라는 의사 지시에 환자는 다리를 움직이지 못하였다. 컴퓨터단층촬영검사에서 11번 흉수의 우측 반절 손상이 관찰되었다. 이 환자에서 예상되는 하지 감각 이상은?
우측 무릎 진동 감각 소실
9
25세 남자가 하지감각이 이상하고 걷기가 힘들다며 병원에 왔다. 신경학적 검사에서 오른쪽 무릎 펴기 반사가 감소되어 있었다. 이와 관련된 병변 부위는?
우측 3번 요수 신경
10
물질 X는 토리에서 자유롭게 여과되는 물질이다. 혈장 및 소변에서 inulin과 물질 X의 농도는 아래와 같다. 물질 X의 세뇨관 재흡수율은?
67%
11
허혈상태에 빠진 심근세포는 활동전위 기간이 감소된다. 이에 관여하는 이온전류는
ATP - sensitive K+ 전류
12
보기 참고
방실결절
13
다음은 어느 호르몬 분비기관의 현미경 사진이다. 이 조직에서 호르몬 합성에 필요한 무기질 및 이를 colloid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내강쪽 세포막(Iuminal membrane, 화살표) 전달체를 바르게 짝지은 것은?
요오드(I) - Pendrin
14
유방암 수술 합병증으로 수술 부위 쪽 팔과 손의 부종이 흔히 나타난다. 이와 같은 부종이 발생하는 원인은?
간질액 내 교질삼투압의 증가
15
보기 참고
5ml/min
16
전부 보기 참고
1
17
어떤 호르몬을 몇 시간 동안 흰쥐에게 주입한 후에 간을 적출하여 분석하니 호르몬을 주입하지 않은 쥐에 비해 당원(glycogen)은 감소하였고, 혈당은 증가되어 있었다. 이 호르몬은?
글루카곤
18
공기 진동은 고막과 귓속뼈를 통해 속귀로 전달된다. 속귀 바닥막은 바깥림프 진동에 의해 수용기전위를 형성하여 소리신호가 전기신호로 변환된다. 바닥막에 있는 털세포에서 수용기전위(탈분극)를 발생시키는 이온은?
칼륨
19
내장기관과 피부, 근육 등에서 발생한 감각신호는 척수 신경을 통해 중추신경계로 전달된다. 일부 척수신경은 특정 내장기관과 특정 피부영역으로부터 들어오는 감각을 함께 전달한다. 이에 따라 특정 내장기관에서 허혈 손상이 발생할 경우 사람들은 대개 특정 피부영역에서 통증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통증을 무엇이라 하는가?
연관통
20
보기 참고
대사성산증 - 호흡보상
21
4세 남아가 갑작스러운 고열로 내원하여 해열제를 투여받았다. 고열에서 회복되는 과정에 나타나는 체온조절 반응으로 적절한 것은?
땀 분비의 증가
22
누웠다가 갑자기 일어난 경우 일시적으로 혈압이 감소할 수 있으며 이를 기립저혈압이라고 한다. 사람에 따라 기립저혈압이 심해져서 실신하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 떨어졌던 혈압은 곧 회복된다. 혈압 회복 기전은?
심근수축력 증가
23
미즙(chyme) 내 지방과 단백질에 의해 장내분비세포(enteroendocrine cell)에서 분비되며, 위배출을 억제하는 가장 강력한 호르몬은?
cholecystokinin
24
40세 남자가 교통사고에 의한 심한 출혈로 응급실에 왔다. 환자의 혈압은 90/60mmHg, 심박수는 90회/min, 호흡수는 20회/min이었다. 이 환자에서 예상되는 사구체여과율(GFR), 콩판혈류량(RBF), 여과분율(FF)의 변화는?
GFR 감소, RBF 감소, FF 증가
25
구토 시 관찰되는 근육운동의 변화는?
식도하부조임근 이완, 식도상부조임근 이완, 배근육 수축, 가로막 수축
26
세포 안정막전위 값은 세포 종류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예를 들어 심장근세포 안정막전위 값은 대개 -80mV 정도인데 비해 민무늬근육세포는 -40mV 내외이다. 심장근세포보다 민무늬근육세포에서 밀도가 낮을 것으로 예상되는 이온통로는?
inward rectifier K+ 통로
27
뼈대근육과 민무늬근육 수축현상을 시험관에서 관찰하였다. 시험관 용액 내 이온 중 뼈대근육 수축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민무늬근육 수축을 저하시키는 것은?
