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운동의 조절은 __ 조율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척수
2
____은 신호를 궁극적으로 중추신경계로 전달한다. ____은 중추신경계에서 말초신경계로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감각신경 운동신경
3
신경절이전 신경섬유와 신경절이후 신경섬유 사이의 신경전달 물질은 _____이다.
아세틸콜린
4
신경계는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로 구분된다. 말초신경계 중, 자율신경계는 '흥분성의 ____과 '억제성'의 ___으로 구분된다.
교감신경 / 부교감신경
5
ㄱ,ㄴ,ㄷ,ㄹ 에 들어갈 알맞는 시점은?
ㄱ. 안정시 ㄴ. 탈분극 ㄷ. 재분극 ㄹ. 과분극
6
신경섬유마디(node of Ranvier)에서 탈분극을 일으키고 빠르게 이동하는 전도양상을 ____라 한다.
도약전도
7
흥분성 - ___ 억제성 - ___
탈분극 재분극
8
근수축 시 근섬유의 길이 변화에 반응하여 근수축 미세 조절 감지기관
근방추
9
근수축 시 장력에 반응하여 과도한 장력으로 인한 근 손상 예방
골지건기관
10
다음 설명하는 호르몬을 답하시오. - 지방세포에서 분비됨. - 기초대사율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짐. - 포만감을 유발함으로써 칼로리 섭취를 줄이는데 도움이 됨.
렙틴
11
산-염기 조절에 관여하는 완충계는 무엇인가?
1차 : 근세포내 2차 : 혈액, 호흡보상
12
호흡 시 혈액 내의 이산화탄소를 폐로 운반하는 방법은? (3)
1. 혈장 내에 용해되어 운반 2. 헤모글로빈과 결합하여 운반 3. 중탄산염 형태로 운반
13
근육세포 내에서 산소를 운반하는 물질은?
마이오글로빈
14
환기량은 ____가 증가함에 따라 비직선적으로 증가한다
운동 강도
15
운동의 종류에는 ____와 ____가 있다. 이것의 특징은?
1. 최대하 운동 - 유산소운동 2. 최대운동 - 무산소운동
16
폐포에서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가스교환은 어떠한 물질운반 형태인가?
확산작용
17
안정 시 흡기는 흡기에 동원되는 호흡근(횡경막, 외늑간근)의 ______ 으로 일어난다. 안정시 호기는 흡기 시 ___했던 호흡근이 ___되면서 ___으로 일어난다.
능동적인 수축 / 수축 / 이완 / 수동적
18
폐활량의 개념은 무엇인가?
최대 흡기 후 최대 호기량
19
걷기나 달리기같은 중강도 심폐지구력 운동은 _____의 활동을 증가시켜 체지방을 줄이는데 도움이 된다.
유리지방산
20
근력 향상에 영향을 주는 요인 3가지
1. 동원되는 운동단위 수의 증가 2. a-운동뉴런의 신경자극전달 증가 3. 근섬유횡단면적의 증가에 의한 근비대
21
지연성 근통증(DOMS)의 발생 과정은? 격렬한 운동 -> ( ) -> ( ) -> ( ) -> ( ) -> 부종과 통증
손상(파괴) / Ca+ / 히스타민 / 염증반응
22
근력을 결정하는 요인(근력조절기전) // 근력의 결정요인
1. 운동단위 수, 크기, 형태 2. 신경자극 빈도, 크기 3. *근섬유의 초기길이 -> 너무 길어도 or 짧아도 x 적절해야함. 1. 근육의 단면적 2. 근섬유의 종류 3. 관절의 각도
23
신전-단축 주기의 원리란 무엇이며 이를 이용한 트레이닝 방법의 명칭은?
신장성 수축시 탄성E 저장 후 단축성 수축시 이를 활용하는것 플라이오메트릭
24
평균동맥혈압의 공식은? 뜻은?
(수축기 혈압 - 이완기혈압) X 1/3 + 이완기혈압 심장주기동안 수축기와 이완기 혈압의 평균 압력
25
호흡교환율에 대한 설명이다. 다음 빈 칸에 알맞는 단어를 넣으시오 - ___을 100% 사용했을때의 호흡교환율은 0.7 이다. <-> ___을 100% 사용했을때의 호흡교환율은 1.0이다. - 운동강도가 올라가면 RER은 ___한다.
