記憶度
12問
29問
0問
0問
0問
アカウント登録して、解答結果を保存しよう
問題一覧
1
자식성 작물에서 순계의 유전자형은 ( )이다. 두 순계를 ( )하여 얻은 F1의 유전자형(Aa)은 ( )이다. F2부터는 유전자형들이 분리되며 세대진전과 더불어 집단의 유전자형 빈도가 변동한다.
동형접합체, 인공교배, 이형접합체
2
자식을 거듭한 m세대 집단은 ( )이고, 동형접합체 빈도는 ( )이 된다.
(1/2)m-1, [1-(1/2)m-1]
3
( )은 재래종 등 유전적 다양성이 있는 집단에서 우량한유전자형을 분리하여 품종으로 육성하는 육종방법
분리육종
4
2) 자식성 작물의 육종방법 - (1) 분리육종(순계선발) 분리육종은 다른 말로 ( )라고 하며, 재래종 등 ( )이 있는 집단에서 우량한 유전자형을 분리하여 ( )으로 육성하는 육종방법
순계선발, 유전적 다양성, 품종
5
2) 자식성 작물의 육종방법 - (1) 분리육종(순계선발) 자식성 작물의 재래종은 재배과정에서 타가수분, 자연 돌연변이, 다른 품종의 기게적 혼입 등에 의해 여러 가지 유전자형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은 오랫동안 ( )을 해왔으므로 대부분 ( )이다.
자식, 동형접합체
6
2) 자식성 작물-(1) 분리육종 이러한 재배종 집단에서 ( )를 선발하여 계통재배하면 ( )를 얻을 수 있고, 이 순계를 ( )과 ( )을 거쳐 우량품종으로 육성한다. 따라서 자식성 작물의 분리육종은 개체선발을 통해 순계를 육성하는 과정이므로 ( )이라고 한다.
유전자형, 순계, 생산성 검정, 지역적응성 검정, 순계선발
7
1) 자식성 작물 - (2) 교배육종 - 교배육종은 다른 말로 ( )라고 한다. 이것은 ( )로 새로운 유전변이를 만들어 ( )을 육성하는 육종방법이다.
교잡육종, 인공교배, 신품종
8
( )은 인공교배로 새로운 유전변이를 만들어 신품종을 육성하는 육종방법이다.
교배육종
9
1) 자식성 식물 - (2) 교배육종 교배육종의 이론적 근거는 ( )과 ( )이다.
조합육종, 초월육종
10
1) 자식성 식물 - (2) 교배육종 조합육종은 ( )를 통해 서로 다른 ( )이 별도로 가지고 있는 ( )을 한개체 속에 조합하는 것이고 초월육종은 ( )에 없던 특성이 ( )에 발현되도록 기대하는 육종이다.
교배, 품종, 우량형질, 교배친, 후대
11
( )은 교배친에 없던 특성이 후대에 발현되도록 기대하는 육종이다. ( )은 교배를 통해 서로 다른 품종이 별도로 가지고 있는 우량형질을 한개체 속에 조합하는 것이다.
초월육종, 조합육종
12
1) 자식성 식물 - (2) 교배육종 교배육종에서는 ( ) 또는 ( )을 잘 선정해야 한다.
교배친, 교배모본
13
1) 자식성 식물 - (2) 교배육종 교배육종은 잡종세대를 취급하는 방법에 따라 크게 4가지 ( ) 등으로 나눈다.
계통육종, 집단육종, 파생계통육종, 1개체 1계통육종
14
1) 자식성 작물 - (2)교배육종 교배육종에 의한 품종육종은 자연포자에서 10년이상 15~16년 까지 소요된다. 그래서 세대단축 온실과 다른 나라 지역을 이용하고, ( )을 적용하여 ( )을 단축한다.
약배양기술, 육종연한
15
1) 자식성 식물 - (2) 교배육종 - [1] 계통육종 계통육종은 ( )하여 F1을 만들고, F2부터 매 세대 ( )과 ( )및 ( )을 반복하면서 우량한 유전자형의 ( )를 육성하는 육종방법이다.
