暗記メーカー
ログイン
삼성 20년 무선 중급
  • sun red

  • 問題数 45 • 2/8/2024

    記憶度

    完璧

    6

    覚えた

    17

    うろ覚え

    0

    苦手

    0

    未解答

    0

    アカウント登録して、解答結果を保存しよう

    問題一覧

  • 1

    문제 1 삼성 LSM 에서 제공하는 기능이 아닌 것은? 보기: 1. 스펙트럼 분석 기능 2. 호추적 기능 3. Sleeping Cell 기능 4. 과부하 자동 분산 기능

    4. 과부하 자동 분산 기능

  • 2

    문제 2번 메인보드 장애 시, 현장 점검 순서로 가장 알맞게 나열한 것은? 보기: 1. Optical Module 상태확인 - OJC연결 상태확인 - UMP 탈실장 - 메인보드 교체 2. OJC 연결 상태를 확인- Optical Module - UMP상태확인- 탈실장 메인보드 교체 3. UMP 탈실장- Optical Module 상태확인 OJC 연결 상태 확인 - 메인보드 교체 4. OJC 연결 상태를 확인- UMP 탈실장- Optical Module 상태확인 - 메인보드 교체

    1. Optical Module 상태확인 - OJC연결 상태확인 - UMP 탈실장 - 메인보드 교체

  • 3

    문제 3번 RLF 발생으로 Reestablishment 발생하는 경우가 아닌 것은? 보기: 1. DL out of sync 2. Random access fail 3. RLC max retransmission fail 4. T300

    4. T300

  • 4

    문제 4번 NB-IoT 설명 중 틀린 것은? 보기: 1. Coverage Level 기준값은 SIB2에 nprach-Config내 rsrp-ThresholdPrachlnfoList 값으로 확인 가능하다 2. NB-loT 단말은 Threshold값을 기준으로 자신의 RSRP 값을 측정하여, 자신의 Coverage Level을 판단한다. 3. 초기 Initial RACH 후에 UL 데이터 전송을 위해 별도의 RACH를 전송하지 않는다 4. NB-loT 커버리지 환경에 따라 Coverage Level은 0,1,2로 구분되어 있다.

    3. 초기 Initial RACH 후에 UL 데이터 전송을 위해 별도의 RACH를 전송하지 않는다

  • 5

    문제 5번 OFDM에서의 간섭 특성을 맞게 설명한 것은? 보기: 1. OFDM의 특성상 셀 내의 간섭이 셀 경계의 간섭보다 우세하다 2. ISI는 심볼간의 간섭을 의미하며 주로 기지국 경계에서 발생한다 3. ICI는 Carrier 간의 간섭을 의미하며 Handover 지역에서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하므로 발생한다 4. 일반적으로 ICI에 의한 간섭보다는 심볼간의 간섭이 더 빈번하게 발생한다.

    3. ICI는 Carrier 간의 간섭을 의미하며 Handover 지역에서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하므로 발생한다

  • 6

    문제 6번 5G Beam Failure Recovery Process에 올바른 순서로 나열한 것은? (i)Beam Failure Detection (ii) Beam Failure Recovery Request (iii) Beam Failure Recovery Response (iv) New Candidate Beam Identification 보기: 1. (i)->(ii) ->(iii) -> (iv) 2. (i) -> (ii) -> (iv) -> (iii) 3. (i) -> (iv) -> (ii) -> (iii) 4. (ii) -> (i) -> (iii) -> (iv)

    3. (i) -> (iv) -> (ii) -> (iii)

  • 7

    문제 7번 LTE RRH Tx Mode중 지원하지 않는 것을 고르시오. 보기: 1. 2X2 MIMO 2. SIMO 3. 4X4 MIMO 4. SISO

    3. 4X4 MIMO

  • 8

    문제 8번 다음 Software Block중 "UMP Block"에 해당하는 보드를 고르시오. 1. LMA2 2. L9CA 3. LCA2 4. LCC

    1. LMA2

  • 9

    문제 9번 삼성 Main 프로세서 보드의 환경변수중 LSM 입장에서 해당 DU를 인식할수 있는 변수를 고르시오. 보기: 1. eNB GW IP설정 2. NM(Netmask) 26 설정 3. eNB IP설정 4. NE ID 설정

