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음악적 기능과 기초 이론 교육에 치중하고 연주 프로그램을 강조하는 미학
형식주으.
2
어떤 미학적 사조?
형식주의
3
음악 작품이 지니고 있는 예술적 속성에 관심을 가짐
형식
4
음악을 통해 얻게 되는 감정, 정서를 인정하지만, 일상에서 얻는 감정과는 철저히 구별됩
형식주의
5
장3도는 기쁨이나 즐거움, 장7도는 폭력성과 갈망을 의미한다.
관련두의
6
음악은 메시지를 전달하는 도구로서의 수단적 가치가 중시된다. 도덕적 시민을 양성할 목적으로 음악을 활용하고, 애국심을 강화하기 위하여 음악 사용한다.
관련주의
7
음악에 얽힌 이야기를 설명하면서 마치 음악이 이야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설명한다든지, 음악과 다른 예술을 직접적으로 연결 지으면서 설명하는 미학
관련주의
8
예술작품의 비예술적 내용은 내적인 예술경험에 대하여 강한 영향을 있다. 그러나 비예술적인 내용들은 항상 내적인 예술형태에 의하여 변형(transform)되고 초월(transcend)된다
절표주으ㅏ
9
예술적 의미와 가치는 예술 작품에 존재한 ㄴ 지시적 내용보다 항상 그리고 반드시 그 위에 존재한다
절표
10
작품의 경험(작품에 대한 경험) 항상 ‘부분의 ’보다 크며, 또한 ‘부분의 ’으로부터 구별된다
절표
11
예술적 경험은 이지적인 것이며, 순수한 형태(pure fom) 의해 주어지는 특별한 감정에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해석됨
형식
12
음악을 감상하는 사람은 음악 작품을 통하여 작가의 내면세계(feeling or subjectivity) 만나게 되고, 만남은 다시 감상자의 내면에 영향을 주며, 결과적으로 감상자의 내면세계에 변화가 생기고, 그것은 감상자에게 새로운 경험이 된다는 것이다라고 주장한 미학
절표
13
절표주의에서 제공해야 하는 음악
예술적으로 가치있는 움악, 다양한 음악, 학생들에게 흥미일는 음악
14
예술자4품을 통해 ㄱ객체화된 역동적 느낌
표현성
15
.
16
리머는 그의 객관주의적, 절대표현주의적 관점에 대한 도전이 20세기 후반 세계적 철학사조의 흐름 가운데 하나인 (a)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았다. 리머는 경험 중심 음악교육 철학을 통해 심미적 음악교육철학의 전제적 미학인 절대표현주의, 예술적 경험의 가장 중요한 특질이 (b) 공유에 있다는 점을 포기하지 않으면서 새로운 철학적 관점들 가운데 의미 있는 내용을 철학체계에 수용하려고 하는 변증법적인 종합을 시도하였다.
포스트모더니즘, 느낌의 세계
17
리머 창의성 차원
작곡 창의성 연주 창의성 즉흥연주 창의성 감상 창의성
18
맥락적 차원의 3가지 차원
보편적, 맥락적, 개별적
19
리머 음악적 지능
연주, 즉흥연주, 감상, 이손적 이해 음악학적 이해, 음악교수
20
리머 음악지능이론에서 차용헌 이론
피아지 도식으, 개념과 가드너의 문화적 요소
21
.