인공교배, 개체선발, 계통재배, 계통선발, 순계
16
1) 자식성 작물 - (2) 교배육종 - [1]계통육종 계통육종은 잡종 초기세대부터 계통단위로 선발하므로 ( )가 빨리 나타난다는 이점이 있다. 효율적인 선발을 위해서 목표형질의 ( ) 방법이 필요하고, 육종가의 경험과 선발 안목이 중요하다.
육종효과, 특성검정
17
1) 자식성 작물 - (2) 교배육종 - [1] 게통육종 F1은 20~30개체를 양성한다. F2는 2,000~1만 개체를 전개하고 그중 5~10%를 선발한다. F2에서는 육안감별이 쉬운 ( ) 또는 유전력이 놓은 ( )을 집중적으로 선발한다. 수량은 ( )이 관여하고 환경의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에 F2의 개체선발은 의미가 없다. F3이후에서는 먼저 우량한 ( )과 ( )을 선발하고, 게통 내의 ( )를 선발한다.
질적형질, 양적형질, 폴리진, 게통군, 게통, 우량개체
18
1) 자식성 작물 - (2) 교배육종 - [1] 계통육종 벼 품종'( )'은 유카라와 대중재래 1호를 교배한 F1을 부본으로 IR8을 모본을 (A )하여 계통육종했다. A는 ( )//( )/( )이다. 이것은 ( )간교배와 ( )에 의해 육성한우리 나라 최초의 품종이다.
통일, 3원교배, IR8, 유카라, TN1, 원연품종, 세대단축
19
1) 자식성 작물 - (2) 교배육종 - [2] 집단육종 집단육종은 ( )에는 선발하지 않고 ( )과 ( )를 반복한후 f2에서 극히 불량한개체를 솎아 낸 다음 혼합채종하여 ( )세대에도 집단재배한다. F3세대 이후에 집단의 80%정도가 ( )로 된 후기세대에 가서 ( )하여 순계를 육성하는 육종방법이다.
잡종 초기세대, 혼합채종, 집단재배, F3, 동형접체, 개체선발
20
1) 자식성 작물 - (2) 교배육종 - [2] 집단육종 집단육종에서 개체선발은 ( )~( )세대에서 개체선발을 하는 것이 보통이다.
F7, F8
21
1) 자식성 작물 - (2) 교배육종 - [2] 집단육종 집단육종의 이점은 ( )에 선발하지 않으므로 ( )의 취급이 용이하고, ( )가 증가한 후기세대에 선발하기 때문에 선발이 간편하다. 그리고 집단재배에 의해 ( )을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출현빈도가 낮은 ( )을 선발할 가능성이 높다.
초기세대, 잡종집단, 동형접합체, 자연선택, 우량유전자형
22
1) 자식성 육종 - (2) 교배육종 - [3] 계통육종과 집단육종의 비교 계통육종은 ( )세대부터 선발을 시작하므로 ( )이나 ( )이 용이한 ( )의 개량에 효율적이다 .그러나 선발이 잘못되엇을 때 유용한 유전자를 ( )하게 된다. 집단육종은 잡종 초기세대에 ( )하기 때문에 유용한 유전자를 상실할 염려가 적으며, 선발을 시작하는 후기세대에는 동형접합체이므로 ( )이 관여하는 ( )의 개량에 유리하다.
F2, 육안관찰, 특성검정, 질적 형질, 상실, 집단재배, 폴리진, 양적 형질
23
1) 자식성 식물 - (2) 교배유종 - [3]계통육종과 집단육종의 비교 계통육종은 육종의 ( )와 ( )에 많은 시간, 노력, 경비가 든다. 그러나 육종가의 정확한선발에 의해 ( )를 줄이고 ( )을 단축할 수 있다. 집단육종은 계통육종과 같은 별도의 ( )와 ( )이 필요하지 않으나, 집단재배 기간 동안 ( )를 줄이기 어렵고, 계통육종에 비해 ( )이 길어진다.
관리, 선발, 육종규모, 육종연한, 관리, 선발, 육종규모, 육종연한
24
1) 자식성 식물 - (2) 교배육종 - [4] 파생계통육종 파생계통육종은 ( )과 ( )을 절충한 육종방법이다 . 이 방법은 ( ) 또는 ( )에서 ( )에 대해 우량개체를 선발한다. F4부터는 파생계통별로 ( )하여 파생계통별로 ( )한다. 파생계통은 ( )~( )에서 양적 형질에 대해 개체선발을 한다.
