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성왕이 백제의 수도를 사비로 천도하기 이전에 거칠부가 <국사>를 편찬하였다.
X
2
경당을 설치하여 학문과 무예를 가르친 곳은 고구려다.
O
3
사택지적비를 보면 백제가 영산강 유역까지 영역을 확장하였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X
4
고려는 촌락 지배 방식으로 면리제가 확립되었다.
X
5
사람이 죽으면 뼈만 추려 가족 공동 무덤인 목곽에 안치하였다.
옥저
6
발해는 전국 330여 개의 모든 군현에 수령을 파견하였다.
X
7
계루부 집단이 권력을 장악하였다.
고구려
8
문무왕의 집권 시작 시기와 기벌포 전투 사이 시기에 당나라가 신라를 계림대도독부로 삼았다.
O
9
매소성 전투 이후에 복신과 도침이 부여풍과 함께 백제 부흥 운동을 일으켰다.
X
10
문무왕은 백제 부흥 운동을 주도한 복신을 공격하였다.
O
11
성왕이 백제의 수도를 사비로 천도하기 이전에 이차돈의 순교로 불교가 공인되었다.
O
12
신라는 고구려 멸망 이후 매소성에서 당군을 격파하였다.
O
13
통일신라는 어아주, 조하주 등 고급비단을 생산하여 당나라에 보냈다.
O
14
발해 문왕의 시기에 신라에서는 녹읍이 폐지되었다.
X
15
미천왕 때 고구려는 서안평을 점령하였다.
O
16
<기미독립선언서>에는 ‘조선건국 4252년’으로 연도를 표기하였다.
O
17
정효 공주 무덤의 벽화는 동모산이다.
X
18
5월에 씨를 뿌리고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천군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삼한
19
고국천왕은 영락이라는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였다.
X
20
신석기 시대와 서울 암사동 유적,빗살무늬 토기는 관련이 있다.
O
21
대대로와 대내상은 성격이 유사하다.
O
22
강화 부근리에서는 탁자식 고인돌이 발견되었다.
O
23
통일신라의 촌의 행정은 촌주가 담당하였다.
O
24
매소성 전투 이후에 김흠돌이 반란을 일으켰다.
O
25
제가 회의에서 국가의 중대사를 결정하였다.
고구려
26
공주 송산리 고분군에는 전축분인 6호분과 무령왕릉이 있다.
O
27
신라의 한강 유역 전역 확보는 553년에 일어난 일이다.
O
28
도성에 5부, 지방에 방(方)-군(郡) 행정제도를 시행하였다.
백제
29
문무왕은 임존성에서 저항하던 지수신의 투항을 받아주었다.
X
30
다음 사건 이후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삼전도비가 세워졌다.
31
<보기>의 (가)에 들어갈 군대로 가장 옳은 것은?
별무반
32
이승만 정부의 경제 정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제 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추진하였다.
33
3
34
고려시대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ㄷ
35
농경을 시작하고 생산된 식량을 저장하기도 하였다.
36
(가), (나) 시기 사이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묘청이 서경 천도를 주장하였다.
37
4
38
불교계를 개혁하기 위해 수선사 결과를 주도하였다.
39
X
40
X
41
X
42
O
43
다음 풍속이 있었던 나라의 사회상으로 옳은 것은?
남녀가 간음하거나 부인이 투기가 심하면 사형에 처하였다.
44
다음 정책을 추진한 통일 신라 시대의 국왕은?
경덕왕
45
다음과 같은 문화재가 만들어진 시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집사부 장관인 시중의 권한이 강화되었다.
46
임진왜란의 주요 사건을 시기 순서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다->가->마->나->라
47
다음 사건이 발생했던 시기에 발해에서 있었던 사실로 가장 옳은 것은?
중국과 대등한 지위에 있음을 과시하기 위해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였다.
48
다음 국제 관계가 형성되었던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가장 옳은 것은?
신라는 선덕여왕 때 황룡사 9층 목탑을 지어 나라를 지키고자 하였다.
49
다음 자료를 통해 알 수 있는 시대의 역사적 상황으로 가장 옳은 것은?
수도를 중경에서 상경, 동경으로 옮겨 중흥을 꾀하였다.
50
고려시대의 사회시책과 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혜민국을 두어 유랑자의 수용과 구휼을 담당하게 하였다.
51
1945년 12월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에서 결정된 사항이 아닌 것은?
조선의 민족 대표로 하여금 임시정부 수립을 위한 협의체를 구성하게 한다.
52
(가)의 사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집강소 및 폐정개혁에 관한 규정이 포함되었다.
53
다음 인물이 저술한 책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ㄱ, ㄴ
54
ㄱ, ㄴ, ㄷ
55
다음 사실들을 시기 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ㄱ-ㄷ-ㄹ-ㄴ
56
(가)와 (나) 사이에 있었던 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위(魏)의 장수 관구검에 의해 환도성이 함락 당했다.
