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감각 신경계
체성감각, 내장감각
2
운동신경계
체성신경, 자율신경
3
골격의 탈분극을 유도하여 골격근 수축 심장의 과분극 유도하여 심근이완으로 심박수 저하
아세틸콜린
4
내부환경의 불변성 또는 계속적 유지
항상성
5
신체의 요구와 신체 반응의 균형
항정상태
6
과신전 예방 유연성 트레이닝에 의한 ( ) 억제작용 감소
근방추
7
과수축 예방 근장력을 감지하여 과도한 근장력 발샹 억제 근력 트레이닝을 통한 ( )의 억제작용 감소
골지건
8
도피반사
상호억제(한쪽), 교차신근반사(양쪽)
9
운동단위(서술형)
1개의 운동신경과 연결된 근섬유
10
크기의 원리(서술형)
작은 저항에서 큰 저항 극복을 위하여 작은 운동단위에서 큰 운동단위의 추가적 동원
11
수의적 움직임을 위해 척수기전은 운동에 적합한 근육활동 생성 뇌에 저장된 형태 외의 움직임 수정
척수조율
12
2차전령 요구기전
근육당원 분해, 지방조직 중성지방 분해
13
뇌하수체 전엽 호르몬
성장 호르몬, 갑상선자극 호르몬, 부실피질자극 호르몬, 프로락틴
14
뇌하수체 후엽 호르몬
항이뇨호르몬(바소프레신), 옥시토신
15
갑상선 호르몬
티록신, 칼시토닌
16
부갑상선 호르몬
부갑상선 호르몬
17
부신수질 호르몬
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
18
부신피질 호르몬
알도스테론, 코티졸
19
췌장 호르몬
인슐린, 글루카곤
20
신장 호르몬
레닌
21
혈장 포도당 농도 유지 기전(간, 세포조직)
간: 간에 저장된 당원으로부터 포도당 동원, 간에서 당신생합성, 세포조직: 혈장 포도당 절약을 위해 지방세포 조직으로부터 혈장 유리지방산 동원, 유리지방산을 연료로 사용하기 위해 포도당의 세포유입 차단
22
지구성 트레이닝에 의한 부신의 적응
근육의 포도당 이용이 감소하여 동일강도에서 낮은 에피네프린과 노르에피네프린 수준으로 포도당 유지 가능
23
운동 중 인슐린 농도가 감소할 때 근육이 휴식시보다 7~20배 더 빠르게 포도당을 흡수할 수 있는 이유는?
운동 중 혈류의 큰 증가로 더 많은 포도당과 인슐린이 안정 시 이상으로 근육으로 운반, 지구성 트레이닝이 인슐린에 대한 근육의 민감도를 증가시켜 더 적은 인슐린으로 포도당의 조직 유입 가능
24
ATP-PC 시스템 효소
크레아틴 키나아제
25
젖산 시스템 효소(산화환원효소)
젖산탈수소효소
26
베타산화과정 효소(가수분해효소)
리파아제
27
AT
무산소 역치
28
OBLA
혈중젖산축적시점
29
LT
젖산역치
30
VT
환기역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