계통육종, 집단육종, F2, F3, 질적 형질, 혼합채종, 집단재배, F5, F6
25
1) 자식성 식물 - (2) 교배육종 - [4] 파생계통육종 파생계통육종은 F2또는 F3에서 ( )한것을 파생계통별로 ( )하므로 매 세대 개체선발하는 ( )보다 유량한 유전자형을 상실한 염려가 적다. 또한, ( )을 집단재배하는 동안 열등한계통을 제거함으로써 몇 세대를 선발없이 집단재배하는 집단육종에 비해 ( )을 줄일수 있고 ( )도 단축할 수 있다. F3세대 이후에 ( )하므로 ( )에 비해 선발의 효율이 떨어진다.
개체선발, 집단재배, 계통육종, 파생계통, 포장면적, 육종연한, 집단재배, 계통육종
26
1) 자식성 식물 - (2) 교배육종 - [5] 1개체 1계통육종 1개체 1계통육종은 ( )~( )세대에서는 매 세대 모든 개체로부터 ( )씩 채종하여 집단재배하고, ( )각 개체별로 ( )계통재배를 한다. 따라서 F5 각 계통은 ( )각 개체로부터 유래한 것이다. 1개체 1계통육종은 ( )부터 매 세대 모든 개체에서 ( )씩 채종하여 ( )하므로 F2에 나타나는 ( ) 유전자형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후기세대에 선발함으로써 양적 형질에 대한 ( ) 빈도가 높아지며 ( )의 선발이 유리하다.
F2, F4, 1립, F4, F5, F2, F2, 1립, 집단재배, 모든, 동형접합체, 열성형질
27
1) 자식성 식물 - (3) 여교배육종 여교배는 양친 ( )와 ( )를 교배한 ( )을 양친 중 어느 하나와 ( ) 교배하는 것이다. 여교배를 할 때 처음 한 번만 사용하는 교배친을 ( )이라고 하고, 반복해서 사용하는 교배친을 ( )이라고 한다.
A, B, F1, 다시, 1회친, 반복친
28
1) 자식성작물 - (3) 여교배육종 1회친은 여교배를 할 대 처음 ( )만 사용하는 ( )이고, 반복친은 ( )해서 사용하는 ( )이다.
한 번, 교배친, 반복, 교배친
29
1) 자식성 작물 - (3) 여교배육종 장점) 연속적으로 교배하면서 이전하려는 ( )의 특성만 선발하므로 ( )가 확실하고 ( )이 높다 단점) ( )이외에 다른 형질의 개량을 기대하기 어렵다.
1회친, 육종효과, 재현성, 목표형질
30
1) 자식성 작물 - (3) 여교배 육종 여교배육종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려면 (1) 만족할 만한 ( )이 있어야 한다. (2) 여교배를 하는 동안 ( )의 특성이 변하지 않아야 한다. (3) 여러 번 여교배한 후에 ( )의 특성을 충분히 회복해야 한다.
반복친, 유전자, 반복친
31
3. 타식성 작물의 육종 - 1) 타식성 작물 집단의 유전적 특성 - 타식성 집단 특징 (1) ( )이 높다. (2) ( )의 제한이 없어 ( )가 크다.
이형접합성, 화분친, 유전변이
32
3. 타식성 작물의 육종- 1) 타식성 작물 집단의 유전적 특성 타식성 작물 집단의 유전자형 빈도는 원칙적으로 ( )을 따른다. (1) 개체 간에 ( ) 교배가 이루어지는 집단이 충분히 크고 (2) 집단 내에 ( )이나 ( )가 일어나지 않으며 (3) 다른 집단과 ( )가 없을 때에는 아무리 세대가 진전되더라도 집단의 최초 ( )와 ( )는 변동하지 않는다. 이러한 집단을 ( )을 이루었다고 한다.
하디-바인베르크 법칙, 자유롭게, 자연선택, 돌연변이, 유전자 교류, 유전자 빈도, 유전자형 빈도,, 유전적평형
33
3. 타식성 작물의 육종 - 1) 타식성 작물 집단의 유전적 특성 타식성 작물의 근친교배로 약세화한식물체 또는 빈약한 자식계통끼리 교배하면 그 F1은 양친보다 왕성한생육을 나타내는데, 이를 ( )라고 함 잡종강세의 원인을 ( )과 ( )로 설명한다.