    4. NE ID 설정

  • 10

    문제 10번 다음중 UMP Port Down 과 관련 없는 것을 고르시오 보기: 1. SECM 2. UAMA 3. UDE0 4. LCA2

    4. LCA2

  • 11

    문제 11번 Cat.M1의 Handover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보기: 1. RRC Reconfiguration 메시지로 Event A2 설정값을 받고, Serving cell의 RSRP가 조건을 만족하면 MR을 전송한다 2. A2 이벤트가 발생하면 eNB는 RRC Reconfiguration으로 A3 설정값을 내린다 3. A3 기준에 맞게 Target 셀의 신호가 Serving 셀 보다 Offset값 만큼 좋으면 A3 MR을 전송한다 4. A3 동작 진행 시 measurement gap 동작으로 하지만, 속도 저하는 발생하지 않는다

    4. A3 동작 진행 시 measurement gap 동작으로 하지만, 속도 저하는 발생하지 않는다

  • 12

    문제 12번 VOLTE 호처리 단계에서 전화를 종료할 때 보내는 SIP 메세지는? 보기: 1. CANCEL 2. 180 Ringing 3. 200OK 4. BYE

    4. BYE

  • 13

    문제 13번 MAC layer의 역할이 아닌 것은? 보기: 1. HARQ 2. Uplink timing maintenance 3. Security 4. Scheduling

    3. Security

  • 14

    문제 14번 3CA를 위해서 추가되어야 하는 PUCCH format은? 보기: 1. Format 1 2. Format 2 3. Format 2a 4. Format 3

    4. Format 3

  • 15

    문제 15번 5G NR의 대표기술인 Massive MIMO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보기: 1. 이론적으로 최대 32TRX까지 가능하여 LTE 2x2 MIMO대비 5배 빠른 다운로드 속도를 낼 수 있다 2.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하기 위하여 수십 개 이상의 안테나를 사용하는 다중 입출력(MIMO) 기술이다 3. 안테나의 전력과 위상을 제어하는 빔포밍 기술을 통해 전송되는 전파(빔)를 원하는 곳에만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4. 다중 안테나에서 단말별로 좁은 빔을 형성하여 동시에 여러 단말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이다.

    1. 이론적으로 최대 32TRX까지 가능하여 LTE 2x2 MIMO대비 5배 빠른 다운로드 속도를 낼 수 있다

  • 16

    문제 16번 5G Uplink timing correction 기능을 수행하는 Layer는 ? 보기: 1. PDCP layer 2. RLC layer 3. MAC layer 4. PHY layer

    3. MAC layer

  • 17

    문제 17번 LTE와 5G 요구사항이 올바른지 않은 것은 ? 보기: 1. DL Peak 속도 : 4G 1Gbps, 5G 20Gbps 2. Edge Tput(체감 속도): 4G 1Mbps 5G 10Mbps 3. Latency : 4G 10ms, 5G 1ms 4. 고속이동 속도 : 4G 350(km/h), 5G 500(km/h)

    2. Edge Tput(체감 속도): 4G 1Mbps 5G 10Mbps

  • 18

    문제 18 Old RRH에서 장비 출력을 확인하는 명령어를 고르시오 보기: 1. arm 2. sts 3. ruid 4. rrhtype

    2. sts

  • 19

    문제 19번 NFC(Near Field Communication)의 설명중 다른 것은? 보기: 1. 13.56[MHz] 주파수 대역을 대역을 사용한다 2. Bluetooth에 비해 통신설정 시간이 길다 3. 전송거리가 10[cm] 이내이다 4. P2P(Peer-to-Peer)기능이 가능하다.

