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한글 맞춤법 제1항을 쓰시오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2
한글 맞춤법 제2항을 쓰시오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
3
한글 맞춤법 제3항을 쓰시오
외래어는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적는다.
4
알맞은 것을 고르시오
소쩍새
5
알맞은 것을 고르시오
해쓱하다
6
알맞은 것을 고르시오
부썩
7
알맞은 것을 고르시오
담뿍
8
된소리 규칙을 설명하시오
한 단어 안에서 뚜렷한 까닭없이 나는 된소리는 다음 음절의 첫소리를 된소리로 적는다.
9
된소리 예외 규정을 설명하시오
ㄱ,ㅂ받침 뒤에서 나는 된소리는,같은 음절이나 비슷한 음절이 겹쳐나는 경우가 아니면 된소리로 적지 않는다.
10
알맞은 것을 고르시오
고랫재
11
알맞은 것을 고르시오
귓밥
12
알맞은 것을 고르시오
댓가지
13
알맞은 것을 고르시오
뒷갈망
14
알맞은 것을 고르시오
머릿기름
15
알맞은 것을 고르시오
모깃불
16
알맞은 것을 고르시오
못자리
17
알맞은 것을 고르시오
볏가리
18
선짓국
19
쇳조각
20
아랫집
21
우렁잇속
22
조갯살
23
찻집
24
사이시옷을 적용하는 규칙을 쓰시오
순우리말로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25
사이시옷 규칙
순우리말과 한자어로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26
사이시옷 규칙 예외 단어를 쓰시오
곳간,찻간,셋방,숫자,툇간,횟수
27
욧잇
28
아랫마을
29
뱃병
30
곗날
31
양칫물
32
가욋일
33
아는 것이 힘이다.
34
먹을 만큼 먹어라
35
네가 뜻한 바를 알겠다.
36
나도 할 수 있다.
37
아는 이를 만났다.
38
그가 떠난 지가 오래다
39
조기 한 ( )
손
40
버선 한 ( )
죽
41
북어 한 ( )
쾌
42
가붓이
43
나붓이
44
둥긋이
45
따뜻이
46
반듯이
47
버젓이
48
산뜻이
49
의젓이
50
헛되이
51
겹겹이
52
번번이
53
극히
54
솔직히
55
간편히
56
급급히
57
능히
58
둘로 ()
가름
59
새 책상으로 ()하였다.
갈음
60
풀을 썩힌 ()
거름
61
빠른()
걸음
62
영월을 () 왔다.
거쳐
63
외상값이 잘()
걷힌다
64
겉잡을 수 없는 상태
겉잡을 수 없는 상태
65
()이틀 걸릴 일
겉잡아서
66
그는 부지런하다. ()잘산다
그러므로
67
그는 열심히 공부한다.() 은혜에 보답한다.
그럼으로
68
고무줄을()
늘인다
69
방을 더 ()
늘린다
70
옷을 ()
다리다
71
약을()
달인다
72
부주의로 손을 ()
다쳤다
73
문이 저절로 ()
닫혔다.
74
문을 힘껏 ()
닫쳤다
75
우산을 () 간다.
받치고
76
쇠뿔에 ()
받혔다.
77
술을 체에 ( )
밭친다.
78
차와 차가 마주 ()
부딪쳤다.
79
마차가 화물차에 ( )
부딪혔다.
80
전부터 ( )가 있는 사이
알음
81
밥을 ( )
안친다
82
경계선 ( )에서 일어난 현상
어름
83
( ) 한 것이 이 모양이다.
하노라고
84
공부( ) 밤을 새웠다.
하느라고
85
나를 찾아오느니보다
86
오는 이가 가는 이보다 많다.
87
찬성할 이도 반대할 이만큼이나 많다.
88
사람으로서 그럴 수는 없다.
89
닭으로써 꿩을 대신했다.
90
그가 나를 믿으므로 나도 그를 믿는다.
91
그는 믿음으로 산 보람을 느꼈다.
92
바닷가에서 소라껍질을 주서왔다.
주워왔다
93
나의 성격은 소심하며 낫가림이 심하다.
낯가림
94
현제 인천에서 살고 있다.
현재
95
그렇게 꾸물데다가 학교에 늦겠구나
꾸물대다가
96
나는 필이 꽃이면 뭐든 열심히 하는 스타일이다.
느낌을 받으면 뭐든 열심히 하는 편이다.
97
나도 가끔 나 자신이 이해가 않된다.
안 된다
98
나는 우리 반 대표를 하지 안겠냐는 제안을 받았다.
않겠느냐
99
접두사 수의 예외를 적으시오
양,염소,쥐
100
초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