잡종강세, 우성설, 초우성설
34
3. 타식성 작물의 육종 - 1) 타식성 작물 집단의 유전적 특성 초우성설은 ( )가 ( )로 되면 공우성이나 유전자 연관 등에 의해 잡종강세가 발현된다는 것이다. 타식성 작물의 육종은 ( )를 일으키지 않고 ( )를 유지하는 우량집단을 육성하는 것이다.
잡종강세 유전자, 이형접합체, 근교약세, 잡종강세
35
자식성 작물의 육종방법은 ( )( )( )이 있다. 타식성 작물의 육종방법은 ( ),( ) 이 있다.
분리육종, 교배육종, 여교배육종, 집단선발, 순환선발
36
3. 타식성 작물의 육종 - 2) 타식성 작물의 육종방법 - (1) 집단선발 타식성 작물의 분리육종은 순계선발을 하지 않고 ( )이나 ( )을 한다. 그 이유는 ( )를 방지하고 ( )를 유지하기 위해서 이다. 그리고 타식성 작물의 품종은 타가수분에 의해 ( )나 ( )가 분리하므로 반복적인 선발이 필요하다
집단선발, 게통집단선발, 근교약세, 잡종강세, 불량개체, 이형개체
37
3. 타식성 작물의 육종 - (2) 타식성 작물의 육종방법 [1] 집단선발 타식성 작물의 집단계통선발은 ( )에서 선발한 우량개체를 ( )하고, 거기서 선발한 우량계통은 ( )하여 ( )을 개량하는 방법이다. 즉, ( ) 및 ( )의 단계를 한 번 더 거치게 되는 형태로 선발한 우량개체의 우수성을 확인하므로 단순한 집단선발보다 육종효과가 확실하다.
기본집단, 계통재배, 혼합채종, 집단, 계통재배, 계통평가
38
3. 타식성 작물의 육종 - 2) 타식성 작물의 육종방법 - [2] 순환선발 순환선발은 ( )를 선발하고 그들 간에 ( )함으로써 집단 내에 우량유전자의 빈도를 높여 가는 육종방법으로 ( )과( )이 있다.
우량개체, 상호교배, 단순순환선발, 상호순환선발
39
3. 타식성 작물의 육종 - 2) 타식성 작물의 육종방법 -[2] 순환선발 단순순환선발은 ( )에서 선발한 우량개체를 ( )하고, 동시에 ( )과 교배한다. ( )을 평가하여 잡종강세가 높은 조합의 자식계통을 혼합하여 개량된 집단을 만들고, 개체 간에 상호교배하여 집단을 개량한다. 단순순환선발은 일반 조합능력을 개량하는 데 효과적이며, ( )주기로 반복하여 실시한다.
기본집단, 자가수분, 검정친, 검정교배 F1, 3년
40
3. 타식성 작물 의 육종 - 1) 타식성 작물 집단의 유전적 특성 - [2] 순환선발 단순순환선발은 동시에 ( )과교배하낟. 검정교배 F1을 평가하여 자종강세가 높은 조합의 ( )을 혼합하여 개량된 집단을 만들고, 개체 간에 상호교배하여 집단을 개량한다. 단순순환선발은 ( )을 개량하는 데효과적이며, ( )주기로 반복하여 실시
검정친, 자식계통, 일반 조합능력, 3년
41
3. 타식성 작물의 육종 - 2) 타식성 작물의 육종방법 - [2] 순환선발 상호순환선발은 두 집단( ),( )를 동시에 개량하는 방법이다. 집단 A의 개량에는 집단 B를 ( )으로하고, 집단B의 개량에는 집단 A를 ( )으로 사용한다. 이 방법은 두 집단에서 서로 다른 ( )가 많을 때 효과적이며, ( )과 ( )을 함께 개량할 수 있다.
A, B, 검정친, 검정친, 대립유전자, 일반 조합능력, 특정 조합능력
42
4. 영양번식 작물의 육종 - 1) 영양번식작물의 유전적 특성 영양번식작물은 고구마, 감자, 바나나 처럼 ( )가 많으며, 이들은 감수분열 때 ( )를 형성하므로 ( )이 높아 종자를 얻기 어렵고, 종자로부터 발생한식물체는 비정상적인 것이 많다.
