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수은중독
미나마타병
2
카드뮴중독
이타이이타이병
3
알칼리도(경도)
탄산칼슘 형태로 환산,양이 많을수록 경도가 높다.
4
용존산소
물속에 녹아있는 산소의 양
5
생물학적 산소요구량
호기성 세균이 20*C에서 5일간 물속에 있는 유기물을 분해하는데 필요한 산소소모량
6
화학적 산소 요구량
산화제로 물속에있는 유기물을 산화분해하는데 필요한 산소소모량
7
부유물질
물속에 떠돌아 다니는 여러가지 물질
8
농약
대부분 유기화합 물질이므로 인체에 흠수와 축적은 잘되고,인체 내에서 분해나 배설은 매우느려서 일단 흡수되면 제거가 매우어렵다
9
목적에따른 농약 종류
살충제 살균제 제초제 보존제
10
살충제
입으로 약제를 섭취,중독시켜서 해충을 죽이는것 ex)플루오르화제,DDT,BHC,파라티온
11
살균제
농작물을 병원 미생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사용 ex)살포용 살균제,종자 소독제,토양 살균제,농업용 살균제
12
제초제
잡초를 제거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선택성제초제와 비선택성 제초제가 있다 ex)이사디,파라콰르
13
ppm계산
.
14
물리적 오염지표
온도,탁도,색,냄새,pH
15
생물학적 오염지표
용존산소량,생물학적 산소요구량,지표생물이용
16
화학적지표
화학적 산소요구량,부유물질,질산 및 인산의 농도에 의한 수질오염
17
세척중의 오염
세제(계면활성제)->,잔류 적어야하고 독성적어야함 일반식품사용x 트라이할로메테인->염소와 반응하여 생성,간과 신장에 종양유발 질산성질소->질소를 함유한 물질은 분해되어 질산성질소를 생성,청색아증
18
농산물 원산지 표시제도
공정한 거래 질서를 확립하고 생산농업인과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한 제도
19
농산물 이력 추적관리
농산물을 생산단계부터 판매단계까지 정보를 기록,관리하는것
20
유기 가공식품 인증제도
유기가공품의 신뢰도를 높ㅇ여 소비자를 보호하고,사업자가 고품질의 유기식품을 공급할수 있도록 장려하는 제도
21
전통식품 인증제도
국내산 농수산물 주원료
22
우수관리 농산물 인증제도
식품의 생산에서 소비까자 모든단계를 체계적으로 관리,공개 ex)농약 사용여부,생산과정상의 환경,위생,수확처리시설,작업자의 복지
23
친환경 농산물
화학물질 사용X최소화
24
유기농산물
유기합성 농약과 화학비료를 사용하지 않고 재배
25
무농약 농산물
유기합성농약 사용 X,화학비료 1/3 이하 사용
26
저농약 농산물
유기합성 농약의 살포횟수 1/2이하,최종살포일은 2배수 적용,화학비료는 권장 시비량의 1/2이하사용
27
유기 축산물
항생제,합성 향균제,호르몬제가 포함되지 않은 유기사료로 사육한 축산물
28
무항생제 축산물
항생제,합성 향균제,성장촉진제.구충제,항콕시듐제,호르몬제 사용x
29
HACCP
-위해요소 분석+중요관리점 -인체의 건강을 해칠 우려가 있는 위해요소를 중점적으로 관리한다는 의미,안전관리 인증 기준 또는 해썹이라고도 함 -소비자가 섭취하기전까지의 모든 과정에서 인체에 위해한 물질이 식품에 섞이거나 식품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과정에 발생할수있는 위해한 요소들을 제거함으로써 ->소비자에게 안전하고 꺠끗한 식품을 제공하기 위한 사전예방관리 개념의 식품안전 위생 관리 체계
30
HAPPC 식품업체 측면
-예상되는 위해과정을 집중적으로 관리하므로 위생관리 체계의 효율성을 높일수있다 -위생적인 제조시설,설비로 위해요소를 미리 제거함으로써 식품을 안전하게 제조할 수 있다 -HACCP 마크로 회사이미지,신뢰성 높임
31
HACCP 정부측면
-식품업체가 자율적으로 위생관리를 함으로써 식품위생의 감시가 효율적으로이루어진다 -국제적인 식품안전기준으로 수출제품에 대하여 안전하다는 보증이므로 수출,교역량 증대기대 -위생적이고 안전한 식품생산 위생관리기준 제공가능
32
HACCP 소비자 측면
-안전한 식품을 섭취하게 되어 식중독 위험 감소등 삶의 질이 향상됨 -HACCP마크 표시를 확인하여 신뢰할 수 있는 식품을 선택할 수 있다
33
HACCP 순서
.
34
HACCP 적용업체 개선 사례
1)근무자가 작업장 출입할때 교차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작어장 출입용 에어샤워를 설치하였다 2)원지재,부자재 작업장 출입할 때 외부 공충 및 이물의 유입을 방지하기 이중문을 설치하였다 3)외부곤충 및 이물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공장 옥상의 개구부에 방충망을 설치하였다 4)작업자가 작업장 건물에 출입할때 교차오염을 방지하기위해 출입구에 신발장을 설치하였다
35
위해요소
인체의 건강을 해칠 우려가 있는 생물학적 화학적또는 물리적 인자나 조건
36
위해요소 분석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고 평가하는 일련의 과정
37
중요관리점
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중요한 단계,과정또는 공정
38
개선조치
모니터링 결과 중요관리점의 한계 기준을 이탈할 경우에 취하는 일련의 조취
39
검증
HACCP관리 계획의 적절성과 실행여부를 정기적으로 평가하는 일련의 활동
40
모니터링
설정된 한계 기준을 적절히 관리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
41
완제품
판매를 목적으로 만들어진 물건으로 모든 제조공정을 끝내고 출고 대기하고 있는 제품
42
한계기준
중요관리점에서의 의해요소 관리가 허용범위 이내로 충분히 이루어지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나 기준치
43
리콜제도
교환,환불,수리등의 위해예방 조치를 하는 행위
44
가공식품 표준화 제도(KS)
-1961년 제정된 산업 표준화법에 의한 제도로 Ks표사눈 서류 검토,공장 심사 및 채취시험으로 이루어짐 -유통기한이 3개얼 미만인 제품은 분기별로, 3개월 이상인 제품은 6개월 마다 시판품을 수거하여 분석하고 적합한 제품인지 검증 ex)설탕,조미료,식용유,장류,김치->ks표시제품
45
제조물 책임 제도(PL)
PL은 제조물 책임 이라고 하며, 제조 가공물의 결함으로 소비자의 생명,신체,재산의 손해에 대하여 제조업자,유통업자에게 손해배상 시키는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