    2. Bluetooth에 비해 통신설정 시간이 길다

  • 20

    문제 20번 LTE Uplink 변조 방식으로 사용 불가능한 것은? 보기: 1. QPSK 2. 16QAM 3. 64QAM 4. 256QAM

    4. 256QAM

  • 21

    문제 21번 Downlink 채널 중 SIB 를 전송하는 채널은 무엇인가? 보기: 1. PDCCH 2. PDSCH 3. PRACH 4. PBCH

    2. PDSCH

  • 22

    문제 22번 삼성 SON 기능에서 제공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보기: 1. Energy Saving 기능 2. ANR 기능 3. PCI 자동할당 기능 4. eNB IP (DHCP) 자동 할당 기능

    4. eNB IP (DHCP) 자동 할당 기능

  • 23

    문제 23번 eNB 가 MME Communication 알람을 검출하는 통신 규격은? 보기: 1. SCTP 2. SNMP 3. RSVP 4. SSH

    1. SCTP

  • 24

    문제 24번 eNB 의 Keep Alive message Alarm 이 아닌 것은? 보기: 1. MME Communication Fail 2. SNMP DOWN 3. FAN FAIL 4. DSP FAIL

    3. FAN FAIL

  • 25

    문제 25번 단말이 Cell Reselection시 고려하는 parameter? 보기: 1. Qrxlevmin 2. Qhyst 3. Threshx.lower 4. PDCP Discard Timer

    2. Qhyst

  • 26

    문제 26번 삼성 eNB 에서 현재 지원하지 않는 기술은? 보기: 1. Uplink Carrier Aggregation 2. Uplink CoMP(Coo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 Reception) 3. Uplink 64QAM 4. Uplink 256QAM

    4. Uplink 256QAM

  • 27

    문제 27번 LTE Uplink에서는 OFDM 기술의 PAPR 한계로 인해 사용하는 무선 접속 방식은? 보기: 1. FDMA 2. CDMA 3. OFDMA 4. SC-FDMA

    4. SC-FDMA

  • 28

    문제 28번 삼성 DU 와 채널카드의 사용 조합으로 틀린것은? 보기: 1. DU15-L9CA 2. DU25-LCC 3. DU25-LCA 4. DU30-LCC

    1. DU15-L9CA

  • 29

    문제 29번 삼성 RRH 장비에 설정된 RSSI High 알람 임계치는? 보기: 1. -75dBm 2. -80dBm 3. -85dBm 4. -95dBm

    1. -75dBm

  • 30

    문제 30번 eNB단독일체형 DU의 채널카드에서 제공되는 광port1(CPRI)수량은? 보기: 1. 4 2. 6 3. 10 4. 12

    4. 12

  • 31

    문제 31번 삼성 LSM 에서 제공하는 자동 진단 기능이 아닌 것은? 보기: 1. PSU Battery 자동 진단 기능 2. Ping Test 기능 3. RRH VSWR 기능 4. Backhaul Test 기능

    4. Backhaul Test 기능

  • 32

    문제 32번 RRH 장애 발생 시, 현장 방문 전 점검 조치가 아닌 것은? 보기: 1. 알람 발생 전후의 LSM 로그 및 상태 확인 2. RRH의 펨웨어 확인 3. 상위 알람 발생 여부 4. 해당 시료 불량 이력 점검

    4. 해당 시료 불량 이력 점검

  • 33

    문제 33번 자사 LTE ICS 중계기의 시스템 지연 규격은 LTE Normal CP 이내의 범위에서 규정되었다. LTE ICS 중계기의 시스템 지 연 규격은? 보기: 1. 전파지연 없어야함 2. 3.5 [us] 이내 3. 5.2 [us] 이내 4. 7.4 [us] 이내

    2. 3.5 [us] 이내

  • 34

    문제 34번 LTE광중계기 Slave PLL Alarm #1 장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보기: 1. 500msec 주기로 850M Path #1 RFU 모듈에서 PLL UNLOCK 발생을 감시하여, 3초 유지 시 발생 한다. 2. su GUI 1.8G 상태창을 통해 1.8G PLL unlock 발생 위치(FWD, RVS) 확인 한다. 3. RVS PLL의 경우 MU RVS Port를 활용하여 출력 파형 점검 한다. 4. FWD PLL의 경우 SU 모니터링 Port #1를 활용하여 출력 파형 점검 한다.

    1. 500msec 주기로 850M Path #1 RFU 모듈에서 PLL UNLOCK 발생을 감시하여, 3초 유지 시 발생 한다.