배수체, 다가염색체, 불임
43
4. 영양번식작물의 육종 - 1) 영양번식작물의 유전적 특성 영양번식작물은 영양번식과 동시에 ( )도 하며, 영양계는 ( )이 높다. 자가수정에 의해 얻은 ( )는 유전자형이 분리된다.
유성생식, 이형접합성, 실생묘
44
4. 영양번식작물의 육종- 2) 영양번식작물의 육종방법 영양번식작물은 동형접합체는 물론( )도 영양번식에 의해 영양계의 ( )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영양번식작물은 ( )을 통해 신품종을 육성한다.
이형접합체, 유전자형, 영양계선발
45
4. 영양번식작물의 육종 - 2) 영양번식작물의 육종방법 영양계선발은 ( )나 돌연변이(과수의 ( )에 생기는 ( )에 의해 유전변이 또는 실생묘 중에 우량한 것을 선발하고, 삽목이나 접목 등으로 증식하여 신품종을 육성한다.
교배, 햇가지, 아조변이
46
5. 1대잡종육종 - 1) 1대잡종품종의 이점 1대잡종육종은 잡종강세가 큰 교배조합의 ( )을 품종으로 육성하는 육종방법 1대잡종품종은 ( )이 많고, 균일한 ( )을 얻을 수 있으며, ( )를 이용하기 유리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매년 새로 만든 ( )를 파종하므로 종자산업 발전에 큰 몫을 담당한다.
1대잡종, 수량, 생산물, 우성유전자, F1종자
47
5. 1대잡종육종 - 1) 1대잡종품종의 이점 1대잡종품종은 ( )에서 이용하기 시작하여 1과당 ( )이 많은 ( ),( )등에 널리 재배된다.
타식성 작물, 채종량, 박과, 가짓과 채소
48
5. 1대잡종육종 - 1) 1대잡종품종의 이점 F1종자의 경제적 채종을 위해 ( )과 ( )을 이용한다.
자가불화합성, 웅성불임성
49
5. 1대잡종육종 - 2) 조합능력 조합능력은 1대잡종이 잡종강세를 나타내는 ( )의 상대적 능력이며, ( )과 ( )이 있다.
교배친, 일반 조합능력, 특정 조합능력
50
5. 1대잡종육종- 2) 조합능력 일반 조합능력은 어떤 자식계통이 다른 많은 ( )과 교배되어 나타나는 1대잡종이 ( )이고, 특정 조합능력은 ( )의 F1에서만 나타나는 잡종강세 조합능력의 검정은 먼저 ( )로 일반 조합능력을 검정하고, 거기서 선발된 자식계통으로 ( )를하여 특정 조합능력을 검정한다.
검정계통, 평균 잡종강세, 특정한 교배조합, 톱교배, 단교배
51
5. 비대잡종육종 - 3) 1대잡종품종의 육성 자식계통은 우량개체를 선발하여 ( )~( )세대동안자가수정을 시켜 육성한다. 육성한자식계통은 ( ) 또는 ( )에 의해 유지하며, 다른 우량한 자식계통과 교배하여 능력을 개량한다.
5, 7, 자식, 형매교배
52
( )은 같은 기본집단에서 유래한 자식계통 간 교배
형매교배
53
5. 1대잡종육종 - 3) 1대잡종품종의 육성 자식계통으로 1대잡종품종을 육성하는 방법엔느 ( ), ( ), ( ) 등이 있다. 잡종강세가 가장 큰 것은 ( )이지만, ( )이 적고 ( )이 비싸다는 결점이 있다.
단교배, 3원교배, 복교배, 단교배1대잡종품종, 채종량, 종자가격
54
5. 1대잡종육종 - 4) 1대잡종종자의 채종 - 인공교배 이용하는 품종은 ( ),( ),( ) - 웅성불임성 이용은 ( ),( ) - 자가불화합성 이용 ( ),( )
오이, 수박, 호박, 당근, 상추, 무, 양배추
55
6. 배수성 육종 배수체를 작성하는 방법은 ( )이 왕성한생장점에 ( )을 처리하거나, 또는 조직배양에서 생기는 ( )를 재분화시킨다. 콜히친은 분열 중인세포에서 ( )형성, ( ) 분할, ( ) 발달 등을 방해한다. 2배체식물의 ( )나 ( ) 또는 ( )의 생장점에서 ( )~( )% ( )을 처리하면, 복제된 염색체가 양극으로 분리되지 못하여 ( )가 생기며, 이 세포가 ( )로 발달한다.
