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사회적 존재의 뜻
인간은 혼자서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 사회에서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맺으며 실아감
2
사회화의 뜻
한 개인이 속한 사회의 언어, 규범, 가치관등을 배워나가는 과정
3
사회화의 기능 개인적 측면
자신의 독특한 개성과 자아 형성 사회생활에 필요한 행동 양식 및 규범 익힘 사회의 구성원으로 성장
4
사회화의 기능 사회적 측면
구성원들이 규범과 가치 공유, 다음 세대 전달, 사회 유지 및 발전
5
재사회화 뜻
성인이 된 후에도 사회의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새로운 지식과 생활양식 습득
6
청소년기 특징
급격한 신체 성장, 외모와 이성 관심 증가, 감정의 기복 심함, 충동적 행동, 정신적 독립
7
자아 정체성 뜻
다른 사람과 구별되는 자신만의 고유성을 깨닫고 자신이 누구인지 암
8
자아 정체성 중요성
개인의 삶 뿐만 아니라 사회에 영향
9
사회적 지위 뜻
개인이 사회나 집단 내에서 차지하는 위치
10
귀속지위 뜻
개인의 의지와 노력과는 상관없이 태어나면서 갖는 지위
11
성취지위 뜻
개인의 능력과 노력에 따라 얻게 되는 지위
12
사회적 역할 뜻
사회적 지위에 따라 기대되는 행동 양식
13
역할 갈등 뜻
한 개인이 가지는 둘 이상의 지위에 대해 각각의 역할이 동시에 요구되어 역할 간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 어떤 것을 우선해야 할지를 두고 갈등하는것
14
사회집단 뜻
둘 이상의 사람들이 소속감을 가지고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하며 살아가는 집단
15
1차 집단 뜻
구성원 간의 접촉이 잦고 강한 친밀감을 느끼는 집단
16
2차 집단 뜻
특정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형성된 집단
17
내집단 뜻
소속감이 있으며 우리라는 공동체 의식이 강하게 느껴지는 집단
18
외집단 뜻
소속되지 않으며 낯선 감정을 느끼는 집단
19
준거 집단 뜻
개인이 행동이나 판단을 할 때 기준으로 삼는 집단
20
차별과 갈등의 해결 방법 개인적 차원
서로의 차이 인정, 고정관념과 편견 버림, 타인을 존중하는 자세 가짐
21
차별과 갈등 해결 사회적 차원
사회적 약자를 위한 제도 마련, 복지 제도 마련
22
문화의 의미
한 사회의 구성원이 주위 환경에 적응하면서 만들어진 공통의 생활양식
23
문화의 보편성 뜻
어느 사회에서나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문화현상
24
문화의 다양성 뜻
사회마다 다양한 모습의 문화가 다르게 나타남
25
문화의 공유성 뜻
사람들은 특정한 상황에서 주위 사람들이 무엇을 기대하고 어떻게 행동할 지를 예측할 수 있다
26
문화의 학습성
문화는 자신이 속한 사회에서 성장하면서 후천적으로 익히는 것이다
27
문화의 축적성 뜻
문화는 다음세대로 전해지는 과정에서 기존의 문화에 새로운 지식이나 기술등이 더해져 쌓이면서 그내용이 풍부해지고 발전한다
28
문화의 변동성 뜻
문화는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한다
29
문화의 전체성 뜻
문화를 구성하는 요소들은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 하나의 체계를 이룬다
30
자문화 중심주의 뜻
자신의 문화는 우수하다고 보고 다른 문화를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태도
31
자문화 중심주의 장단점
자부심 강화, 구성원간 결속 강화, 사회 통합 국제적 고립, 발전 기회 잃음
32
문화 사대주의 뜻
다른 문화를 우수하다고 보고 동경하거나 추종하면서 자신의 문화를 열등하다고 여기는 태도
33
문화 사대주의 장단점
문화 발전의 계기가 됨 문화의 주체성 잃음, 고유 문화가 사라짐
34
문화 싱대주의 뜻
그 사회가 처한 특수한 환경과 사회적 맥락 속에서 이해하려는 태도
35
문화 상대주의 장점
다른 사람의 문화를 편견 없이 객관적으로 이해하게 도와줌, 문화의 다양성을 유지
36
극단적 문화 상대주의 뜻
인류의 보편적 가치나 인간의 존엄성을 훼손하는 문화는 인정해선 안된다
37
문화를 이해하는 바람직한 자세
총체적으로 바라보기, 다른 문화와 비교하여 이해하기, 상대성을 인정하고 다양성을 유지하기
38
대중 매체 뜻
다수의 사람들에게 대량의 정보를 동시에 전달하는 수단
39
대중 문화 뜻
대중이 즐기고 누리는 문화
40
정치 뜻
정치권력을 획득하고 행사하는 활동 사회구성원 간 대립과 갈등을 조정하는 활동
41
정치의 기능
대립과 갈등 조정, 사회 질서 유지, 사회 문제 해결책 마련, 사회의 방향 제시
42
국가의 역할
시민의 자유와 권리를 최대한 보장하면서 이해관계를 조정
43
시민의 역할
사회 문제 해결에 적극적 참여, 자신의 자유와 권리 행사, 타인 존중, 국가 기관 감시, 정책 비판
44
민주주의 뜻
다수의 국민이 나라를 다스리는 형태
45
민주주의의 이념
인간의 존엄성 실현, 자유 평등
46
자유
국가나 다른 사람에게 구속 받지 않고 자신이 원하는 대로 판단하여 행동할 수 있는 것
47
평등
모든 사람이 성별, 인종, 재산 신분 등에 의해 부당하게 차별받지 않고 동등하개 대우받는 것
48
민주 정치의 기본 원리
국민 주권의 원리, 국민 자치의 원리, 입헌주의의 원리, 권력 분립의 원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