마그네슘
28
신경세포에서 활동전위 전도속도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축삭을 통한 활동전위 전도속도가 감소하는 조건은?
활동전위 역치가 높을수록
29
눈을 감고 휴식을 취하고 있을 때 특징적으로 관찰되는 뇌파로서 눈을 뜨거나 수면이 시작되면 사라진다. 이 뇌파의 종류는?
Alpha
30
배란이 일어나기 수일 전에 고농도 에스트로젠에 의해 나타나는 반응은?
뇌하수체의 LH 분비 증가
31
실험동물의 신장동맥을 좁게 하는 수술을 하였다. 수술 1주일 후 측정한 혈압이 수술 전에 비해 증가하였다. 혈압이 증가한 기전은?
심장 전부하 증가
32
43세 여자가 3개월간의 복통과 간혈적인 설사로 병원에 왔다. 대변검사에서 잠혈이 관찰되어 대장경 검사를 시행하였다. 검사 결과 크로흔씨병(Crohn's disease)으로 진단되어 결장 일부와 말단 회장을 외과적으로 제거하였다. 회장제거로 인해 환자에서 나타날 수 있는 질환은?
Vitamin B12 결핍에 의한 빈혈
33
정상인에서 환기-관류는 폐부위에 따라 다른 양상을 나타난다. 서 있는 자세에서 폐첨부는 폐기저부에 비해?
PAO2가 높다.
34
신장의 부위에 따라 간질액 삼투압이 다른데 이는 역류배가에 의해 형성되며 요농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세뇨관 내액 삼투압이 가장 낮은 부위는?
먼쪽세관
35
Cystic fibrosis transmembrane conductance regulator(CFTR) 결손 마우스와 정상 마우스에서 세크레틴에 대한 이자(pancreas)의 반응을 조사하였다. CFTR 결손 마우스에서 정상 마우스보다 감소되는 것은?
중탄산염 분비
36
단거리 육상선수와 장거리 육상선수는 근육의 구성 요소에 차이가 있다. 넙다리네갈래근의 근육생검시 단거리 육상선수에서 더 많이 관찰되는 것은?
무산소대사 효소
37
보기 참고
C
38
보기 참고
션트
39
75세 남자가 자연스럽지 못한 걸음걸이로 진료실에 들어왔다. 눈을 감고 집게손가락으로 코끝을 짚어 보라는 의사의 지시에도 불구하고 코끝을 정확하게 짚지 못하였다. 환자의 운동장애와 연관된 뇌의 병변 부위는?
소뇌
40
42세 남자가 간혈적인 두통, 발한, 빈맥 및 기립저혈압으로 병원에 왔다. 혈압은 150/110mmHg이었고 항고혈압 약물에 의해 혈압이 잘 조절되이 않았다. 컴퓨터 단층촬영에서 부신에 종양이 발견되었으며 종양을 제거하였더니 증상이 사라지고 혈압도 정상화 되었다. 종양 제거 전 혈중에서 높았을 것으로 추측되는 물질은?
카테콜아민
41
뇌종양 환자의 혈압이 갑자기 높이 상승하였다. 의사는 뇌종양이 커져서 두개내압이 상승해 나타나는 쿠싱 현상(Cushing's phenomena)으로 판단하였다. 이 환자에서 혈압 상승을 유발한 뇌 부위는?
연수
42
보기 참고
5
43
세포막의 나트륨 - 칼륨 펌프(Na+ - K+ pump)의 활성이 억제되었을 때 나타나는 현상은?
세포의 용적이 증가한다.
44
4세 남자 아이가 걸음마 시작이 늦었고, 자주 넘어지고 서있는 것을 힘들어하며 전반적인 운동능력 발달이 뒤떨어져 병원에 왔다. 비슷한 증상이 있던 환아의 형은 10대 후반에 사망하였다. 검사결과 환아의 근력은 매우 얃화되어 있었으며 혈중 creatinine kinase(CK)가 증가되었다. 의사는 유전적 결함에 의한 근육퇴행질환을 의심하였다. 이 잘환을 일으키는 가장 주요한 요인은?
dystrophin 결핍에 의한 근세포막의 불안정
45
20세 남자가 팔다리가 부어 병원에 왔다. 소변 검사 결과 다량의 단백뇨가 검출되었고 혈액 검사상 LDL 콜레스테롤이 200mg/dL으로 신장 질환이 의심되는 상태였다. 부종이 발생한 이유는?