  • 35

    문제 35번 ICS중계기의 Gain이 95dB일 경우 설치 가능한 안테나간 Isolation은? 보기: 1. 70dB 2. 75dB 3. 80dB 4. 90dB

    3. 80dB

  • 36

    문제 36번 다음 중 각 장비의 최대출력이 잘못된 장비는? 보기: 1. IBS중형2 FWD 33dBm 2. IBS소형2 FWD 20dBm 3. IBS대형2 RVS 33dBm 4. lBS중형2 RVS 27dBm

    3. IBS대형2 RVS 33dBm

  • 37

    문제 37번 LTE광중계기 Slave(4G) HPA VSWR Alarm #1 장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보기: 1. 500msec 주기로 850M Output Port#1의 반사계수를 감시하여 기준값 보다 높은 레벨 검출 시 발생한다. 2. Term 체결 후 알람 지속인 경우 장비불량으로 장비 교체 한다. 3. Term 체결 후 알람 해지된 경우 안테나/케이블 불량으로 교체 한다. 4. Term을 이용한 SU 장비 불량 상태 확인할 시에는 850M HPA ON 상태에서 안테나 포트 케이블 제거를 먼저 진행 한다.

    4. Term을 이용한 SU 장비 불량 상태 확인할 시에는 850M HPA ON 상태에서 안테나 포트 케이블 제거를 먼저 진행 한다.

  • 38

    문제 38번 PIMD(Passive Intermodulation Distortion)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보기: 1. 상호 다른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통신 시스템간의 간섭은 발생 가능성이 매우 낮다 2. 인빌딩 공용화 설계 시 초단 분배기에 공용화 함으로써 2차 IMD 영향을 최소화 한다 3. 자사 단독 인빌딩의 경우는 PIMD 이슈는 없다. 4. RF 소자에서 2 tone 이상의 신호를 인가할 때 경로상에 비선형 매질이 존재함으로 발생하는 상호변조 왜곡신호를 나타내는 지표 이다

    4. RF 소자에서 2 tone 이상의 신호를 인가할 때 경로상에 비선형 매질이 존재함으로 발생하는 상호변조 왜곡신호를 나타내는 지표 이다

  • 39

    문제 39번 5G광중계기 ID 생성 시 중계기 접두사로 맞는 것은? 보기: 1. F1 2. F2 3. F3 4. FO

    1. F1

  • 40

    문제 40번 LTE 2.6G 주파수대역 입니다. 괄호안의 주파수를 적으시오 - FWD 주파수 대역 ( )MHz ~( )MHz - RVS 주파수 대역 ( )MHz ~( )MHz 1. 2650~2670, 2520~2540 2. 2640~2660, 2520~2540 3. 2650~2670, 2530~2540 4. 2640~2660, 2530~2540

    2. 2640~2660, 2520~2540

  • 41

    문제 41번 무선국검사 항목 중 인접채널누설전력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것은? 보기: 1. 할당받은 주파수 범위 내에서 서비스를 해야 함 2. Reference Signal 주파수의 오차가 +- 0. 1ppm 이내이어야 함 3. 서비스 대역과 좌/우측 대역 간의 출력 비율이 45dB 이상이어야 함 4. 02차 하모닉의 출력이 -13dBm/MHz 이하이어야 함

    3. 서비스 대역과 좌/우측 대역 간의 출력 비율이 45dB 이상이어야 함

  • 42

    문제 42번 QDOR2344의 주파수별 서비스 BW가 다른 하나는? 보기: 1. 850M-10MHz 2. 2.1G-20MHz 3. 1.8G 10Mhz 4. 2.6G-20MHz

    2. 2.1G-20MHz

  • 43

    문제 43번 RF중계기가 켜진 후, RASS 상위단으로 최초로 전송하는 정보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보기: 1. Initial Data 2. ldle Data 3. Control Data 4. Remote Data

    1. Initial Data

  • 44

    문제 44번 자사 기준 광대역(2.6G, 2.1G)에서 협대역(850M)으로 Inter Frequency Handover 임계치는(Data, VOLTE)? 보기: 1. -128, -128 2. -128, -114 3. -120, -114 4. -114, -108

    4. -114, -108

  • 45

    문제 45번 2.6G 서비스 장비가 아닌 것은? 보기: 1. QDOR2344 2. CPRI중계기 3. 광대역초소형 4. ITDOR2340

    4. ITDOR2340

  • 46

    문제 46번 800Mhz LTE 무선구조에서 전체 10MHz중 총 Guard Band 주파수대역폭으로 맞는것은? 보기: 1. 200KHz 2. 500KHz 3. 1MHZ 4. 2MHz