22
엘리엇 음악의 실천 네가지 차원
사람, 음악적 과저으 음악적 산출물, 맥락
23
투리노에 의한 분류
‘참여적인 연주’, ‘보여주는 연주’, ‘실황 녹음’, ‘스튜디오 청각 예술’
24
청각적으로 구별이 가능한 음악적 패턴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선율, 화성, 리듬, 음색, 텍스처, 빠르기, 아티큘레이션, 셈여림 등의 음향적 특질(qualities of sound)들로 구성된다. 이러한 특질들은 선율, 화성, 리듬 등의 구문적(syntactic) 특질과, 음색, 텍스처, 빠르기, 아티큘레이션, 셈여림 등의 비구문적(nonsyr1t<보)특질로 구분된다
음악적 디자인 차원
25
작품이 의미하는 , 또는 작곡가가 의도한 , 나아가 작품과 작곡가에게 영향을 준, 당시의 맥락적 배경(역사적, 사회적 맥락)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고, 지금 연주하려고 하는 음악행자의 개인적 생각과 속해 있는 공동체의 이해와 기대를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연주해석 차원
26
음악적 산출물은 산출물이 속한 특정 공동체의 예술적 • 음악적 • 역사적 맥락을 바탕으로 하고 있고, 특정의 음악 요소들(intramusical features) 요소들(intermusical features) 관련되어 있다. 그리고 음악적 산출물은 특정 음악적 실행의 전통과 기준, 음악적 양식, 음악에 대한 특정 개인과 공동체의 해석 등을 반영하고 있는데, 이는 가사가 있는 성악에서 분명하게 나타난다
실천 특정적 음악의 속성
27
모든 음악적 산출물은 특정의 정서(emotion) , 긴장-이완, 갈등-해결 등과 같은 정동적 패턴(affective pattern)들을 유발하고 표현한다 청자 listener) 어떤 서양음악의 선율에서 경쾌함을 느낄 있다는 것은, 청자가 서양음악에서 경쾌함을 그렇게 표현해 온 전통(tradition or practice) 경험으로 이미 이해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음악적 표현의 차원
28
음악적 요소들을 사용하여 세계의 어떤 측면(객체, 사건, 장소, 사람, 생각 ) 묘사하거나 설명하고, 특징화하거나 지시하는 것을 말한다
음악적 표상의 차원
29
음악적 산출물은 개인과 공동체의 사회적, 문화적, 이념적 이해를 반영한다
문화이념적 차원
30
레이디 가가(Lady Gaga) 노래를 좋아하는 청소년들은 가가의 노래를 들으면서, 음악에서 가가의 삶과 이야기를 이해하고, 나아가 가가의 노래와 이야기 속에서 자신들의 삶과 이야기도 발견할 있다고 생각한다는 것이다
서사적 차원
31
어떤 사람의, 자기 자신에 대한 이해와 존재감(존재하고 있음에 대한 인식)은 사람의 음악하기와 음악듣기에 영향을 미친다. 사람에게 있어서 음악하기와 음악듣기는 삶의 일부가 된다. 즉, 어떤 음악 행자가 실행하는 음악의 과정과 결과는 그 사람의 a에 영향을 미친다
자전적 차원
32
공동체 속에서 다른 사람들에게 선하고 유익한 삶을 추구하는 것이다. 엘리엇에 따르면, 음악적 산출물은 올바르고(right), 선하며, 유익한(good) 것으로, 공동체의 평화, 웰빙, 번영에 기여하는 것이어야 한다
윤리적 차원
33
Mtks
.
34
엘리엇 아리스토텔레스 인용
테오리아, 포이에시스, 테크네, 그리고 프로네시스이다. 테오리아(theoria) 이론적인 지식을, 포이에시스(poiesis) 제작 활동을, 테크네 (techne) 전문적인 기술이나 기능을, 그리고 프로네시스(pronesis) 실천적인 지혜를 의미한다. 엘리엇은 테오리아, 포이에시스, 그리고 테크네가 각각 중요하고 의미 있는 것이긴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미흡하고, 실천적인 지식인 프로네시스와 결합되어야 참된 가치를 나타낼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음악교육의 과정에서 음악적 지식이나 테크닉에만 중점을 두는 것은 바람직한 교육이 아니며
35
심미적 음악교육은 학습자가 음악이 지니고 있는 ()과 ()에 공감하고 이해하는 데에 큰 의미를 둠
심미적 속성, 표현성
36
반응 세 가지 요인
감각, 지각, 상상
37
엘라엇 다섯가지 유형
과정, 형식, 비형히그 감성적, 통제적
38
리머 그린 음악의 의미
내적인 음악의미, 묘사적읻 음악 의미
39
미적 가치와 의미가 읻간이 체화하는 일상의 경험에 있다고 보며, 음악아 표혇하고자 하는 음향의 상징적 의미애 규ㅏㄴ삼을 두는 철학
심미주의 음교촐
40
예술 작품속 감정은 예술가 자신의 어떤 개인적인 느낌보다는 감상자에 의해 생기가 돠는 감정
표현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