모세혈관 교질삼투압의 감소
46
반복학습을 통한 기억력 증가는 장기후강화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해마 CA1 신경세포 시냅스전 말단에서 증가되는 이온은?
칼슘
47
보기참고
0mV
48
56세 남자가 눈커풀 처짐과 겹보임 증상으로 왔다. 음식물을 씹고 삼키기에도 어려움이 있고 발음도 불분명하다고 하였다. 증상은 아침에는 심하지 않다가 점점 심해진다고 하였다. 신경을 고빈도로 반복 자극 시 증상이 악화 되었다.
신경전달물질 수용체 감소
49
보기 참고
1.25
50
20세 남자가 오토바이 사고로 응급실에 왔다. 영상검사에서 8번째 경추부위의 척수 손상이 관찰 되었다. 예상되는 자율신경계 이상은?
동공축소
51
보기 참고
C
52
보기 참고
C
53
58세 남자가 계단을 오르다 심한 현기증을 느껴 병원에 왔다. 신체 검진 상 심장 수축기에 심잡음이 들렸고 심초음파에 대동맥 판막질환이 의심되는 상태일 때 심잡음의 원인은?
혈류 속도의 증가
54
보기 참고
출혈
55
50세 남성이 신체검사에서 혈압이 150/50mmHg이었고, 청진상 이완기 심잡음이 들렸다. 이 사람에게 예측되는 심혈관계의 이상은?
대동맥 판맥 부전
56
보기 참고
B - C
57
중년 아마추어 마라토너가 가끔 어지러움 증상이 나타나서 병원을 방문한 결과 심방세동으로 진단을 받았고 그 외에 특별한 질병은 없었다. 이 사람의 심전도 소견으로 적당한 것은?
P파가 소실되거나 낮은 전압의 미세한 고주파가 다수 기록된다.
58
실험동물의 유문에 압력센서를 고정하여 유문의 긴장성 수축 압력을 측정하는 실험을 한다. 압력 센서에 의해 위와 십이지장 사이의 내용물은 섞이지 않게 되어 있다. 위와 십이지장에 가한 자극 중 유문의 긴장성 수축 압력을 증가시키는 기전은?
십이지장 팽창 시 활성화되는 장내인성 신경
59
30갑년의 흡연력을 가진 65세 남자가 건강검진에서 발견된 높은 혈압으로 병원에 왔다. 반복 측정한 안정 시 혈압의 평균은 160/80mmHg였으며, 심박수는 70회/분이었다. 심전도 및 심초음파 검사에서 특별한 이상은 발견되지 않았고, 혈액 검사에서 고콜레스테롤혈증, 높은 저밀도 디단백 콜레스테롤(LDL-콜레스테롤)을 보이고 있었다. 남자의 높은 수축기 혈압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예상되는 것은?
혈관벽 유순도 감소
60
정상인과 관상동맥경화증 환자의 심장에서 측정한 관상혈류량의 변화 사진이다. 관상동맥경화증 환자에서는 일시적인 관상동맥 폐쇄 이후에 나타나는 관상혈류량 증가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이런 환자에서 계단을 오를 때 정상인에 비해 심근 허혈이 발생할 확률이 높은 이유는?
관상동맥 최대 이완
61
목동맥팽대 압력 수용체가 신장되어있을 때 관찰되는 심혈관계 반응은?
세동맥의 이완
62
다량의 출혈을 한 환자에게 0.9% 식염수 1L를 정맥주사한 경우, 주사하기 전과 비교하면 어떻게 되겠는가?
세포내액량에는 변화가 없다.
63
보기 참고
폐공기증(emphysema)
64
다음은 신장의 나트륨 배설의 조절에 관여하는 인자들이다. 나트륨을 많이 섭취했을 때 증가하는 것은?
사구체 여과율(GFR)
65
출혈이 심한 경우, 신장에서는 체액 손실을 줄이기 위해 이것이 감소한다. 다음 중 이것에 해당하는 것은?
사구체 여과율(GFR)
66
35년간 당뇨병을 앓아온 67세 여자가 만성콩판기능부전으로 왔다. 토리여과율은 40ml/min, 혈액 pH는 7.14였다. 전해질 공급 조절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혈액 칼륨농도와 소변 암모늄염 배설율 변화는?