- 지방 / 탄수화물 - 증가
26
젖산대사에 대한 설명이다 빈칸에 알맞는 단어를 넣으시오. - 근 수축시 젖산은 ___섬유에 비해 ___섬유에서 더 높다. - _____을 통해 젖산을 제거할 수 있다. - 근육 내 ___가 부족하면 젖산이 발생한다. - 운동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혈중 젖산의 농도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시점은 ______라 한다.
지근/ 속근 코리사이클 산소 젖산역치
27
근수축에 필수적인 칼슘이온을 저장, 분비하는 근육 세포 내 소기관은?
근형질세망
28
다음은 골격근의 수축단계이다. 빈 칸에 알맞는 단어를 넣으시오. - 운동신경의 (1)_____가 운동신경말단으로 전도 -> 연접간격으로부터 아세틸콜린 방출 -> 근세포막 (1)_____ 생성 - (1)____가 (2)_____을 따라 전도 -> 근형질세망으로부터 (3)___ 방출 - (3)____이 트로포닌에 결합 -> 액틴 결합부위 노출 - 마이오신 십자형가교가 액틴결합부위와 강한 결합 -> (4)____ - 트로포닌으로부터 (3)___ 분리 및 제거 -> 근 이완
활동전위 / 활동전위 활동전위 / 가로세관 / 칼슘 칼슘 근수축 칼슘
29
신경세포와 근육의 흥분-수축 결합 단계를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마이오신 머리가 액틴세사를 잡아당긴다. 2. 활동전위가 축삭 종말에 도달하면 아세틸콜린이 방출된다. 3. 근형질세망에서 분비된 칼슘이 트로포닌에 부착되어 트로포마이오신을 들어올린다.
2 - 3 - 1
30
근 수축과정 - 골격근막의 활동전위는 가로세관을 타고 이동하여 근형질세망으로부터 (1)___ 유리를 자극한다. - 유리된 (1)_____은 액틴 세사의 (2)_____에 결합하고, (2)____은 (3) ____을 이동시켜 마이오신 머리가 액틴과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칼슘 칼슘 / 마이오신 / 마이오신 / 트로포마이오신
31
마이오신 머리에 있는 ____가 방출되면서 파워 스트로크가 일어난다.
인산기
32
다음 빈칸에 공통적으로 들어갈 단어는? _____는 근육의 성장과 회복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_____는 근력 훈련 후 발생한 미세한 손상 부위를 치유하는 과정에서 근섬유 속 핵을 분열시켜, 핵의 수를 늘리고 근육의 성장을 돕는 단백질 합성을 촉진한다.
위성세포
33
지근과 속근에 대한 비교이다. 각 항목들에 적합한 근육을 쓰시오. - 모세혈관의 밀도 - 미토콘드리아 수 - 빠른 수축속도 - 강한 피로내성 - 높은 해당능력 - ATPase의 활성도
지근 지근 속근 지근 속근 속근
34
하나의 운동 신경 세포는 여러 개의 근섬유와 연결되어 있으며 운동 신경 세포와 그 세포에 지배받고 있는 모든 근섬유를 _____라고 한다.
운동단위
35
운동단위 및 근섬유 동원 원리에 대한 설명이다. 빈 칸에 알맞는 단어를 넣으시오. - ____가 전달되면 그 운동단위에 연결된 모든 근섬유는 수축한다. - 동일한 근육에서 활성화되는 운동단위가 많을수록 큰 힘을 발휘한다. 이를 _______라 한다. - 동일한 근력을 발휘할 때, ___섬유는 ___섬유에 비해 운동단위의 수가 적다.
활동전위 크기의원리 속근 / 지근
36
근 수축 형태 4가지를 적으시오.
정적 = 1. 등척성 동적 = 2. 단축성 / 3. 신장성 / 4. 등속성
37
골격근의 신장성 수축은 수축속도가 ____ 더 큰 힘이 생성된다. 동일 골격근에서 단축성 수축은 신장성 수축에 비해 같은 속도에서 더 ___ 힘이 생성된다.
