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1.전해질이 수용액 안에서 수소 이온(H+)과 수산화 이온(OH-)이 반응하여 물(H₂O)이 되는 것. 즉, 산과 염기가 반응하여 물과 염기가 되는 반응
중화 반응
2
2.산이란 수용액에서 이온화하여 H+을 내놓는 물질이며, 염기란 수용액에서 이온화하여 OH-을 내놓는 물질이라고 정의한 사람
아레니우스
3
3.산이란 H+을 내놓는 물질이며, 염기는 H+을 받아들이는 물질이라고 정의한 사람
브뢴스테드,로우리
4
4.한 분자의 산 또는 염기가 이온화하여 내놓는 H+ 또는 OH-의 개수를 ()라 하며 ()의 정도를 나타낸다.
가수,중화
5
5.황산(H2SO4)는 ()가의 ()이다.
2,산
6
6.인산(H3PO4)은 ()의 ()이다.
3,산
7
7.수산화 칼슘(Ca(OH2)2)은 ()의 ()이다.
2,염기
8
8.수산화 알루미늄(Al(OH)3)은 ()가의 ()이다.
3,염기
9
9.염화 나트륨이나 염산 등과 같이 수용액에서 해리되면 생기는 이온들이 전하를 띠고 전기를 운반할 수 있게 되는 물질
전해질
10
10.중화 반응에 쓰이는 약품.
중화제
11
11.산성 중화제 H2SO4, HCL
황산,염산
12
12.염기성 중화제 Ca(OH)2, NaOH, Na2CO3, CaCO3, CaO
수산화 칼슘,수산화 나트륨,탄산 나트륨,탄산 칼슘,산화 칼슘
13
13.표준 물질은 (), ()에 의해 일정한 중량이 된다. ()는 가급적 없어야 한다. ()과 ()이 없어야 한다. ()하기 쉬워야 한다. (), (), ()에도 안정하여 화학 반응을 하지 않아야 한다. ()에 대한 용해도가 커야 한다. ()이 정량적으로 일어나야 한다. 가능한 한 ()이 커야 한다.
가열,건조,결정수,흡습성,조해성,칭량,산소,이산화 탄소,햇빛,물,반응,1g 당량의 질량
14
14.강전해질 NaOH,KOH,HCl,H2SO4,HNO3
수산화 나트륨,수산화 칼륨,염산,황산,질산
15
15.약전해질 CH3COOH, NH4OH
아세트산,수산화 암모늄
16
16.비전해질 C2H5OH, C6H12O6, C12H22O11, H2O
에탄올,포도당,설탕,물
17
17.강산 HCl, H2SO4, HNO3
염산,황산,질산
18
18.강염기 NaOH, KOH, Ca(OH)2
수산화 나트륨,수산화 칼륨,수산화 칼슘
19
19.빗물의 pH가 () 이하로 되는 경우를 산성비라고 한다. 물방울의 pH는 ()으로 중성이어야 하지만 대기 중에는 약 (%) 정도의 이산화 탄소가 포함되어 있다. 탄산은 약산이므로 pH는 약 ()이다.
5.6,7.0,0.038,5.6
20
20.계산식으로 도출되는 것:() 사용자가 스스로 멈추는 거:()
당량점,종말점
21
21.변색 페놀프탈레인pH8.2~10.0
무색,분홍색
22
22.변색 브롬티몰블루pH8.0~9.6
노랑,초록,파랑
23
23.변색 메틸오렌지pH3.1~4.5
빨강,주황,노랑
24
24.변색 메틸레드pH4.8~6.0
빨강,주황,노랑
25
25.변색 페놀레드pH6.8~8.4
노랑,빨강,주황
26
26.변색 리트머스pH4.5~8.3
빨강,보라,파랑
27
27.자신은 환원되면서 다른 물질을 산화시키는 성질이 강한 물질
산화제
28
28.산화제 종류 KMnO4, K2Cr2O7, F2, Cl2, H2O2, HNO3
과망가니즈산칼륨,다이크로뮴산칼륨,플루오르,염소,과산화 수소,질산
29
29.산화환원적정법 강한 산화제 환원성 물질을 적정할 수 있다. 농도는 0.01~0.1N이다. 종말점은 적자색
과망가니즈산칼륨법
30
30.산화환원적정법 장시간 저장해도 분해되지 않음 산성에서 철 이온을 적정할 수 있다 쉽게 구입할 수 있다 가열할 때 안정 1차 표준액으로 조제할 수 있다 색변화가 명확하지 않아 지시약을 사용해야 함
다이크로뮴산칼륨법
31
31.산화환원적정법 종말점이 명료하기 때문에 정확도가 높다.
아이오딘 적정법
32
32.용존 산소는 물에 녹아 있는 ()의 양을 말한다. 대기 중에 있는 산소의 () 및 조류나 수중식물의 ()에 의해 증가하고, 물속에 있는 오염된 무기 화합물에 의한 (), ()의 호흡에 의한 소비, ()이 유기물을 분해할 때 그 양이 감소한다.
O2,자연적 용해,광합성 작용,산화 작용,동식물,미생물
33
33.
인화성
34
34.
독성
35
35.
유해 물질
36
36.
산화성
37
37.
부식성
38
38.
환경 유해 물질
39
39.침전 비중이 커서 무거운 입자의 침전을 말하며 자유 침전이라고도 한다.
독립 침전
40
40.침전 비교적 저농도의 입자들끼리 접촉하고 응집하면서 플럭(덩어리)을 형성시켜 침전하는 형태. 입자들끼리의 결합에 의해 질량이 커져 독립 입자보다 침전 속도가 빠르다.
응집 침전
41
41.침전 플럭(덩어리)을 형성시켜 침강하는 입자들이 주변 입자들의 침전을 방해하여 침전 속도가 감소하는 침전이다.
지역 침전
42
42.침전 입자군의 무게 때문에 물이 빠져나감. 압밀 침전이라고도 한다.
압축 침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