    3. 1MHZ

  • 47

    문제 47번 RF중계기 IDLE 보고 시에 확인할 수 있는 LTE RASS 관련 항목이 아닌 것은? 보기: 1. LTE RASS 사용 여부 2. LTE RASS 모뎀 IP주소 3. LTE Category 버전 정보 4. LTE RASS MIN번호

    4. LTE RASS MIN번호

  • 48

    문제 48번 RF중계기에서 과입력이나 발진으로 인해 과출력이 유지되는 경우 장비에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이 때 출력 OFF, ON 을 반복하며 출력 안정화 또는 최종으로 출력을 OFF하는 기능이 있는데 이 기능의 명칭은? 보기: 1. PSU 자동 리셋 기능 2. ALC 기능 (Auto Level Control) 3. shutdown 기능 4. 주기적 IDLE 보고 기능

    3. shutdown 기능

  • 49

    문제 49번 다음중 정전시 백업 배터리로 인해 서비스가 유지가 가능한 장비는? 보기: 1. UDOR100 2. UDOR40 3. IBS소형2 4. USOR5s

    1. UDOR100

  • 50

    문제 50번 USOR55 서비스대역 중 Band 5의 최대 출력은? 보기: 1. 5W 2. 10W 3. 20W 4. 40W

    1. 5W

  • 51

    문제 51번 NSA 방식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 보기: 1. 제어 채널은 4G LTE 망, 데이터 채널은 4G/5G 망으로 주고 받는다 2. 4G Core에 LTE를 anchor로 사용하기 때문에 초기 망 구성시 core 장비 투자가 필요 없다. 3. 4G 와 5G가 동일한 기지국으로 운영해야만 호가 가능하다 4. 4G 와 5G가 동일한 기지국으로 운영하지 않아도 호가 가능하다

    3. 4G 와 5G가 동일한 기지국으로 운영해야만 호가 가능하다

  • 52

    문제 52번 무선 신호 단위인 dBi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보기: 1. 전력 1mW 기준으로 한 dB 단위 2. 전력 1W 기준으로 한 dB.단위 3. isotropic ANT를 기준으로 한 ANT Gain 측정단위 4. 반파장 Dipole ANT를 기준으로 한 ANT Gain 측정단위

    3. isotropic ANT를 기준으로 한 ANT Gain 측정단위

  • 53

    문제 53번 다음 중 자사가 운용중인 이동통신 중계기군이 아닌것은 ? 보기: 1. 초소형 중계기 2. RF중계기 3. 광중계기 4. 위성중계기

    4. 위성중계기

  • 54

    문제 54번 정전국소에 대한 비상발전차량 연결 장애 복구 방법 중 옳은것은? 보기: 1. '비상발전단자대 미설치국소'는 한전계량기 옆 차단기를 활용한다. 2. 비상발전차량에서 공급되는 전원은 삼상전원만 사용가능하다. 3. 비상발전차량 용량 부족시 2대를 병렬연결해서 비상전원공급이 가능하다. 4. 비상발전차량 연결시 한전측 차단기를 ON하여 복전 즉시 한전전원이 투입되도록 한다.

    1. '비상발전단자대 미설치국소'는 한전계량기 옆 차단기를 활용한다.

  • 55

    문제 55번 한전과 수용가의 전기접속점으로 전기사고시 책임 구분을 하기 위한 구간은 무엇인가? 보기: 1. 수용가 책임점 2. 책임 분계점 3. 한전 책임점 4. 한전고객접점

    2. 책임 분계점

  • 56

    문제 56번 다음중 종합국사의 축전지 반기점검 시 점검 항목이 아닌 것은? 보기: 1. 육안점검(배부름, 누액, 부식, 단자 크랙 등) 2. 분리 방전시험 3. 축전지 주변 온/습도 측정 4. 셀 단자 전압, 축전지 충전 전류측정

    2. 분리 방전시험

  • 57

    문제 57번 케이블이나 차단기 선정 시 고려사항이 아닌 것은? 보기: 1. 부하 정격전류 2. 허용전압강하 3. 케이블 포설길이 4. 케이블 절연체