빠를수록 작은
38
다음은 무엇인가? - 근육의 ____를 이용한 트레이닝 방법이다. - 파워와 스피드 향상에 유용한 트레이닝 방법이다. - 바운드, 홉, 점프 동작들이 활용된다.
플라이오메트릭 신장반사
39
'신전 - 단축 주기'의 원리(기전)은 무엇인가?
신장성 수축시 탄성e저장 후 단축성 수축시 활용
40
다음 상황(1,2)에서 피로가 나타난 원인을 적으시오. 상황3 에서 나타난 통증의 명칭을 적으시오. 또한 이것이 어떤 수축에서 쉽게 발생하는지 적으시오. 1. 철수는 육상 경기에서 400m를 전력으로 질주하고 난 뒤 심한 피로감을 느꼈다. 2. 민수는 하프마라톤에 참가하여 열심히 달렸고 극심한 피로감을 느꼈다. 3. 영수는 등산 후 5시간동안 열심히 걸어 나려왔다. 당일에는 아프지 않았지만, 다음날부터 다리에 매우 심한 통증을 느꼈다.
1. 젖산 2. 탄수화물고갈 3. 지연성근통증 / 신장성수축
41
지연성근통증의 발생 과정에 관한 일반적인 가설이다 다음 빈칸에 해당하는 내용을 적으시오 1. 격렬한 운동 2. 세포막 ___ 3. 근소포체로부터 ____ 누출 4. 단백질분해효소에 의한 단백질 분해 5. ___ 반응 6. 부종과 동증
손상 칼슘 염증
42
근력 결정요인은?
근육 횡단면적 근절의 적정길이* 근섬유 구성비
43
장기간의 저항성 트레이닝에 따른 골격근이 적응했을때 나타난 반응이다. ____의 양이 증가한다. ____의 수가 증가한다. ____섬유의 단면적이 증가한다.
근형질 근원섬유 속근
44
지구성 훈련을 통해 기대할 수 있는 근섬유 내의 생화학적 변화에 대한 설명이다. - 근 섬유 내 _____의 밀도가 증가하여 산소, 이산화탄소 및 포도당과 같은 화학물질의 ___ 및 이동거리가 짧아진다. - _______ 내의 유산소성 효소의 증가가 이루어지기에 크렙스 사이클 및 전자전달계의 효율성이 좋아진다. - _______ 농도가 증가하여 근육 내 산소 운반 능력이 좋아진다.
모세혈관 / 확산 미토콘드리아 미오글로빈
45
근력 향상 영향을 주는 요인이다. 빈 칸에 알맞는 단어를 적으시오 - 동원되는 ____ 수의 증가 - a-운동뉴런의 _____ 전달 증가 - __________의 증가에 의한 근비대
운동단위 신경 자극 근섬유횡단면적
46
중강도 심폐지구력운동은 무엇에 효과적인가? - ______의 활동을 증대시켜 체지방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근육을 키우는 저항성 트레이닝도 체지방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는데 왜 그런가? - _______________이 높아지기 때문에
유리지방산 기초대사량(안정시 대사량)
47
다음 빈칸에 알맞는 단어를 쓰시오
해설 참조
48
다음 내용이 설명하는 것은? - 운동수행 능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경기 전 2~3일간 운동량을 줄인다. - 고갈된 글리코겐의 재합성과 근 손상의 회복을 촉진한다.
테이퍼링
49
다음이 설명하는 트레이닝의 원리는? - 규칙적인 운동을 실시한 후 향상된 체력이 운동을 중단하였더니 원상태로 감소하였다.
가역성의 원리
50
다음이 설명하는 트레이닝의 원리는? - 체력 수준과 부상 경력에 따라 선수들의 트레이닝 강도를 구분하여 실시한다.
개별성의 원리
51
다음이 설명하는 트레이닝의 원리는? - 트레이닝은 운동 형태, 강도 등에 따라 각기 다른 효과가 나타난다. 예를 들어 무거운 중량의 저항성 운동은 최대 근력을 발달시키며, 가벼운 중량의 저항성 운동은 근지구력을 발달시킬 수 있다.
