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서희가 거란과의 외교적 담판으로 획득한 지역은?
강동 6주
2
거란의 3차 침입의 결과는?
강감찬의 귀주 대첩
3
윤관이 여진 정벌을 위해 설치한 임시 군사 조직은?
별무반
4
윤관이 개척한 지역은?
동북 9성
5
살리타를 사살한 인물은?
김윤후
6
삼벌초 부대 항쟁지는?
강화도,진도,제주도
7
강화 천도 이유는?
농토가 많음,육지와 가까움,몽골군이 해전에 약함
8
원 간섭기 상황은?
몽골풍 유행,왕실 호칭 격하
9
원 간섭기 지배 세력, 권문세족은?
친원파,대농장 경영
10
성리학을 공부하고 과거에 급제하여 관직에 진출한 세력은?
신진 사대부
11
온건파. 급진파 사대부의 주장은?
고려 전기 제도 회복 vs 새 왕조 수립
12
고려의 가족 제도는?
친가,외가 차별 없음
13
변발,만두,수라 등이 의미하는 바는?
몽골풍 유행
14
공민왕의 개혁 정치는?
친원세력 척결,전민변정도감 설치,쌍성총관부 회복,정동행성 폐지,몽골풍 금지
15
예성강 입구,고려의 국제 무역항은?
벽란도
16
송의 고려와의 교루 목적은?
정치적 목적
17
그릇 표면에 홈을 파서 그림 등을 새긴 후에 다른 색깔의 흙을 메우는 기법은?
상감법
18
천태종을 창시한 인물은?
의천
19
인간의 심성과 우주의 원리를 연결하는 학문은?
성리학
20
‘삼국사기’의 특징은?
유교의 합리주의 사관을 따름,설화나 신화를 축소함
21
금속 활자 발명과 관련이 깊은 것은?
직지
22
고려의 문화 유산은?
월정사 8각 9층 석탑,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등
23
조선 건국 세력은?
신흥 무인 세력,급진파 신진사대부
24
정도전의 지향점은?
왕도 정치
25
조선 태종의 업적은?
호패법,사병 철폐
26
3사가 조선 정치에 기여한 점은?
권력의 독점과 부정 방지
27
유향소(향청)의 역할은?
수령 보좌,향리 감찰,유교 질서 보급
28
조선의 과거의 종류는?
문과,무과,잡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