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팔만대장경 만든 이유
민심을 모으고 불교의 힘으로 몽골의 침입을 물리치기 위해서
2
공민왕의 자주개혁
1 친원세력을 제거 했다 2 쌍성총관부를 공격하여 동북쪽 영토를 되찾았다 3 정동행성이문소를 폐지 했다 4 고려 왕실 호칭과 관청의 옛 제도 복구 5 원의 풍습 금지
3
공민왕의 내정개혁
1 성균관 정비 2 전민병점도감을 설치하여 권민세족이 뺏은 토지와 노비 원래 주인에게 돌려주고 강제 노비가 된 사람들 해방 시켜주었다 3 유학교육을 강화 하여 개혁을 뒷받침할 세력을 양성 했다
4
신진사대부 특징
성리학을 학문적 기반으로 삼았으며, 불교를 반대했다.원과 외교관계 회복을 반대 하였고, 원과 명 교체기에서 원을 배척하고 명과 화친할 것을 주장 하였다
5
태종
1 국왕 중심의 정치를 지향 2 사병 혁파 3 호패법 실시 4 인구 파악
6
세종
1 훈민정음 반포 2 집현전 설치 3 의정부 권한 강화 4 세금 제도 정비 5 경연제도 실시 6 국가 의례 정비
7
세조
1 집현전 폐지 2 직전법 시행 3 의정부 권한 약화 4 경연금지 5 경국대전 편찬 시작
8
성종
1 홍문관 설치 2 의정부 권한 강화 3 경국대전 완성 4 경연 재개 5 유교 중심의 국가 통치 질서 확립
9
영조
1 균역법 시행 2 탕평책 시행 3 청계천 정비 4 서원 정리 5 신문고 부활 6 가혹한 형벌 금지 7 속대전 편찬 8 이조 전랑의 인사 권한 약화
10
정조
1 탕평책 시행 2 규장각 설치 3 장용영 설치 4 수원화성 건설 5 노비 처지 개선 6 자유로운 상업 보장 7 대전통편과 탁지지 편찬 8 서얼 등용
11
무오사화
훈구세력이 사초에 실린 김종직의 조의제문을 문제 삼아 사림을 제거 함
12
갑자사화
연산군이 친어머니의 폐위와 관련된 사람들을 제거하면서 훈구세력과 함께 사림도 피해 입음
13
기묘사화
조광조의 급진적인 개혁에 부담을 느낀 중종은 훈구세력과 손을 잡고 조광조를 비롯한 사림세력을 제거 함
14
을사사화
왕의 외척 세력 간에 발생한 권력 다툼에 휩쓸려 다시 큰 피해를 입음
15
향약의 성격
이웃끼리 서로 돕는 풍속에 유교윤리를 더한 향촌자치규약
16
향약의 보급 의의
지방 농민들을 성리럭 윤리에 맞춰 규율 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사림은 향촌에서 영향력을 넓혀 나갔다
17
훈민정음 특징
28자로 되어 있으며 독창적이고 과학적이다 누구나 쉽게 우리말을 소리 나는 대로 적을 수 있다
18
훈민정음 창제 의의
백성은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글로 쉽게 표현 할 수 있었고 정부는 백성에게 국가통치 이념을 쉽게 전달 할 수 있었다
19
유교윤리 보급
성리학을 통치 이념으로 삼은 조선은 유교적 사회 질서를 확립하고자 유교이념을 보급 하였다.
20
광해군 정치
강성해진 후금과 쇠퇴한 명 사이에서 중립외교 정책을 펼쳤다.
21
정묘호란의 배경
인조와 서인정권은 후금을 배척하고 명을 가까이 하는 친명대금 정책을 펼쳤다.
22
예송이란?
현종때 왕실 의례인 상복 입는 기간을 둘러싼 대립
23
환국이란?
숙종이 집권붕당을 급격히 교체하는 것
24
세도정치 폐단
1. 왕권이 크게 약화 2. 정치 기강이 문란해짐 3. 안동김씨, 풍양조씨 등의 세도가문이 국가 최고 기구 비변사와 주요 관직 차지 4.부패한 관직들이 백성을 수탈함 5. 관직을 사고 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