세포분열, 콜히친, 배수성세포, 방추체, 동원체, 방추사, 발아종자, 끝눈, 곁눈, 0.01, 0.2, 콜히친, 4배성세포, 4배체
56
6. 배수성육종 동질배수체는 주로 ( )와 ( )가 이용된다. 씨 없는 수박은 ( )X( )에서 나온 ( )에 ( )의 화분을 수분하여 육성한다.
3배체, 4배체, 4배체, 2배체, 동질3배체, 2배체
57
6. 배수성육종 ( )의 게놈이 다른 양친을 ( )로 만들어 교배하거나, ( )의 양친을 교배한 F1의 염색체 배가시키거나 체세포를 융합시켜 육성한다. 인위적으로 육성한이질배수체는 ( )과 ( )이 대표적이다.
이질배수체, 동질4배체, 이종게놈, 트리티케일, 하쿠란
58
6. 배수성육종 일반적으로 ( )는 2배체에 비해 세포와 기관이 크고, ( )에 대한 저항성이 증대, ( )이 증가하는 등 ( )이 일어나고, 이질배수체는 양친의 특성을 모두 발현하거나, 양친형질의 중간적인 생리적'형태적 특성을 나타낸다.
동질배수체, 병해충, 함유성분, 형질변화
59
6. 배수성육종 반수체는 생육이 빈약하고 ( )으로 실용성이 없다. 그란 반수체의 염색체를 배가하면 곧바로 ( )를 얻을 수 있으므로 ( )을 줄일 수 있고, 또한 ( )이 1개뿐이므로 ( )의 선발이 쉽다. 이러한 반수체의 특성을 이용하는 육종방법을 ( )이라고 한다.
완전불임, 동형접합체, 육종연한, 상동게놈, 열성형질, 반수체육종
60
6. 배수체육종 인위적으로 반수체를 만드는 방법으로는 ( A )또는 ( ) 등이 있다. A은 화분배양보다 ( )이 간단하고 ( )이 높다.
약배양, 화분배양, 배양, 식물체 재분화율
61
6. 배수체육종 우리날 벼품종 중에서 화성벼, 화진벼, 화영벼, 화선찰벼, 화남벼, 화중벼, 하ㅗ신벼, 화안벼 등 모두 ( )을 육성하였다. 이들 품종의 육종연한은 ( )~( )년 소요되었다.
반수체육종, 4, 8
62
7. 돌연변이육종 돌연변이육종은 교배육종이 어려운 ( )에 유리하다.
영양번식작물
63
7. 돌연변이육종 영양번식작물의 ( )는 조직의 일부 세포에 생기므로 정상조직과 변이조직에 함께 있게 되는데 이를 ( )라고 한다.
체세포 돌연변이, 키메라
64
7. 돌연변이육종 영양번식작물의 체세포돌연변이는 조직의 ( )에 생기므로 ( )과 ( )이 함께 있게 되는데 이를 키메라라고 한다.
일부 세포, 정상조직, 변이조직
65
8. 생물공학적 작물육종 - 1) 조직배양 식물의 조직배양은 세포가 가지고 있는 ( )을 이용하여 ( ),( ),( ) 등으로 부터 완전히 식물체를 ( )시키는 배양기술이다. 조직배양은 ( ),( ),( ) 등에 이용된다.
전형성능, 세포, 조직, 기관, 재분화, 바이러스무병묘 생산, 인공종자 개발, 유용물질 생산
66
8. 생물공학적 작물육종 - 1) 조직배양 종'속간 잡종의 육성은 ( )으로 얻은 잡종의 ( )이나 ( )또는 ( )을 통해 F1종자를 얻을 수 있다.
기내수정, 배배양, 배주배양, 자방배양
67
기내수정은 ( )에서 ( )의 노출된 ( )에 직접 ( )을 수분시켜 수정하도록 하는 것
기내, 자방, 배주, 화분
68
8. 생물공학적 작물육종 - 1) 조직배양 인공종자는 ( )의 조직배양으로 유기된 ( )를 ( )에 넣어 만든다. 특정 식물의 세포나 조직을 ( )에서 배양하면 유용 ( )을 대량생산할 수 있다.