57
다음과 같은 개혁을 단행하고자 했던 왕대의 사건으로 옳은 것은?
고려의 내정을 간섭하던 정동행성 이문소를 폐지하고 요동 지방을 공략하였다.
58
공주 송산리 고분군과 부여 능산리 고분군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적절한 것은?
벽돌무덤 중 송산리 6호분에는 벽화가 그려져 있다.
59
다음의 업적을 세운 신라의 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한강 하류에 실직주를 설치하였다.
60
다음 보기의 사건이 일어난 이후의 내용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김통정은 배중손이 전사하자 진도를 새로운 거점으로 청하였다.
61
조선 시대 정치 체제의 운영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품계가 높은 사람이 낮은 관직에 임명될 때는 관직 앞에 '수'자를 붙였다.
62
조선과 일본 사이의 조약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조, 일 통상 장정 개정 이후 일본과의 무역에 대한 무관세 정책과 양곡의 무제한 유출이 허용되었다.
63
말의 소리를 지은 주시경은 국어연구학회를 창립했는데, 이는 뒷날 조선어연구회의 모체가 되었다.
O
64
박제가는 청과의 통상과 수레의 이용을 주장했다.
O
65
신채호는 한국독립운동지혈사를 저술했다.
X
66
박정희 정권 시기에 국가 보위 비상 대책 위원회가 설치됐다.
X
67
서원은 좌수와 별감을 중심으로 운영되었다.
X
68
조선 세조는 진관체제를 실시했다.
O
69
조선어를 선택과목으로 바꾸고, 조선인 학교의 명칭을 일본인 학교와 동일하게 했다는 내용은 제3차 조선 교육령의 내용이다.
O
70
조선사상범보호관찰령은 1936년에 제정되었다.
O
71
조선 성종은 규장각을 설치했다.
X
72
1977년 박정희 정권은 수출 100억 달러를 달성했다.
O
73
다음 중 옳게 짝 지어진 것은?
양양 오산리 유적-덧무늬 토기, 서울 암사동 유적-빗살무늬토기
74
강화 부근리에서는 탁자식 고인돌이 발견되었다.
O
75
이규보의 동명왕편은 단군의 건국 과정을 다루고 있다.
X
76
민며느리를 받아들이는 읍군은 옥저에서 볼 수 있다.
O
77
다른 부족의 영역을 침범하면 책화라 하여 노비나 소, 말로 변상케 하였다.
동예
78
황조가를 지은 왕의 재위 기간에 졸본에서 국내성으로 천도하였다.
O
79
황조가를 지은 왕의 재위 기간에 졸본에서 국내성으로 천도하였다.
O
80
'1여', '여장', '공동으로 경작' 등의 내용이 포함된 여전론을 쓴 이는?
정약용
81
소련이 4개국에 의한 신탁 통치안을 먼저 제시하여 미국이 이에 동의하였다.
X
82
고려시대 사찰은 토지와 노비를 소유하였으며 자신들의 재산을 지키기 위해 승병을 조직하고 상업 활동도 하였다.
O
83
일제강점기 최대 규모의 합법ㆍ공개 항일 단체로, 전국적인 규모로 발전하였다.
신간회
84
시기 상 올바른 순서로 고르시오.
신립 탄금대 전투, 이순신 한산도 대첩, 김시민 진주 대첩(1차 진주성 전투), 권율 행주 대첩, 2차 진주성 전투, 원균 칠천량 전투
85
고려시대 때 전 ‧ 현직 관리를 대상으로하여 관품과 인품을 기준으로 지급된 것은?
시정 전시과
86
고려시대 때 전 ‧ 현직 관리를 대상으로 관품만을 고려하여 지급된 것은?
개정 전시과
87
고려시대 때 승려와 지리업자(풍수지리업)에게 별사전을 6등급으로 나누어 분급된 것은?
경정 전시과
88
일제의 토지 조사령은 마을 공유지에 대한 마을 주민들의 공동 이용권인 입회권을 인정했다.
X
89
총독부 신고제를 원칙으로 한 조선 광업령이 공포됨에 따라 한국인의 광산 경영이 더욱 강력하게 통제되었다.
X
90
광복 직전, 대한민국 임시 정부, 조선 독립 동맹, 조선 건국 동맹 등은 입헌 군주국 수립을 목표로 건국 준비 활동을 이어나갔다
X
91
청에서 내정 간섭을 강화하기 위해 마젠창(재정)과 묄렌도르프(외교)를 고문으로 파견한 것은 임오군란(1882) 이전이다.
X
92
신라는 고구려 부흥 운동 세력을 지원하였다.
O
93
최치원은 발해에 대하여 고구려 후예들이 건국한 것으로 이해하고 매우 우호적인 입장을 가졌다.
X
94
5위와 진관 체제는 어디의 군사 제도인가¿
조선 전기