특이성의 원리
52
다음이 설명하는 트레이닝의 원리는? - 저항성 트레이닝 시 평소 실시해 온 중량보다 더 높은 부하를 적용하여 근비대와 근력 강화를 촉진한다.
과부하의 원리
53
다음이 설명하는 트레이닝 방법은? - 인터벌 트레이닝에서 변형되어 개발된 것으로 언덕이 많은 자연 지형을 이용하여 스스로 페이스를 조절하면서 장시간 실시하는 심폐지구력 트레이닝이다.
파트렉(fartlek) 트레이닝
54
다음이 설명하는 트레이닝은? - 체력수준에 따라 세트 수 조절 - 운동과 짧은 회복을 반복적으로 구성 - 운동시간과 회복시간의 조절에 다라 유/무산소성 능력 향상
인터벌트레이닝
55
다음은 운동처방범위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가), (나), (다)에 해당하는 영역의 명칭은 무엇인가?
가 - 안전한계 나 - 운동처방범위 다 - 유효한계
56
다음이 설명하는 스트레칭 방법은? - 근육의 신경 지배 원리를 이용하여 근수축과 신전능력을 증가시키는 방법 - 보조자의 도움을 받아 근육을 최대한으로 신전시킨 후 등척성 수축을 하는 방법 - 골지건 기관을 자극하여 관절운동범위를 증가시키는 방법
고유수용성 근신경 촉진 스트레칭(PNF stretching)
57
다음 빈칸에 들어갈 알맞는 단어를 적으시오 일반적으로 관절의 가동범위를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스트레칭 방법 중 ( 1 ) 은 목표 부위를 신장시키기 위해 반동하는 움직임을 사용하는 방법이고, ( 2 )은 주동근과 길항근의 최대/최대하 수축 후 목표 부위를 스트레칭하는 방법이며, ( 3 )은 에너지소비 효율성과 실용성이 매우 우수한 방법이다.
동적 PNF(고유감각 신경근 촉진법) 정적
58
다음이 설명하는 것은 무엇인가? - 지나친 반동은 상해를 유발할 수 있다. - 스포츠 종목에 요구되는 특이 동작을 반영하여 실시한다. - 가동 범위는 통증을 느끼지 않는 범위에서 점진적으로 증가시킨다.
동적 스트레칭
59
다음 빈칸에 들어갈 단어로 알맞는 것을 적으시오. - 정적 스트레칭은 근육이 천천히 늘어날 때 근육과 힘줄 간의 장력이 증가되고, 힘줄의 긴장도가 증가되면, ( 1 ) 을/를 자극하여 ( 2 )의 작용을 억제함으로써 근육을 이완시키게 되는 ( 3 ) 기전을 적용한 것이다.
1. 골지건기관 2. 근방추 3. 자가억제
60
폐활량 : 최대 ___ 후 최대 ___량
흡기 / 호기
61
호흡의 원리에 대한 설명이다 빈칸에 알맞는 단어를 넣으시오. - 폐내 압력이 대기압보다 ____지면서 흡기가 일어난다. - 안정시 ___는 흡기에 동원되는 호흡근의 능동적인 수축으로 일어난다. - 안정시 ___는 흡기 시 수축했던 호흡근이 이완되면서 수동적으로 일어난다. - 폐포에서 산소와 이산호탄소의 가스교환은 ______을 통해 일어난다.
낮아 흡기 호기 확산작용
62
운동에 따른 환기의 변화에 대한 설명이다. 빈칸에 알맞는 단어를 넣으시오. - 운동 시작 직전에는 운동 수행에 대한 기대감으로 환기량이 ___할 수 있다. - 운동 초기 환기량 변화의 주된 요인은 ___에 위치한 화학수용기 반응이다. - 운동 강도가 증가하면 1회 호흡량은 __하고 호흡수는 현저히 증가한다. - 회복기 환기량은 운동 중 생성된 체내 ___이온 및 ______ 농도와 관련 있다.
증가 근육 증가 수소 / 이산화탄소
63
운동 중 호흡순환 조절에 대한 설명이다. - 고온 환경에서 장시간의 최대하 운동은 서늘한 환경에서보다 1회 박출량을 ___시킨다. - ____은 운동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비직선적으로 증가한다. - 고강도 운동은 저강도 운동에 비하여 혈액의 pH농도를 ___시킨다.