체세포, 체세포배, 캡슐, 생물반응기, 2차대사물질
69
8. 생물공학적 작물육종 - 2) 세포융합 세포융합은 ( )를 융합시키고 ( )를 배양하여 식물체를 ( )시키는 기술이다.
나출원형질체, 융합세포, 재분화
70
나출원형질체는 ( ), ( ) 등을처리하여 ( )를 제거시킨 ( )이다.
펙티나아제, 셀룰라아제, 세포벽, 원형질체
71
8. 생물공학적 작물육종 - 3) 유전자 전환 유전자 전환은 다른생물의 ( ) 또는 합성된 외래 유전자를 ( ) 또는 ( )에 의해 목표식물로 직접 도입하여 ( )을 육성하는 기술로서, 이 기술을 이용하는 육종을 ( )이라고 한다.
유전자, 유전자 운반체, 물리적 방법, 형질전환식물, 형질전환육종
72
8. 생물공학적 작물육종 - 3) 유전자 전환 형질전환육종 4단계 제1단게 : 원하는 ( )를 분리하여 ( )하는 것 제2단계 : ( )한 유전자를 ( )에 재조합하여 식물세포에 도입하는 것 제3단계 : ( )를 도입한식물세포를 증식하고, 식물체로 재분화시켜 ( )을 선발하는 것 제4단계 : 형질전환식물의 특성을 평가하여 ( )으로 육성하는 것
유전자, 클로닝, 클로닝, 벡터, 재조합 DNA, 형질전환식물, 신품종
73
8. 생물공학적 작물육종 - 3) 유전자 전환 형질전환품종의 예시는 내충성 품종은 ( )를 도입, 형질전환품종은 토마토의 ( )이다.
Bt 유전자, 플레이버세이버
74
8. 생물공학적 작물육종 - 4) 신육종기술 신육종기술은 ( )의 안전성 논란을 회피하거나 완화할 수 있는 기술로서, 최종적으로 개발된 식물에 외부에서 도입된 유전자가 존재하지 않지만 개선된 특성을 갖는 품종개발 기술을 말한다.
형질전환품종
75
8. 생물공학적 작물육종 - 4) 신육종기술 유전자가위기술은 ( )의 대표적인 시스템으로 식물의 특정 부위 DNA를 ( ),( ),( )하는 것으로 우수한형질을 도입하거나 열악한 형질을 제거하는 등 기존전통육종의 한계를 극복하는 기술이다.
SDN, 제거, 수정, 삽입
76
1. 신품종의 등록과 특성유지 - 1) 신품종의 등록과 보호 신품종에 대한 ( )을 설정 등록마녀 식물신품종보호법에 의해 '( )의 ( )'를 20년간/ 과수와 임목은 25년간 보장받는다. 법적으로 보호받는 품종은 '( )'라고 부른다.
품종보호권, 육성자, 권리, 보호품종
77
1. 신푸종의 드록과 특성유지 - 1) 신품종의 등록과 보호 ( )은 국제식물신품종보호협약에 따라 설립되었으며, 식물 신품종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식물신품종보호제도를 발전시키고 확산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02년1월 7일에 가입했다.
국제식물신품종보호연맹
78
2. 신품종의 종자증식과 보급 우리나라 종자증식체계는 ( )->( )->( )->( )이다.
기본식물, 원원종, 원종, 보급종
79
2. 신품종의 종자증식과 보급 기본식물의 채종재배는 ( ), 원원종의 채종재배는 ( ), 원종의 채종재배는 ( ), 보급종의 채종재배는 ( )이다.
기본식물 양성포, 원원종포, 원종포, 채종포
80
1. 유전자원의 의의 유전자원을 이용하여 많은 우량품종을 육성했다. 그 결과 유전적으로 다양한재래종이 급속히 사라지게 되었다. 이를 ( )라고 한다.
유전자 침식
81
2. 유전자원의 수집과 이용'보존 유전자원의 탐색'수집 및 이용을 위한세계적 조직망으로 ( )가 설치되었다.
국제식물유전자원연구소(IPG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