    4. 케이블 절연체

  • 58

    문제 58번 원자핵의 구속력을 벗어나서 물질내에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는 것은? 보기: 1. 양자 2. 중성자 3. 분자 4. 자유전자

    4. 자유전자

  • 59

    문제 59번 교류회로에서 과전류가 발생할 경우 차단시켜주는 과전류 차단기는 어떤 계전기의 동작으로 트립(Trip)되는가? 보기: 1. OVR(Over Voltage Relay) 2. UVR(Under Voltage Relay) 3. OCR(Over Current Relay) 4. PDR(Power Directional Relay)

    3. OCR(Over Current Relay)

  • 60

    문제 60번 각각 용량이 다른 저항 A,B,C를 직렬 연결할 경우의 합성저항은? 보기: 1. AxBxC 2. 1/A x 1/B x 1/C 3. 1/A+ 1/B + 1/C 4. A+B+C

    4. A+B+C

  • 61

    문제 61번 옥내에 시설하는 저압전로와 대지사이에 절연저항을 측정하는 계기 명칭은? 보기: 1. 절연저항기(Megger) 2. 후크온메터(Hook-on Meter) 3. 회로시험기 4. 멀티테스터기

    1. 절연저항기(Megger)

  • 62

    문제 62번 송전단 전압과 수전단 전압과의 차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보기: 1. 전압강하율 2. 전압강하 3. 전압변동률 4. 불평형률

    2. 전압강하

  • 63

    문제 63번 12V 축전지 설치개소 중 주기교체 대상이 아닌곳은 ? 보기: 1. 통신국사 UPS용 2. 뱅크(DU) 3. HFC 4. VIP고객

    4. VIP고객

  • 64

    문제 64번 이동식(A형) 사다리 안전작업지침에 의할 경우 작업발판으로 사용 시 안전대(안전고리)를 착용해야 하는 작업발판 높이 기준은? 보기: 1. 1.0m 미만 2. 1.2m 미만 3. 1.2m 이상~ 2.0m 미만 4. 2.0m 이상~ 3.5m 이하

    4. 2.0m 이상~ 3.5m 이하

  • 65

    문제 65번 화재시 인명사고가 발생하는 주요 원인에 해당하는 것을 고르시오. 보기: 1. 패닉(심리적 공황) 2. 화염 3. 유독가스 4. 절단

    3. 유독가스

  • 66

    문제 66번 빈칸에 알맞은 단어를 고르시오. 작업 중, 작업 안전가이드를 준수하고 사고 발생 위험 판단시, 즉시 0000하고 안전조치 후, 안전이 확보된 이후에 작업을 재개한다. 보기: 1. 출입금지 2. 안전점검 3. 작업중지 4. 정리정돈

    3. 작업중지

  • 67

    문제 67번 자동소화장치 오동작 발생시 필수 대응장비로 올바르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보기: 1. 배풍기 2. 공기 호흡기 3. KF94 마스크 4. 복합가스농도 측정기

    3. KF94 마스크

  • 68

    문제 68번 화기 작업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보기: 1. 그라인더 작업 2. 용접작업 3. 연마 작업 4. 조립 작업

    4. 조립 작업

  • 69

    문제 69번 전기 작업 전 안전조치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을 고르시오. 보기: 1. 정전작업을 위한 전원 차단 가능 여부 확인 2. 일반 보호구 착용 3. 작업 구간 접근통제 실시 4. 안전 체크리스트 활용한 작업 전 안전점검 실시

    2. 일반 보호구 착용

  • 70

    문제 70번 다음 중 '협착'의 정의로 맞는 것을 고르시오 보기: 1. 기계의 구동부 사이 또는 움직이는 부분과 고정부분 사이에 신체 또는 신체 일부가 끼이거나 물리는 것 2. 사람이 거의 평면 또는 경사면, 층계 등에서 구르거나 넘어지는 것 3. 날아오거나 떨어지는 물체에 사람이 맞는 것 4. 사람이 인력에 의해 높은 장소에서 떨어 지는 것

    1. 기계의 구동부 사이 또는 움직이는 부분과 고정부분 사이에 신체 또는 신체 일부가 끼이거나 물리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