칼륨농도 증가, 암모늄염 배설율 증가
67
60세 남성이 심한 호흡곤란과 하지 부종으로 병원에 왔다. 단순흉부촬영 검사에서 심장의 비대와 폐문부를 중심으로 한 나비 모양의 음영이 관찰되었다. 심초음파를 통해 구한 심장의 구출률은 40%였다. 적절한 치료는?
안지오텐신전환효소억제제
68
일상적인 신체활동에도 피로, 빈맥, 숨참을 호소하는 심부전증 환자에게 이뇨제를 처방하였다. 치료과정에서 혈중 농도가 저하될 가능성이 있어서 주기적으로 확인해야하는 전해질은?
K+
69
보기 참고
항이뇨호르몬
70
40대 남자가 정기 혈액검사에서 K+ 2.5mEq/L로 칼륨 농도가 감소된 것이 확인되었다. 이 남자는 고혈압 치료를 위해 루프이뇨제(furosemide)가 포함된 혈압약을 복용 중이었다. 남자의 저칼륨혈증 소견에 관여하게 되는 세뇨관 세포질 단백질은?
Na+/K+/2C- 공동수송기
71
56세 만성신부전 환자가 신장 기능 검사에서 기능을 하는 신장단위(nephron)가 거의 없는 상태로 판명되었다. 음식 내 칼륨 양을 제한하지 않을 경우 심각한 고칼륨혈증이 일어날 것으로 예상하였지만 혈액검사에서 약간의 증가만 나타났다. 이유는?
집합관에서 나트륨 칼륨 교환펌프 발현 증가에 따른 칼륨 분비 증가
72
실험동물에서 신경계 일부를 절단하였더니 호흡은 계속되나 불규칙적인 양상을 보였다. 절단된 부위는?
뇌간의 뇌교 상부 경계
73
실험동물 동맥에 히스타민을 주입하여 부종을 유발하였다. 이때 나타나는 미세순환계 변화는?
모세혈관 투과도 증가
74
50년 흡연 경력의 70세 남자가 병원에 왔다. 가벼운 운동에도 피로감과 호흡곤란을 호소하였고 매일 아침 가래가 동반된 기침으로 힘들어 하였다. 이 남자의 폐기능 검사에서 정상보다 감소되어 있는 것은?
1초강제호기량(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
75
보기 참고
심한 설사
76
그림에서 언어의 표현과 포괄적인 언어해석 기능을 가지는 부위는?
D
77
평상 시 쉽게 피곤해지곤 하는 60세 여자가 건강검진을 위해 심전도를 찍었다. 심전도 결과 유도 aVF에서 QRS복합의 방향성이 양성(positive)으로 기록되었는데 반해 유도 I에서 기록된 QRS복합의 방향은 음성(negative)이었다. 예상되는 순환계 이상은?
폐동맥고혈압
78
보기 참고
수소이온에 의한 흡기중추 자극 증가
79
풍선을 강하게 불거나 촛불을 강하게 불어서 끌 때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근육은?
복근
80
보기 참고
VII
81
75세 노인이 흡인성 폐렴으로 입원하여 치료 받다가 급성호흡곤란 증후군이 생겼다. 스완-간츠관을 삽입하여 폐모세혈관의 압력을 측정한 결과, 6mmHg였다. 다음 중 폐모세혈관과 가장 비슷한 압력을 관찰할 수 있는 부위는?
좌심방
82
보기 참고
산소에 대한 혈색소 친화도 감소, 해리곡선 우측 이동
83
더운 여름철에 해수욕장에서 친구들과 물속에서 숨 참고 오래 버티기 놀이를 하다가 생명을 잃느 사고가 나는 경우가 있다. 그 원인 중 하나는 잠수 전 심한 과호흡을 하기 때문이다. 심한 과호흡이 위험한 이유는?
혈액 내 이산화탄소 함량이 떨어져 호흡 욕구가 감소되기 때문이다.
84
75세 남자가 심한 호흡곤란과 의식이 저하되어 응급실에 왔다. 말기 심장기능상실로 진료를 받고 있었다. 혈압 100/80mmHg, 맥박 110회/분, 호흡 30회/분, 체온 37도 였고 체인스토크스 호흡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형태의 호흡은 호흡조절에 관여하는 화학수용체로 혈액이 적절하게 관류되지 않아서 발생한다. 이 현상에 관여하는 요소는?
