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공격작전 시 관측반은 기동부대의 ( )에 맞도록 관측반을 운용해야한다.
기동속도
2
최초사격요구 중 공격방법에서 표적이 아군부대 전방과 ( )이내 위치하면 위험( )이라고 사격지휘소에 알려준다.
600m, 600
3
지도 등고선을 볼 때 1:25000 지도의 주곡선은 표고가 ( )단위로 등고선이 있으며, 1:50000 지도의 주곡선은 표고가 ( )단위로 있다.
10m, 20m
4
쌍안경은 내부에 수평, 수직 망선이 있으며, 이를 통해 ( )과 ( )을 측정할 수 있다.
수평각, 수직각
5
기동부대가 북진하여 북거 값이 커질 경우 지역에 대한 도자각 값은( ).
증가한다
6
관측자가 정확하게 표적위치를 결정하였다면, 최초사격요구 시 ( )를 요청할 수 있다.
효력사
7
( ) 수치는 지역과 기재별로 값이 상이하다.
도자각
8
( )은 관측자가 표적을 바라보는 관목선과 포신이 표적을 바라보는 포목선이 이루는 내각이다.
T각
9
사거리 공산오차가 ( )이상일 때 사격지휘소에서 관측자에게 통보하는 이유는 주로 82%확률로 탄착되는 범위가 약 100m가 되므로, 효력사 요구시 100m단위로 판단하여 사격지휘소에 요청하는 것이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38m
10
축척이 1:25000인 지도의 등고선 중 주곡선(가는 실선)의 고도차는 몇 m인가?
10m
11
축적이 1:25000인 지도에 TAG를 가지고 도상거리를 측정하려고 한다. 이때, 관측소로부터 표적까지 거리가 TAG 작은 눈금 기준 7칸이 떨어져 있다면, 도상거리는 몇 m인가?
700m
12
현재 관측자가 위치한 곳은 CH 방안이다. 이때, 현위치에서 도북기준 300km만큼 북진하였다면, 어느 방안에 위치하겠는가? *I와 O는 생략
CL
13
정량편차 값이 정확하게 장입이 된 나침반을 작전간 250km 북진한 후 정차한 상태에서 도북방향을 가리켰는데 나침반 바늘이 정확히 도북방향을 가르키지 않았다. 어떤 값이 바뀌었기 때문인가?
도자각
14
포술 5개분과 중 틀린 것은?
4. 탄약보급
15
기동간 제한사항을 극복하기 위해서 관측자와 기동중대장이 서로 협조해야할 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2. 적의 규모와 표적 성질
16
표적에 대한 요망효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4. 소멸
17
표적에 대한 관목방위각이 3500밀이고, 기지점에 대한 관목방위각이 3300밀 일 때 기지점전이를 이용한 표적위치 결정시 사격지휘소에 알려줘야 할 관목방위각 값은?
3500밀
18
쌍안경으로 바라봤을 때 탄착점을 기준으로 표적이 30밀(작은눈금 6칸)만큼 우측에 있을 때 편의수정량은 몇 m인가? *관목인수 = 2
+60m(우로60)
19
관측자가 기지점을 바라봤을 때 도상방위각이 6300밀이며, 표적을 바라봤을 때 도상방위각이 250밀이다. 이때, 관측자가 바라본 기지점과 표적간의 사잇각은 몇 밀인가?
350밀
20
기지점 전이에서 수직전이량을 산출해야 하는 상황이다. 관측소 표고 : +150m, 표적 표고 : +120m, 기지점 표고 : +130m일 때, 수직전이량은 얼마인가?
-10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