증가 환기량 감소
64
운동 중 호흡량의 증가는 폐동맥의 ______ 분압의 증가와 관련된다.
이산화탄소
65
운동 중 호흡조절 중추에 대한 설명이다. - 근육 내 화학수용체는 _____과 ______ 그리고 _____의 농도 변화에 반응하여 호흡조절 중추에 정보를 보낸다.
칼륨 / 수소이온 / 이산화탄소 분압
66
호흡에 의한 인체 내 산-염기 균형 조절은 점증부하운동 시 증가된 혈중 _____ 농도가 ____ 의 완충작용과 폐환기량의 증가에 의해 감소되는 것을 의미한다.
수소이온 / 중탄산염이온
67
마이오글로빈에 대한 설명이다. 빈 칸에 알맞는 단어를 넣으시오 - 근 세포막에서 ______로 산소 운반 - 동일한 정맥혈 산소 분압에서 ______보다 높은 산소 포화도를 가짐
미토콘드리아 헤모글로빈
68
혈액 내 산소운반 물질은 ______이다. 근육 세포 내 산소 운반 물질은 ______이다. 혈액 내 이산화탄소의 운반 형태 3가지에 대한 설명이다. -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_______이다. - ______과 결합하여 운반된다. - ____ 내에 용해되어 운반된다.
헤모글로빈 마이오글로빈 중탄산염이온 헤모글로빈 혈장
69
가스 교환에 대한 설명이다. 빈 칸에 알맞는 단어를 적으시오. - 산소는 혈액 속에서 주로 _____과 결합하여 운반된다. - 산소 분압이 감소하면 _____의 산소 포화도가 낮아진다. - 이산화탄소는 혈액 내에서 주로 ______의 형태로 운반된다.
헤모글로빈 헤모글로빈 중탄산염이온
70
혈중 수소이온이 증가함에 따라 산소-헤모글로빈 해리 곡선이 우측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____효과라 한다.
보어
71
운동 중 근세포 및 혈액의 산-염기 조절에 관여하는 완충계에 관한 설명이다. 1차 완충계는 _____내 인산염이다 2차 완충계는 ___ 그리고 ____ 이다.
근세포 내 혈액 / 호흡보상
72
심장의 구조에 대한설명이다. - ___은 혈액의 역류를 방지한다. - _____은 좌우심실 간 혈액의 혼합을 방지한다. - _____은 좌심방에 위치하며 동방결절의 역할을 담당한다. - 운동 중 심근으로 혈액을 공급하는 동맥은 _____이다.
판막 심실중격 방실결절 관상동맥
73
평균동맥혈압은 _____과 _______에 의해 결정된다.
총 말초저항 / 심박출량
74
다음을 보고 심장 자극 전도체계를 순서대로 나열하시오. 1. 방실다발 2. 동방결절 3. 퍼킨제섬유 4. 방실결절
2 - 4 - 1 - 3
75
심장은 인체의 각 조직의 항상성을 위해 필요한 혈액을 골고루 나누어 공급한다. 따라서 운동 중일 때에 심박출량이 증가하며, 활동근에 더 많은 혈액을 보내기 위하여 온몸에서 혈류의 재분배가 이루어진다. 운동 시 심장의 혈류 재분배 작용을 3가지 열거하시오. ____ 증가 활동근 혈류 ( ) 비활동근 혈류 ( )
1. 심박출량 증가 2. 활동근 혈류 증가 3. 비활동근 혈류 감소
76
운동 시 정맥혈 회귀를 촉진시키는 작용 3가지
근육 펌프 정맥 펌프 호흡 펌프
77
혈류 재분배에 대한 설명이다. 빈 칸에 알맞는 단어를 넣으시오. - 근육의 산소요구량 증가는 혈류의 _______을 발생시킨다. - _____ 증가는 세동맥 혈관 확장을 유도한다. - ____, ____, 수소이온 등은 혈류량 증가를 자극할 수 있는 부산물이다.
