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창작동기
모티프
2
작품속 나가 서술
1인칭 주인공 시점
3
사물에 빗대어 비유,풍자
우의
4
갈등 시발점
전개
5
우주
신화
6
고려시대 노래
고려 가요
7
한문으로쓴 중국 전통 정형시
한시
8
인물의 혼란
갈등
9
조선 초기 시가와 산문의 중간형태
가사
10
두 개 이상의 평시조
연시조
11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는 문학
구전 문학
12
서술자가 직접 이야기
직접 제시
13
민중 사이에 저절로 생긴 노래
민요
14
인물이 겪는 일
사건
15
독립된 이야기들이 같은 주제
옴니버스 구성
16
독자적 성격을 가진 인물
개성적 인물
17
이상현상을 소재로 전해져내려옴
전설
18
주인공의 위험
위기
19
향찰
향가
20
드러내고자 하는 뜻과 반대로
반어
21
앞으로의 일을 미리 넌지시 추측하도록
복선
22
성격이 변하는 인물
입체적 인물
23
글 말투
문어체
24
일상적 대화
구어체
25
모순 따위를 빗대어
풍자
26
작품밖의 서술자가 관찰자로
3인칭 관찰자 시점
27
작품속 주변인이 서술
1인칭 관찰자 시점
28
작품밖 서술자가 인물의 모든건 앎
전지적 작가 시점
29
장르
경기체가
30
고대국가 노래
고대 가요
31
이야기 전개의 구체적 재료
소재
32
우스운말
해학
33
주인공이 혼자 중얼중얼
독백
34
이야기를 서술하는 방식,관점
시점
35
성격의 변화가 없는 인물
평면적 인물
36
장면적 제시로 간접적 제시
간접 제시
37
갈등해소
결말
38
이야기속 이야기
액자식 구성
39
작품속 등장하는 사람
인물
40
3장 형식
평시조
41
주제의 형상화
소재의 기능
42
일어날법한 이야기가 전해져내려옴
민담
43
3음절 제외 길어진 시조
사설시조
44
여러가지를 감각,구체적으로 그려내는 서술
묘사
45
사건,갈등이 해결되지 않은채로 끝
열린 결말
46
사건 시작
발단
47
발단,전개,위기,절정,결말
소설의 구성 단계
48
주인공의 출생부터 사망까지
영웅의 일대기적 구성
49
서술자가 작품속에 끼어듦
서술자의 개입
50
소설속 이야기 전달 존재
서술자
51
아마 그럴것이다
개연성
52
작품속 시공간
배경
53
갈등의 최고조
절정
54
현실성 부여
배경의 기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