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건축물에 고정되는 본체부와 제거할 수 있거나 개폐할 수 있는 커버고 이루어지며 절연전선, 케이블 및 코드를 완전하게 수용할 수 있는 구조의 배선설비의 명칭은?
케이블트렁킹
2
금속 전선관을 박스에 고정시킬 때 사용되는 것은?
로크너트
3
1종 가요전선관을 구부리는 경우의 곡률 반지름은 관안지름의 몇배 이상으로 하여야하는가?
6배
4
옥내배선의 은폐 또는 건조하고 전개된 곳의 노출공사에 사용하는 애자는?
놉(노브) 애자
5
고압 보안공사 시 고압가공전선로의 경간은 철탑의 경우 얼마 이하이어야 하는가?
400m
6
지지물의 지선에 연선을 사용하는 경우 소선 몇가닥 이상의 연선을 사용하는가?
3가닥
7
천장에 작은 구멍을 뚫어 그 속에 등기구를 매입시키는 방식으로 건축의 공간을 유효하게 하는 조명방식은?
다운라이트방식
8
전선의 접속 시 전선의 세기를 % 이상 감소시키면 안되는가?
20%
9
지중에 매설되어 있는 금속제 수도관로는 접지공사의 접지극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수도관로은 대지와 전기저항치가 몇 옴 이하이어야 하는가?
3Ω
10
수변전설비에서 차단기의 종류 중 가스 차단기에 들어가는 가스의 종류는?
육불화황(SF6)
11
권상기, 기중기 등으로 물건을 내릴 때와 같이 전동기가 가지는 운동에너지로 발전기를 동작시켜 발생한 전력을 반환시켜 제동하는 방식은?
회생제동
12
관과 박스 간의 연결 부품
커넥터
13
금속몰드 공사, 합성수지 몰드 공사 시 사용전압은 몇 V 미만이어야 하는가?
400V
14
옥내 배선을 합성 수지관 공사에 의하여 실시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단선의 최대 굵기는?
10mm
15
개폐기 및 과전류 차단기는 저압 옥내 간선과의 분기시점에 전선의 길이는 몇 m 이하의 곳에 시설하여야하는가?
3m
16
교통신호등의 제어장치로부터 신호등의 전구까지의 전로에 사용하는 전압은 몇 V 이하인가?
300V
17
기동 토크가 대단히 작고 역률과 효율이 낮으며 가정용 선풍기, 헤어드라이기 등 소형 전동기에 널리 사용되는 단상 유도 전동기는?
세이딩코일형전동기
18
비교적 장력이 적고 다른 종류의 지선을 시설할 수 없는 경우에 적용하며 지선용 근가를 지지물 근원 가까이 매설하여 시설하는 지선은?
궁지선
19
가요전선관 상호접속에은 무엇를 사용하는가?
스플릿커플링
20
단면적 10mm제곱 이상의 단선 직선접속 및 분기접속에 사용되는 접속 방법은?
브라타니어접속
21
금속관 공사에서 금속관을 콘크리트에 매설할 경우 관의 두께는 몇 mm 이상의 것이어야 하는가?
1.2mm
22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 기준에서 교통신호등 회로의 사용전압이 몇 V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지락 발생 시 자동적으로 전로를 차단하는 장치를 시설하여하는가?
150V
23
금속 전선관 공사 시 노크아웃 구멍이 금속관보다 클 때 사용되는 접속기구는?
링리듀서
24
직류 전동기의 속도 제어 방법 중 속도제어가 원할하고 정 토크 제어가 되며 운전 효율이 좋은 제어 방법은?
전압제어
25
단면적 6mm제곱 이하의 단선 직선접속 및 분기접속에 사용되는 접속 방법은?
트위스트접속
26
지중선로에 사용되는 케이블 중 고압용으로 적합한 케이블은?
콤바인덕트(CD) 케이블
27
금속관 내의 같은 굵기의 전선을 넣을 때는 절연전선의 피복을 포함한 총 단면적이 금속관 내부 단면적의 몇 % 이하 이어야 하는가?
48%
28
옥내의 저압전로와 대지 사이 절연 저항 또는 전기 기기의 절연 저항을 측정할 때 사용하는 도구은?
메거측정기
29
전기공사에서 접지저항을 측정할 때 사용하는 측정기는?
어스테스터
30
관 상호간접속 부품?
커플링
31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에서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에 하중이 가하여지는 경우 그 하중을 받는 지지물 기초의 안전율은 얼마 이상인가?
2
32
엘리베이터장치를 시설할 때 승강기 내에서 사용하는 전등 및 전기기계기구에 사용할 수 있는 최대 전압은?
400V
33
사람이 접촉될 우려가 있는 것으로서 가요전선관을 새들 등으로 지지하는 경우 지지점간의 거리는 얼마 이하이어야 하는가?
1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