내인성조절 산화질소 이산화탄소 / 칼륨
78
혈류 재분배에 대한 틀린 설명을 모두 수정하시오. 1. 신장의 혈류 재분배율은 증가한다. 2. 근육의 혈류 재분배율은 증가한다. 3. 뇌의 혈류 재분배율은 증가한다. 4. 심장의 혈류 재분배율은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
1. 증가x -> 감소 3. 증가x -> 감소
79
운동 중 골격근이 수축할 때 ____이/가 혈액 역류를 막아 심장으로의 혈액 환류를 도움. 따라서 운동 후 회복기에 정리운동을 하는 것이 급작스러운 혈액 환류 감소를 예방함. 빈 칸에 적절한 것은?
판막
80
1회 박출량을 조절하는 요인 3가지
심실수축력 이완기말혈액량 평균 대동맥혈압
81
1회 박출량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을 모두 고치시오 1. 교감신경 자극 증가 시 1회 박출량 감소 2. 전부하 증가 시 1회 박출량 감소 3. 후부하 증가 시 1회 박출량 감소
1. 감소 x -> 증가 2. 감소 x -> 증가
82
심박출량은 ______ 과/와 ____ 의 곱으로 산출한다.
1회박출량 / 심박수
83
심박출량을 크기를 크게 하려면 다음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 설명하시오 1. 심실 수축력 2. 이완기말 혈액량 3. 수축기말 혈액량 4. 교감신경계 5. 부교감신경계 6. 정맥혈회귀량 7. 심박수
1. 증가 2. 증가 3. 감소 4. 활성 5. 비활성(감소) 6. 증가 7. 증가
84
정리운동을 실시해야 하는 이유에 대한 설명이다. 빈 칸에 알맞는 단어를 넣으시오 - ___이 급격하게 낮아지는 것을 예방한다. - ___이 급격히 감소하는 것을 예방한다. - ___의 양이 급격히 감소하는 것을 예방한다.
혈압 심박출량 정맥혈 회귀
85
다음 대화를 보고 교사의 이유를 혈중 젖산의 측면에서 서술하시오 학 : 운동선수들이 격렬한 운동을 한 후 가볍게 달리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교 : 그것은 앉아서 쉬는 것보다 가볍게 움직이는 것이 회복에 훨씬 더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동적 휴식이 정적 휴식보다 젖산 제거에 효과적이기 때문
86
해수면과 비교하여 고지 환경에서 운동시 생리적 반응으로 다음 항목에 대해 (증가/감소)로 서술하시오. - 최대하 운동시 폐환기량 - 최대하 운동 시 심박수와 심박출량 - 최대하 운동 시 동맥혈 산화헤모글로빈 포화도 - 유산소 운동능력 - 호흡수 - 심박수
증가 증가 감소 감소 증가 증가
87
고지대 순응 시 나타나는 생리적 반응에 대하여 다음 항목들에 대해 (증가/감소)를 서술하시오. - 적혈구 수 - 혈액의 산소운반능력 - 근육의 모세혈관밀도 - 주어진 절대강도 운동시 폐환기량
증가 증가 증가 증가
88
장기간의 심폐지구력 운동 시 변화에 대한 설명이다. - 근 섬유의 _______ 수 증가 - 근 섬유의 _______ 밀도 증가 - ____ 증가 - 최대하 운동 시 ______ 향상 - 최대하 운동 시 ______ 감소
미토콘드리아 모세혈관 베타산화효소 지방대사 능력 포도당 사용
89
장기간 유산소 운동이 순환게에 미치는 영향이다. 안정 시, 최대하 운동 시, 최대운동시 다음 각 항목별로 '증가', '감소', '변화 없음'으로 제시하시오 안정 시 - 심박수 - 1회 박출량 - 좌심실 크기 - 헤모글로빈 수 최대하 운동 시 - 심박수 - 1회박출량 - 활동근당 혈류량 - 동정맥 산소차 - 혈압 최대운동시 - 심박수 - 1회박출량 - 활동근당 혈류량 - 동정맥 산소차 - 혈압
감소 증가 증가 증가 감소 증가 감소 증가 감소 변화없음 증가 변화없음 증가 변화없음
90
최대산소 섭취량 = ______ x _______ x _______
최대 1회 박출량 최대 심박수 최대동정맥산소차
91
장기간의 유산소성 트레이닝 후에는 안정시 심박출량은 ____, 안정 시 1회 박출량은 ______
변화없거나 다소 감소 / 증가한다.