중추화학수용체 - 이산화탄소
85
32세 남자가 교통사고 후 성욕이 없어져서 왔다. 뇌 자기공명영상검사에서 뇌하수체경(pituitary stalk)의 손상이 관찰되었다. 분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호르몬은?
프로락틴
86
다양한 형태의 자극이 감수기에서 전기적 신호(감소기 전위, receptor potetal)로 변환 된다. 감수기전위와 활동전위를 비교하면?
감수기전위는 점진반응을 보이나 활동전위는 실무율 특성을 따른다.
87
45세 남자가 작업하던 중 기계에 부딪힌 후 호흡곤란이 있어서 왔다. 우측 흉벽에 지름2cm 정도의 결손이 관찰되었다. 흉관을 삽입하고 결손된 흉벽을 봉합한 후 호흡곤란이 호전되었다. 호흡곤란의 이유는?
폐환기의 감소
88
7세 남아가 고열, 기침 및 호흡곤란으로 병원에 입원하였다. 이 남아의 흉부 청진 상 양측 폐에서 흡기 시 수포음이 청진되었으며 동맥혈 검사 결과, 산소농도가 55mmHg, 이산화탄소 농도가 50mmHg이었다. 이 남아의 저산소증의 원인은?
폐포막 두께 증가
89
사지동물에서 흥분성 신호는 다리를 앞으로 움직이게 하고, 억제성 신호는 뒤쪽 다리 근육을 억제하여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게 한다. 이 신경회로의 명칭은?
상반억제회로
90
고위중추신경계로 감각정보를 전달하는 과정 중에서 나타나는 측방억제 현상과 관련이 있는 것은?
부위(location)
91
정상적으로 수축하고 있으며 음식물이 쉽게 이동하 수 있도록 수용성 이완을 보이는 소화 기관의 해부학적 명칭은?
하부식도괄약근
92
신경학적 검사를 위해서 무릎뼈 힘줄을 고무망치로 두드렸을 때 이루어지는 반사에 대한 다음 설명 중 맞는 것은?
Ia 구심성 섬유를 통한 단일시냅스 신경로의 척수반사이다.
93
70세 여자가 대퇴골 경부 골절로 인해 수술을 받은 후 이틀째 호흡곤란이 발생하여 흉부컴퓨터단층촬영(CT)을 실시하였고, 좌측 폐동맥 기시부에 색전이 발견되었다. 이 환자에서 예상되는 호흡기능의 변화로 옳은 것은?
좌측폐의 사강 증가
94
21세 청년이 최근 들어 음식을 조금만 먹어도 포만감을 느끼고 식욕이 없다고 내원했다. 검사결과 위배출이 느린 소견이 관찰되었다. 이 환자에게서 위배출을 느리게 하는 호르몬은?
콜레시스토키닌
95
실험동물에 음식물을 투여할 시 음식물이 위에 도달하기 전에 위용적과 위유순도가 증가한다. 이 현상에 대한 설명은?
수용성이완
96
수관주위회색질 부위를 전기로 자극하면 진통효과가 나타난다. 이것의 원리는 하생성 경로를 이용하여 말초로부터 올라오는 통증신호를 척수수순에서 차단하는 것이다. 이 경우 통증신호 차단을 설명할 수 있는 분자적 표적은?
아편유사체 수용체
97
55세 남자가 몇 개월 전부터 두통과 시력 저하를 호소하였다. 뇌자기공명영상(MRI) 검사에서 뇌하수체 종양이 발견되었다. 이 환자의 시각경로 중에 압박되었을 것으로 의심되는 부위와 환자가 호소하는 시야결손 양상을 바르게 짝지은 것은?
시긴경교차 - 양귀쪽반맹
98
보기 참고
A
99
50세 남자가 위 눈꺼풀이 처지는 증상으로 내원하였다. 이학적 검진 상 가쪽사시가 나타났고 눈을 안쪽이나 위아래로 움직이지 못하였다 .이 환자에서 영향 받는 기능은?
동공빛반사
100
교통사고로 의식을 잃은 환자의 오른쪽 눈에 빛을 주었을 때 왼쪽만 동공수축이 일어났고, 왼쪽 눈에 빛을 주었을 때에는 왼쪽 동공수축이 관찰되었다. 병변의 위치는?
우측 동안신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