92
심근 산소소비량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운동으로 인한 심장발작을 모니터하기 위한 수단으로 측정한다. 2. 심근산소소비량은 운동강도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3. 심근산소소비량은 수축기 혈압과 심박수에 의해서 결정된다. 4. 123 모두
4
93
혈압 = _____ x _____ 평균동맥압 공식 :
심박출량 /총 말초저항 (수축기말 혈압 - 이완기말 혈압) x 1/3 + 이완기말 혈압
94
평균 동맥혈압이란 ________ 동안의 ____와 ____혈압의 평균 압력
심장 주기 / 수축기 / 이완기
95
다음은 안정 시 및 최대 운동 시 혈중가스분압의 변화에 대한 설명이다. 빈칸에 '크다', '작다' 를 적으시오 - 단련자가 일반인보다 활동근 정맥혈에서의 이산화 탄소 분압이 _____ - 단련자가 일반인보다 산소를 추출하여 운동을 수행하는 능력이 _____ - 단련자는 일반인에 비해 동정맥 산소차가 ______
크다 크다 크다
96
유산소성 트레이닝 후 효과에 대한 설명이다. '증가', '불변', '감소'로 답하시오 - 안정시 근육 내 지방 저장량 - 최대하운동부하검사 40분 지점에서의 글루카곤 분비량 - 최대운동부하검사 직후의 혈중 젖산농도 - 최대운동부하검사 완료 시점에서의 심박수 - 최대운동부하검사 후 회복기 중 초과산소소비량 - 최대하운동부하검사 45분 시점에서의 근글리코겐저장량 - 혈중 젖산역치가 나타나는 상대적 운동강도 - 최대하 운동 시 호흡교환율
증가 -> 중성지방 저장량 증가 감소 증가 -> 고강도 운동을 더 많이 버틸수 있게 됨. 불변 감소 증가 증가 감소
97
고온에서 땀을 흘리며 일정한 강도로 장시간에 걸쳐 최대하 운동을 할 때 나타나는 생리적 반응이다. 빈 칸에 적당한 단어를 적으시오. - 활동근에 공급되는 혈류량이 ____, 지구력이 _____ - 저온에서 운동할 때와 비교하여 심박출량은 ____ - 뇌하수체 후엽이 자극되어 항이뇨 호르몬의 분비가 ____ - 저온과 비교하여 혈중 젖산 농도가 ___ - 심박수는 ____, 1회 박출량 ____ - 피부 혈류량 ___ - 교감신경계 자극 ___
감소/ 감소 차이 없음 증가 증가 증가 / 감소 증가 증가
98
열 순응에 대한 설명이다. 빈 칸에 적절한 단어를 쓰시오. - 운동 중 발한 시점이 _____ - 운동 중 발한률이 _____ - 안정 시 혈장량이 _____ - 운동 중 땀으로 배출되는 나트륨이 _____ - 시간당 땀 분비율 ____ - 심부온도 ____
빨라짐 증가 증가 감소 증가 감소
99
체력의 구성 요소에는 1)____체력, 2)____체력이 있고 1) _____ 체력에는 ___, ____, ____, ____, ____이 있다.
건강관련 / 운동관련 건강관련 / 근력/ 근지구력/ 심폐지구력/ 유연성/ 신체조성
100
히스카터(Heath-Carter)의 체형 분류법을 생각했을때 다음 체형은 어떤 것인가? - 뼈와 근육이 충분히 균형있게 발달되어 있다. 주로 힘이 강한 운동선수들이 해당된다. - 상대적으로 팔과 다리가 길고 마른 체형 개인에게 알맞는 운동처방을 하기 위해서는 미국스포츠의학회(ACSM)에서 제시한 운동처방의 FITT-VP 원칙을 잘 홀용해야 한다. 이것은 ___, ___, ___, ___, ___, ___이다.
중배엽형 외배엽형 빈도 강도 시간 형태 양 진행(점증부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